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2020. 05. 15
조회수 113752 추천수 0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


[크기변환]YSY_0003.jpg » 유리딱새 수컷.


[크기변환]YSY_1764.jpg » 유리딱새는 항상 재빨리 날아 날벌레를 사냥하기 때문에 평지보다 조금 높은 돌 위나 나뭇가지 등 물체에 앉는다.


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에선지 사람을 크게 경계하지 않고 친숙하게 다가온다. 작지만 촐싹거리지 않는 귀여운 새다.


[크기변환]YSY_6218.jpg » 성숙한 유리딱새 암컷. 어린 유리딱새보다 옆구리 주황색이 흐리다.


[크기변환]YSY_6242.jpg » 성숙한 유리딱새 암컷 뒷모습. 파란색 꼬리가 어린딱새 보다 흐리다.


유리딱새는 단독생활을 하는데 암수가 함께 생활할 때에도 홀로 있는 경우가 많다. 고독을 즐기는 새다. 4월 14일 새들의 이동통로에 자리 잡은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에서 유리딱새를 만났다.


유리딱새를 관찰하다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이 꼬리를 위아래로 자주 움직이는 모습이다. 횃대에서 꼬리를 위아래로 자주 움직이는 이유는 언제든지 나는 곤충을 재빠르게 잡기 위한 사전 준비 운동 아닐까 생각한다.


사냥을 위해 앉아있던 횃대로 정기적으로 되돌아오는 습성도 있다. 횃대에서 날아 공중이나 지상에 있는 곤충을 잡기 위해서다.


YSY_0579_01.jpg » 어린 유리딱새는 암컷과 유사하나 옆구리에 주황색과 꼬리의 파란색이 진하다.


[크기변환]YSY_2021.jpg » 어린 유리딱새.등은 노란색을 띤 갈색이다.


유리딱새는 작은 곤충을 매우 좋아하지만, 식물의 종자, 나무 열매도 먹는다. 영역에 대한 집착이 강해 다른 새가 나타나면 바로 공격에 나서 내쫓는다. 온종일 바쁘게 움직이는 부지런한 새다.


수컷은 나무 꼭대기에서 영역을 알리는 노래를 부른다. 대부분에 새들은 번식지뿐 아니라 이동 시기에 잠시 머무는 중간 기착지에서도 먼저 도착해 영역을 확보한 새가 텃세를 부린다. 영역권 안 횃대를 놓고 벌이는 기세나 세력 다툼은 맹렬하다. 


유리딱새는 아주 짧은 거리를 자주 오가며 비행하기 좋고 먹이가 풍부한 곳에 자리를 잡는다. 중간 기착지에 머물며 기력을 회복해 번식지로 날아갈 채비를 단단히 한다.


[크기변환]YSY_1332.jpg » 파리를 사냥해 횃대로 돌아온 유리딱새.


[크기변환]YSY_1333.jpg » 사냥에 성공해 흡족한 유리딱새.


유리딱새는 나그네새로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이동 시기가 이른 편이다. 3월 중순이면 이동 모습이 관찰된다. 가을철에는 10월 초순부터 도래해 11월 하순까지 통과한다. 우리나라에서 중남부 지역에서 일부가 월동한다.


몸길이 14㎝, 무게 18g인 작고 가냘픈 몸매이지만 수천㎞를 이동한다. 먼 거리를 이동하다가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기력을 다하여 다른 새들보다 가장 많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


[크기변환]YSY_1533.jpg » '앗' 지정석 횃대에 다른 유리딱새가 날아들자 화들짝 놀라는 유리딱새.


[크기변환]YSY_1534.jpg » 곧바로 횃대 방어에 나서는 유리딱새. 지정석은 사냥을 준비하기 제격이기 때문에 자리싸움이 종종 일어난다.


유리딱새는 북유럽의 핀란드 동부에서 시베리아를 가로질러 캄차카와 일본까지, 북아시아와 북동유럽의 혼합 침엽수림에서 번식하고 주로 동남아시아, 인도, 히말라야, 대만, 인도차이나 북부에서 겨울을 난다.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모습은 생명의 연장과 후손을 남기려는 본능적인 행동이라 할 수 있지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비행에서 초자연적인 경이로움마저 느껴진다.


횃대에 날아드는 유리딱새 연속 동작


[크기변환]YSY_9776.jpg » 사냥을 준비하기 위해 횃대로 날아드는 유리딱새.


[크기변환]YSY_9795.jpg » 자기만의 횃대에 집착하는 이유는 주변에 사냥감이 많고 이를 이용하면 사냥하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크기변환]YSY_9777.jpg » 유리딱새는 횃대에서 날아올라 공중이나 지상에 있는 곤충을 잡는다.


[크기변환]YSY_9796.jpg » 유리딱새가 횃대를 지켜려 하는 이유다.


[크기변환]YSY_9865.jpg » 횃대에 앉아 사냥 기회를 노린디.


이 새의 번식지는 핀란드를 통해 서서히 서쪽으로 확장해 영국 등 서유럽에서도 드물지만, 점점 자주 관찰되고 있다. 북아메리카의 서쪽 끝인 알래스카 서부와 남캘리포니아 해안의 샌 클레멘테 섬에서도 관찰된 기록이 있다.


[크기변환]YSY_8572.jpg » 몸단장하는 유리딱새 수컷.


[크기변환]YSY_1871.jpg » 어린 유리딱새가 비를 피해 나뭇가지 아래 앉아있다.


암수 모두 파란 꼬리와 주황색 옆구리를 지녔다. 하얀 멱과 배는 회백색을 띠고, 작고 가느다란 검은 다리가 있다. 성숙한 수컷은 머리부터 등, 꼬리까지 짙은 파란색이 망토를 두른 듯하며 흰 눈썹 선이 있다. 


암컷과 미성숙한 수컷은 파란색 꼬리를 제외한 몸 위가 담갈색이다. 암컷은 3∼5개의 알을 낳는다. 미성숙 개체는 암수 구별에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완전한 성조 깃털을 갖기까지 3년이 걸린다. 


[크기변환]YSY_0007.jpg » 유리딱새는 이처럼 풀밭에 내려앉지 일은 흔치 않다.


[크기변환]YSY_9978.jpg » 풀밭에서도 유리딱새 부부는 홀로 지내기를 좋아해 거리를 둔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 2019. 12. 23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

  • 생태 보고 한강 하구엔 '독도'도 있다생태 보고 한강 하구엔 '독도'도 있다

    윤순영 | 2019. 11. 22

    김포시 걸포동 앞 섬, 일제 때 파괴된 철새들의 낙원김포에서 태어나 한강을 벗삼아 자랐다. 재첩과 물고기를 잡던 기억이 생생하다. 1992년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에서 재두루미와 인연을 맺으며 환경에 눈을 떴다. 이를 계기로 삶의 방향이 바뀌...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