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결과

'공생'에 대해 12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눈 어두운 코뿔소와 등쪼기새의 몰랐던 공생눈 어두운 코뿔소와 등쪼기새의 몰랐던 공생

    조홍섭 | 2020. 04. 20

    경고음으로 밀렵꾼 접근 알려…멸종위기 코뿔소 보호 기대 코뿔소를 비롯해 아프리카의 대형 초식동물 등에는 털을 헤집으며 진드기 등 기생충을 잡아먹는 소등쪼기새가 산다. 초식동물은 먹이터를 제공하고 새는 귀찮은 벌레를 잡아주는 유명한 공생관...

  • 박쥐와 사슴이 ‘동업자’가 된 이유는?박쥐와 사슴이 ‘동업자’가 된 이유는?

    조홍섭 | 2019. 02. 14

    사슴 주변 맴돌며 하룻밤 흡혈 곤충 수백∼수천 마리 사냥손이 없는 동물에게 피부에 들러붙어 피를 빠는 말파리나 진드기를 잡아먹어 주는 다른 동물은 고맙기 짝이 없다. 기생충을 잡아먹는 동물도 손쉽게 먹이를 확보하니 득이다. 이처럼 청소를...

  • 소등쪼기새는 기린 겨드랑이서 잔다소등쪼기새는 기린 겨드랑이서 잔다

    조홍섭 | 2018. 03. 07

    박쥐처럼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매달려, 흔들거리며 ‘쿨쿨’낮엔 진드기 많은 물소, 밤엔 따뜻하고 안전한 기린 선택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의 사바나에 소등쪼기새가 산다. 찌르레기과의 이 새는 초식동물의 등에 올라타 진드기 등 기생충을 잡아먹는다...

  • 꽃보다 나비가 7천만년 먼저 진화했다꽃보다 나비가 7천만년 먼저 진화했다

    조홍섭 | 2018. 01. 11

    2억년 전 가장 오랜 나방 비늘화석 발견수분 섭취 위해 이미 긴 대롱 입 지녀 나비와 꽃은 서로를 돕는 대표적인 공생 생물이다. 나비는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번식을 돕고 대신 영양가 풍부한 꽃꿀을 먹는다. 나비와 나방은 꽃꿀을 효과적...

  • 더워지는 바다 ‘니모’ 찾기 힘들어진다더워지는 바다 ‘니모’ 찾기 힘들어진다

    조홍섭 | 2017. 10. 11

    수온 상승이 말미잘 백화현상 불러 흰동가리는 스트레스로 번식률 73% 격감     태평양과 인도양의 산호가 있는 얕은 바다에 사는 흰동가리는 ‘니모를 찾아서’란 애니메이션으로 명성을 얻은 물고기이다. 노랑이나 주황색 몸통에 선명한 줄무...

  • 진딧물 색깔은 보호색 아닌 개미 취향진딧물 색깔은 보호색 아닌 개미 취향

    조홍섭 | 2016. 09. 08

    한쪽 옆구리 비늘만 떼어먹는 아프리카 물고기 등 다형성 진화의 미스터리진딧물의 색깔은 공생 협력자인 개미가 결정해…포식자 결정 통념 깨‘다형성(polymorphism)’이...

  • 식물 55% 꿀에 카페인 타 꿀벌 ‘착취’식물 55% 꿀에 카페인 타 꿀벌 ‘착취’

    조홍섭 | 2015. 10. 20

    원래 초식동물 쓴맛으로 물리치기 위해 잎에 있던 성분, 식물 55%가 꽃꿀에"꿀벌에 약물 주입하는 셈", 꿀벌은 카페인 의존으로 꿀 생산 15% 줄어   영국에서 노동자 계급에 홍차를 보급한 배경에는 노동자들이 오후에 피로를 풀고 더 열...

  • 부전나비와 개미의 달콤한 공생, 내막은 약물 조작부전나비와 개미의 달콤한 공생, 내막은 약물 조작

    조홍섭 | 2015. 08. 18

    남방남색부전나비, 그물등개미에 꿀물 주고 보호 받는 전통적 공생으로 알려져꿀물 통해 도파민 억제 물질 투여, 개미가 덜 돌아다니고 애벌레 적극 방어 유도    개미와 진딧물의 공생은 잘 알려져 있다. 개미가 진딧물을 ...

  • 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

    조홍섭 | 2015. 07. 13

    식충식물은 박쥐에 낮잠 터 제공, 박쥐는 배설물로 보답 접시 안테나 같은 벌레잡이 통 반사판으로 박쥐에 전파 신호     보르네오에는 토탄이 쌓인 습지가 열대림에 뒤덮여 있다. 산성에 영양분이 너무 부족한 이곳 토양에 사는 일부 식물...

  • 후투티, 알에 항균세균 발라 병균 막아후투티, 알에 항균세균 발라 병균 막아

    조홍섭 | 2015. 02. 24

    꽁지샘에서 분비...낳은 지 며칠 뒤 누렇게 변하고 악취 번식 성공률 높여...새 가운데 처음으로 세균 공생 확인    우리가 사는 곳은 세균의 세계다. 흙 1g에는 4000만마리, 담수 1㎖에는 100만마리의 세균이 산다. 지구의 세균을 다 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