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기 위해 새에게 먹히는 달팽이 번식전략
직박구리 등 뱃속에서 생존해 터전 옮겨 자손 확산
껍데기 덕에 쪼이지 않고 소화 막는 점액 분비 추정

새의 배설물에 섞인 달팽이 껍질. 7~8마리 가운데 하나는 살아남아 종자를 멀리 퍼뜨린다.
맛있는 열매로 새들을 유혹해 씨앗을 퍼뜨리는 전략은 식물에 흔하다.
그런데 육지의 달팽이가 비슷한 전략을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달팽이가 새들에 먹혀 자손을 확산시키는 현상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도호쿠 대학의 대학원생 와다 신이치로 등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생물지리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통해 달팽이가 새들의 소화기관을 통과해서도 살아남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동박새
연구진은 일본 동쪽 오가사와라 제도에 있는 하하지마 섬에서 달팽이를 즐겨 먹는 동박새와 직박구리에게 달팽이를 먹인 뒤 얼마나 살아남는지 조사했다.
놀랍게도 새들에 먹힌 달팽이 7~8마리에 한 마리꼴(평균 15%)이 살아있었다. 달팽이는 새에게 먹혀 소화관을 통과하면서도 생존했으며, 한 마리는 배설 직후 새끼를 낳기도 했다.
달팽이가 비교적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폭풍이나 파도에 휩쓸리거나 혹은 새의 몸에 부착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연못에서 물고기가 다슬기를 이동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비교적 단거리 이동에 새들의 소화관을 이용한다는 사례는 없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새들이 식물의 씨앗을 확산시키는 것처럼 달팽이를 퍼뜨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연구진은 이 섬에 분포하는 달팽이가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유전적 변이가 크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다. 무언가의 힘으로 달팽이가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달팽이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들을 먹이로 삼는 새들의 서식밀도 사이에 상관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했다.

직박구리
그렇다면 어떻게 달팽이는 죽지 않고 소화관을 통과할 수 있을까.
연구진은 이 달팽이가 껍데기의 평균 길이가 2㎜에 불과해 부리에 쪼이지 않고 통째로 삼켜질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덩치가 큰 달팽이의 생존율은 작은 달팽이보다 떨어졌다.
또 이 달팽이가 삼켜진 뒤 점액을 분비해 소화를 막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연구진은 “새의 포식이 종의 확산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 이 연구의 의미”라며 “배설 직후 새끼를 낳은 개체가 있다는 것은 소화관 통과가 출산의 신호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관련글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