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 토종 명태, 유명 아쿠아리움서 만나요

물바람숲 2016. 03. 30
조회수 43993 추천수 0
강원도 25㎝급 760마리 무상 분양
폐사 방지·사육 조건 비교 목적
00554277701_20160330.JPG » 강원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 직원들이 29일 서울 코엑스아쿠아리움 등에 분양할 명태를 뜰채로 건져내고 있다. 강원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 제공

한때 ‘국민생선’으로 불리다 지금은 ‘금태’로 불릴 정도로 자취를 감춘 동해안 토종 명태를 전국 유명 아쿠아리움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강원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는 29~30일 국내 아쿠아리움 5곳에 그동안 센터에서 키운 25㎝ 이상 되는 ‘청년’ 명태 760마리를 무상 분양한다고 29일 밝혔다. 제주 아쿠아플라넷(500마리)과 서울 코엑스아쿠아리움(120마리), 울진 아쿠아리움(100마리), 일산 아쿠아플라넷(20마리), 경포 아쿠아리움(20마리) 등이다.

이번에 분양되는 명태는 지난해 2월 동해안 어민들한테서 마리당 50만원씩에 구입해 키워온 어미 명태 6마리(40~70㎝)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조에서 자연산란해 기른 새끼 3만마리 가운데 일부다.

강원도가 민간 아쿠아리움에 귀한 명태를 무상 제공하기로 한 것은 동해안 대표 어종인 토종 명태가 아직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또 여러 곳에서 키우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대량 폐사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고, 각 아쿠아리움의 사육 방식을 비교해 명태 양식에 적합한 기술을 찾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다.
1459250524_00517606901_20160330.JPG

강원도와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새끼 1만5천마리를 주요 산란장으로 알려진 고성군 앞바다에 있는 저도어장에 방류했다.

강원도는 지금 키우고 있는 명태 새끼에서 수정란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2018년부터 해마다 명태 새끼 100만마리를 동해안에 방류해 ‘명태의 고장’이라는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창열 강원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 한해성어류 담당은 “이번 전시가 효과를 거두면 소규모 아쿠아리움으로 전시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