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국립수목원'에 대해 2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살아있는 보석’ 동박새, 광릉숲에 자리 잡았나
| 2018. 07. 13
붓 모양 돌기로 동백꽃 즐겨 빠는 남부지방 텃새포천 국립수목원서 애벌레 사냥…둥지는 안 틀어동박새란 이름을 들으면 동백꽃이 생각난다. 동백꽃의 곁에는 언제나 동박새가 있다. 동박새는 동백나무가 많은 우리나라 남해안과 섬 등지에서 서식하는...
-
‘두드드득~’ “쉿! 큰귀박쥐가 나타났어”
| 2018. 05. 28
‘바이오블리츠 2018’ 르포24시간 생물종 탐사·기록 위해대전 만인산에 470명 모였다대도시 근처인데도 1368종 확인 성과올해 처음 포함된 박쥐 조사에서큰귀박쥐, 물윗수염박쥐 등 6종 발견‘미기록종’ 거미 2종 확인하고교란종 ‘단풍잎돼지풀’...
-
완벽한 위장의 외톨이 사냥꾼, 청도요
| 2018. 03. 21
덩치 크지만 정지하면 배경속으로 완벽하게 녹아들어캐나다 탐조인 “귀한 새 반갑다”, 국내 실태 안 알려져 지난 1월 지인으로부터 청도요가 경기도 포천 국립수목원에서 월동을 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
눈밭에 핀 분홍빛 '열꽃' 양진이
| 2018. 01. 30
황진이 울고 갈 예쁜 겨울철새무리지어 풀씨 사냥, 경계심 강해국내에서 관찰되는 새들은 400여 종에 이른다. 이 중에 가장 아름다운 새를 찾으라면 열 손가락 ...
-
DMZ 생물 탐사, 야생자두 등 신종·미기록종 쏟아져
| 2016. 06. 29
24시간 동안 1541종 확인해 생물다양성 보고 입증, 서울숲의 2배야생자두 신종, 무당벌레붙이·꼬마꽃벌 류 각 1종은 미기록종 후보 비무장지대(DMZ)와 그 주변인 민통선 일대는 생태계의 보고로 꼽힌다. 개발압력이 높은 온대지역이면서도 한국전쟁 이...
-
장수하늘소 멸종위기 벗어난다
| 2016. 01. 14
자연상태에서 알→성충 5~7년16개월로 줄인 사육기술 개발멸종위기종인 장수하늘소의 사육기간을 기존의 3분의 1로 줄인 사육기술이 개발돼 대량증식 길이 열렸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14년 8월 중국에서 수컷 1개체, 암컷 2개체를 수입해 사...
-
'생태도시' 꿈꾸는 울산의 거대 화단은 외래종 천국
| 2015. 09. 16
태화강대공원 ‘바이오블리츠’서 1011종 확인외래식물 많고 전시용 도입종도 포함한 집계 아쉬움 “넷, 셋, 둘, 하나!” 12일 오후 2시 울산광역시 태화동 태화강대공원. 카운트다운이 끝남과 동시에 공원 안 느티마당 가운데 무대 스크린 ...
-
소나무가 일본 적송? 자생식물 영어이름 바로잡는다
| 2015. 08. 10
광복 70돌 맞아 '나무 이름도 광복'…국립수목원 자생식물 영어 이름 목록집 발표 한·중·일 공통종인 감나무, 밤나무, 느티나무, 벚나무도 영문명은 '일본~' 소나무는 우리 민족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나무다. 아기가 태어나면 솔가지...
-
백두산 자생종 분포, 서울숲의 미스터리
| 2014. 06. 18
서울숲 바이오블리츠 2014 행사 참가기일반인과 전문가 500명이 하루 동안 서울숲 뒤져, 예상보다 다양한 생물 외래종과 도입종이 많았지만 북방계·남방계 식물도 나와, 제비도 번식 “귀를 기울여 보세요. 무슨 소리가 나지요?” 지...
-
광릉 국립산림박물관 새 이름 오류 투성이
| 2014. 06. 13
광릉숲 위치한 국립산림박물관 새 박제 설명에 오류 즐비, 학생들 배우는 곳인데 무신경 흰꼬리수리를 검독수리, 진박새를 박새로…국립수목원, "새 전문가 없어, 오류 고치겠다" 해명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위치한 광릉 숲은 2010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