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의 귀족, 고대갈매기를 아시나요

윤순영 2013. 01. 24
조회수 27629 추천수 1

군더더기 없는 하얀 자태, 남대천 상류서 반가운 만남

한때 잘못 적은 '적호갈매기'로 불려, 세계적 멸종위기종

 

크기변환_SY3_8580.jpg » 보기 힘든 세계적 보호종인데다 깔끔한 모습을 한 고대갈매기.

 

지난 1월12일 강릉 남대천과 경포대를 둘러보았다. 강릉 남대천은 오대산 두로봉에서 발원해 삼산리, 법수치리, 어성전을 지나 양양읍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물줄기이다. 남대천은 연어로 유명하다. 한국으로 회귀하는 연어의 70% 이상은 이곳이 고향이어서, 여기서 태어난 연어 새끼는 동해를 거쳐 베링해에서 3~5년 간 성장한 후 11월 중순쯤 하루 2000여 마리씩 다시 돌아온다. 

 

크기변환_SY2_8467.jpg » 남대천에 내려앉은 갈매기 무리.

 

크기변환_SY1_8486.jpg » 아파트를 울타리삼아 날고 있는 갈매기 무리.



남대천 하류룰 갈매기 떼가 하얗게 덮고 있다. 그밖에 쇠오리, 흰비오리, 댕기물떼새, 장다리물떼새 몇 마리가 눈에 띤다. 기대하던 것보다 조류가 다양하지 않고 수도 무척이나 적었다.

크기변환_SY3_8660.jpg » 먹이 먹기에 바쁜 쇠오리.

 

크기변환_SY3_8625.jpg » 청둥오리 옆에 댕기처럼 뻗은 머리 깃털이 이채로운 땡기머리물떼새가 서 있다. 

 

크기변환_SY3_8626.jpg » 기다란 다리의 장다리물떼새.

 

크기변환_SY3_8642.jpg » 청둥오리 무리속에서 장다리물떼새가 거닐고 있다.

 

거울처럼 맑은 호수와 밝은 달빛, 주변 자연경관이 뛰어난 인근의 경포호로 향했다. 역시 갈매기가 많이 눈에 띌 뿐 흰뺨오리와 검은머리흰죽지 , 논병아리 등, 새들의 종류는 남대천과 비슷한 상황이다.

 

기대했던 큰고니는 관찰하지 못했지만 저 멀리 얼음 위를 서성이는 하얀 새 한 마리가 눈에 띠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동해안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흰갈매기였다.

 

크기변환_SY3_8800.jpg » 죽은 새의 주검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흰갈매기와 재갈매기. 

 

크기변환_SY3_8799.jpg » 2년생으로 추정되는 흰갈매기.

 

크기변환_SY3_8785.jpg » 볼의 흰 무늬가 귀여운 흰뺨오리 수컷.

 

크기변환_SY3_8786.jpg » 흰뺨오리가 물거품을 남긴 채 잠수했다.

 

크기변환_SY3_8857.jpg » 검은머리흰죽지도 잠수성 오리다.

 

크기변환_SY3_8856.jpg » 논병아리

 

크기변환_SY3_8813.jpg » 고방오리

 

남대천 상류로 발길을 옮겼다. 뜻밖에 귀한 손님이 기다리고 있었다. 매우 보기 힘든 고대갈매기 한 마리가 청둥오리와 먹이를 찾고 있었던 것이다.다.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자태가 귀엽고 빈틈이 없다. 눈빛이 초롱초롱하여 매우 영리하게 생긴 모습이다. 아주 섬세하고 세련된 몸체의 곡선이 인상적이다.

 

크기변환_SY2_8455.jpg » 청둥오리와 고대갈매기(오른쪽).

 

고대갈매기의 먹이 활동과 휴식을 다른 갈매기들이 계속해서 괴롭힌다. 그러나 쫓기면서도 고대갈매기는 안전하고 풍부한 먹이터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지키려 애쓰고 있었다.

 

크기변환_SY3_8552.jpg » 고대갈매기의 날렵한 비행 모습.

 

크기변환_SY3_8612.jpg

 

크기변환_SY3_8574.jpg

 

 붉은 부리와 붉은 다리가 흰색 깃털로 인해 더욱 도드라진다. 몸길이 44~46㎝로 갈매기 가운데 꽤 크다. 각이 진 머리의 모습이 특징적이다. 암·수의 모습은 거의 비슷하다.

 

크기변환_SY3_8756.jpg

 

크기변환_SY3_8609.jpg

 

날 때 날개깃의 끝부분이 검은색이며, 끝에 크고 눈에 띄는 흰색 반점이 있다.

 

크기변환_SY3_8734.jpg » 갈매기에 쫒기는 고대갈매기.

 

여름 깃은 머리가 검은색이며, 흰색의 눈 테가 있다. 귀 깃 부분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크기변환_SY3_8571.jpg » 갈매기가 텃세를 부려 몇 번이고 날았다 편안한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크기변환_SY3_8592.jpg

  

크기변환_SY3_8569.jpg

 

크기변환_SY3_8570.jpg

 

크기변환_SY3_8721.jpg

 

모래밭이 있는 초원이나 호수, 해안 등에서 살면서 곤충, 패류, 물고기, 풀 등을 주로 먹는다. 제비갈매기류와 비슷하게 '킥~킥'하는 소리를 낸다.

 

크기변환_SY3_8589.jpg

 

크기변환_SY3_8590.jpg

 

크기변환_SY3_8596.jpg

 

한국에서는 겨울철새로 낙동강 하구와 순천만에서 종종 관찰되나 보기 드문 새이다. 카자흐스탄 동남부에서 중국 북서부까지 번식하고, 러시아·몽골 등에도 분포한다. 한국과 중국 동부에서 월동한다.

 

크기변환_SY3_8593.jpg

 

크기변환_SY3_8555.jpg

 

크기변환_SY3_8605.jpg

 

고대갈매기는 한때 '적호갈매기'라고 불렸다. '적호'란 말은 동해안에 있는 석호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알려져 이름을 바꾸었다. 고대갈매기는 모래주머니가 다른 갈매기와 달리 예전 형태여서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알려진다.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이며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목록에도 올라 있는 국제적 보호조이다.

 

크기변환_SY3_8551.jpg

 

크기변환_SY3_8604.jpg

 

크기변환_SY3_8719.jpg

 

글·사진 윤순영/ 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