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다윈'에 대해 13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외모보다 똑똑한 게 낫다, 암컷 앵무의 ‘변심’
| 2019. 01. 14
다윈의 ‘성 선택으로 지적 능력 진화’ 가설 직접 실험으로 입증문제풀이 능력 본 뒤 외모로 정한 선택 번복…먹이 찾는 능력과 직결찰스 다윈은 1871년 성 선택이 동물의 지적 능력을 진화시켰다는 가설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암컷이 더 똑똑한...
-
허리케인 분 뒤, 도마뱀 발바닥이 넓어진 까닭은?
| 2018. 07. 27
눈앞에서 벌어진 자연선택카리브해서 허리케인 ‘어마’ 상륙 직전과 직후 도마뱀 측정치 비교바람 덜 날려갈 형질 갖춘 도마뱀 더 많이 생존…다윈핀치 사례 유사찰스 다윈이 발견한 진화론에는 ‘자연선택에 의한’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자연에 잘...
-
정원서 먹이 주기 50년 만에 박새 부리가 길어졌다
| 2017. 10. 26
부리 길수록 새 모이통서 씨앗 잘 빼 번식력 높아 영국과 네덜란드 장기 관찰과 유전자 연구서 확인 다윈은 갈라파고스에서 부리의 모양이 다른 여러 가지 새들의 표본을 채집했다. 귀국해 전문가에 확인하니 핀치 한 종이 다양한 먹이...
-
기린은 왜 목이 길까, 끝나지 않는 논쟁
| 2017. 09. 21
라마르크 용불용설부터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 공방최근 체온조절설 유력…더우면 해바라기 자세로 보완“기린은 왜 목이 길어?” 아이가 동물 그림책을 보기 시작한 뒤 가장 먼저 하는 질문일 것이다. ‘목이 길면 다른 동물은 닿지 못하는 나무 ...
-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어떻게 날지 못하게 됐나
| 2017. 06. 02
게놈 분석 결과 사람에 심각한 발달장애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축적천적 없고 먹이 풍부해 비행 불필요…몸집 커지고 부력 줄어 잠수에 유리하기도가마우지는 물속을 잠수해 물고기나 문어 등을 잡아먹는 비교적 큰 물새이다. 끝에 갈고리가 달...
-
넙치는 왜 넓적한가, 다윈 골탕 먹인 진화의 비밀
| 2016. 12. 11
태어난 직후에는 다른 물고기처럼 좌우 대칭, 18일째부터 ‘변신’ 시작다윈 애먹인 진화론의 맹점…게놈 분석으로 레티노산이 방아쇠 구실 밝혀넙치(광어)는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괴상한 체형을 지녔다.&nb...
-
공중확산 거미, 항해도 능숙…다리는 돛, 거미줄은 닻
| 2015. 07. 07
공중 장거리 이동 거미에 항해 능력은 필수, 일부 거미 세계 전역 분포 배경 다리나 배 세워 돛으로, 거미줄 늘어뜨려 속도 줄여…세찬 물, 짠물서도 가능 알에서 깨어난 어린 거미가 실 같은 거미줄을 타고 멀리 날아가는...
-
자연사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여행
| 2014. 08. 15
심양에서 대흥안령 산맥 끝까지 1500㎞, 만주는 '옥수수와 풍차 밭' 여행의 계절, 자연사의 신비에 눈 돌리자…백두산, 한란산, 울릉도, '방콕' “그곳에선 베개만한 감자와 주먹만한 대추가 열렸지.” 만주에서 농업전문학교에 다니다 ...
-
자연관찰 기록, 카메라보다 연필
| 2013. 10. 14
자연 연구자는 관찰 결과를 어떻게 왜 기록할까, 12인의 저명 과학자 글 모음 기록은 새로운 생각의 원천, 나중 과학자를 위한 기초자료 구실도 과학자의 관찰 노트-자연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12가지 방법마이클 캔필드 엮음, 김병순 옮김...
-
지느러미로 걸었을까, 실러캔스 7천만년의 비밀
| 2013. 04. 26
실러캔스 게놈 첫 해독…'살아있는 화석'은 아냐 심해 동굴 서식해 진화 매우 느려…육상동물 조상은 폐어에 더 가까워 1938년 12월22일 남아프리카 찰룸나강 하구에서 한 어선의 저인망에 괴상하게 생긴 커다란 물고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