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결과

'박쥐'에 대해 15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종 말레이천산갑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검출멸종위기종 말레이천산갑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검출

    조홍섭 | 2020. 03. 31

    게놈 분석 결과 92% 일치…“새로운 감염병 출현 억제 위해 천산갑 밀거래 막아야”중국으로 밀수된 야생동물 말레이천산갑에서 코로나19와 가까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로써 세계에서 가장 널리 거래되는 포유동물인 천산갑의 밀거래를 막아야 하...

  • 나방의 ‘노이즈 캔슬링’, 박쥐 회피 새 기술나방의 ‘노이즈 캔슬링’, 박쥐 회피 새 기술

    조홍섭 | 2020. 03. 06

    박쥐가 내쏜 초음파 85%까지 가슴 비늘에서 흡수해 스텔스 기능6500만년 전 박쥐의 등장은 나방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위장 무늬 등 시각적 교란으로 포식자를 피하던 이제까지의 전략은 쓸모없게 됐다. 박쥐는 초음파를 내쏘고 반사파를 통해...

  • 바이러스 '저수지', 박쥐가 끄떡없이 진화한 비밀바이러스 '저수지', 박쥐가 끄떡없이 진화한 비밀

    조홍섭 | 2020. 02. 05

    바이러스 200종 보유, 다른 동물로 흘러넘쳐…비행 진화와 관련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병원체가 박쥐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한다는 과학자들의 유전체(게놈)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박쥐에 관심이 쏠리고...

  • 박쥐와 사슴이 ‘동업자’가 된 이유는?박쥐와 사슴이 ‘동업자’가 된 이유는?

    조홍섭 | 2019. 02. 14

    사슴 주변 맴돌며 하룻밤 흡혈 곤충 수백∼수천 마리 사냥손이 없는 동물에게 피부에 들러붙어 피를 빠는 말파리나 진드기를 잡아먹어 주는 다른 동물은 고맙기 짝이 없다. 기생충을 잡아먹는 동물도 손쉽게 먹이를 확보하니 득이다. 이처럼 청소를...

  • 반딧불은 박쥐 회피 위해 진화했다반딧불은 박쥐 회피 위해 진화했다

    조홍섭 | 2018. 08. 24

    반딧불과 느린 비행으로 박쥐에게 ‘위험한 먹이’ 경고박쥐 출현 이후 발광 진화, “박쥐가 반딧불이 발명했다”여름밤 하늘을 수놓는 반딧불이의 발광은 짝을 찾는 사랑의 신호이다. 그러나 애초 발광이 출현한 까닭은 한밤의 포식자인 박쥐를 피하...

  • 박쥐 없다면 두리안도 테킬라도 없다박쥐 없다면 두리안도 테킬라도 없다

    조홍섭 | 2018. 04. 09

    척추동물도 꿀벌 못잖게 꽃가루받이 기여박쥐, 도마뱀, 원숭이 차단하면 결실 63% 감소식물의 꽃가루받이를 해 주는 꿀벌 등 곤충의 세계적인 감소가 주목받는다. 세계 곳곳에서 꿀벌 집단의 대규모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데다, 독일 보호구역...

  • 박쥐 먹고 사는 동굴 악어는 주황색으로 변색 중박쥐 먹고 사는 동굴 악어는 주황색으로 변색 중

    조홍섭 | 2016. 10. 13

    아프리카 가봉 동굴서 박쥐와 귀뚜라미 주식, 바깥보다 건강상태 좋아동굴 생활 맞춰 신체변화 없지만, 박쥐 배설물 잠겨 살아 피부 ‘표백’난쟁이악어는 사하라 이남의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서부인 가봉,...

  • 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

    조홍섭 | 2015. 07. 13

    식충식물은 박쥐에 낮잠 터 제공, 박쥐는 배설물로 보답 접시 안테나 같은 벌레잡이 통 반사판으로 박쥐에 전파 신호     보르네오에는 토탄이 쌓인 습지가 열대림에 뒤덮여 있다. 산성에 영양분이 너무 부족한 이곳 토양에 사는 일부 식물...

  • 인수공통전염병 급증 추세…제2, 제3 메르스도 온다인수공통전염병 급증 추세…제2, 제3 메르스도 온다

    조홍섭 | 2015. 06. 11

    인간 병원체 58%가 인수공통전염병, 최근 들어 신종 바이러스 급증세 메르스, 사스 등 바이러스 매개체로 박쥐 주목, 치료제 개발 단서 얻을까    “관계당국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 맹성을 촉구한다.” 1958년 9월6일치 <...

  • 나방 긴 꼬리로 반격 박쥐의 초음파 교란나방 긴 꼬리로 반격 박쥐의 초음파 교란

    조홍섭 | 2015. 02. 17

    시각 아닌 청각 이용하는 새로운 포식자 박쥐 출현에 대응해 진화 꼬리 있는 나방 생존율 47% 더 높아, 긴 꼬리가 비행능력과는 무관     나방을 노리는 포식자는 박쥐, 올빼미, 고양이 등 많다. 이를 피하기 위한 가장 흔한 전략은 날개에...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