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국립생물자원관'에 대해 9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반갑다 소똥구리야…너의 경단 언제까지 볼 수 있을까
| 2013. 06. 11
국립생물자원관 20여년만에 긴다리소똥구리 강원 영월서 공식 확인 1990년 강원 철원과 양구서 마지막 관찰 뒤 사라져, 기본적 생태도 몰라 소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소똥구리류 3종이 우리 주변에서 거의 사라진 가운데 곤충학자들...
-
전주물꼬리풀의 아름다운 '귀향'
| 2013. 05. 14
전주서 발견해 이름 얻었지만 자생지 사라져…멸종위기 습지식물 국립생물자원관이 3천포기 증식해 오송제에 식재키로 올여름 전주 송천동 오송제 습지에서는 낯선 붉은 보랏빛 습지식물을 볼 수 있게 된다. 개발과 훼손으로 자생지가 사라...
-
백령도 식물은 북과 남이 공존한다
| 2013. 02. 20
추운 지방 식물과 따뜻한 지방 식물 모두 자라, 울릉도 능가하는 732종 분포 국립생물자원관 조사 결과 …강원도 석회암 지대와 함께 생물다양성 높아 주목 약 1만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갑자기 따뜻해지자 한반도의 식물 분포...
-
뱀이야, 곤충이야?
| 2013. 01. 21
고대 배연재 교수팀 대암산 용늪에만 사는 신종 뱀잠자리 발견 날카로운 큰 턱 있지만 먹지 않고 1~2주 짝짓기에 전념한 뒤 생 마감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의 용늪은 대표적인 고산습지로, 해발 1100m의 고도에 연평균 기온이 4.4...
-
부상 입고 제주서 죽은 큰바다사자, 표본으로 되살아났다
| 2013. 01. 06
지난해 1월 제주서 발견 2주 뒤 사체로…국립생물자원관서 표본 일반 공개 몇달 전 콧등 골절상이 사인인 듯, "호흡 곤란과 먹이 섭취 어려움 때문" 지난해 1월 제주 서해안의 작은 섬 비양도에서 큰바다사자 한 마리가 암초에 앉...
-
열대 정글 흡혈 산거머리, 남해 가거도에도 산다
| 2012. 03. 26
국립생물자원관 현지조사에서 확인, 축축한 낙엽이나 바위에 잠복해 먹이 노려 장마철~9월까지만 활동 뒤 휴면…기후변화로 서식지 확대 가능성 ▲산길의 축축한 나뭇가지에서 몸을 뻗쳐 먹이를 기다리는 산거머리(화살표). 가거도는 아열...
-
지중해에서 온 불청객 갑각류 처음 발견
| 2011. 09. 08
화물선 밸러스트 워터 통해 동해안 유입 추정국립생물자원관, 지난해 미기록 무척추동물 113종 발견 지중해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갑각류가 동해에서 발견됐다. 동해뿐 아니라 태평양에서 이 생물이 목격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크기 2밀리미터의 ...
-
‘메아리’ 타고 94년 만에 다시 온 큰제비갈매기
| 2011. 07. 04
국립생물자원관, 제주도서 30여 마리 발견동남아, 호주 등 분포권에서 1100㎞ 이상 북쪽으로 밀려 와 제주에 출현한 큰제비갈매기. 1917년 한 마리가 채집된 뒤 소식이 끊겼던 나그네 새 큰제비갈매기가 제주도에서 30마리 이상 발견됐다. 국립생물자...
-
멸종 추정 서울개발나물 44년만에 낙동강서 발견
| 2011. 07. 01
1967년 서울 구로에서 마지막 채집, 이후 습지감소로 자취 감춰미나리 과의 세계적 희귀종, 보호종 지정 및 증식 복원 예정 44년만에 다시 발견된 서울개발나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1967년 서울 구로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채집된 이래 자취를 감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