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장굴 8천년 전 형성…거문오름 용암동굴계 형성 20만년 전 아니다

이런 분석은 12일 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이 세계자연유산인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가운데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구역을 형성한 거문오름의 화산 분출 시기를 새로운 연대 측정법으로 조사한 결과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으로부터 웃산전굴, 대림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12㎞에 걸쳐 분포됐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비교적 젊은 연대의 측정이 가능한 ‘방사성탄소연대 및 광여기루미네선스(OSL)’ 연대 측정법을 사용했다. 화산 분출물 주변 물질(용암층 하부 고토양층)을 채취해 분석하는 방법이다.
연구원의 안웅산 박사는 “화산 분출 시기가 8천년 전이라는 연대 측정 결과는 만장굴을 비롯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내부 구조들이 마치 엊그제 생성된 것처럼 보존돼 있고, 동굴 바닥에 2차 퇴적물이 쌓여 있지 않은 특징으로 설명된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관련글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