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새만금'에 대해 2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도요새의 마지막 기착지 압록강 하구는 무사할까
| 2018. 09. 04
새만금 이후 남은 유일한 먹이터, 중국 쪽 항만개발로 먹이 부족갈 데 없는 25만 마리 모여…북한 신도에 대규모 갯벌 먹이터 추정도요·물떼새들은 해마다 북반구와 남반구를 오가는 진정한 여행자 새이다. 특히 큰뒷부리도요와 붉은어깨도요는 알래...
-
“청천강 트인 갯벌 보니, 옛 새만금 생각났다”
| 2018. 06. 11
인터뷰: 8번 방북한 나일 무어스 '새와 생명의 터' 대표2015년부터 북한 습지 조사한한국 사는 영국인 조류학자9번째 방북하는 길에 만났다“언덕, 초원, 논, 갈대밭, 갯벌…수십년 전 남녘 습지의 모습 간직이미 사라진 종달새·때까치 흔하고문덕에...
-
방조제 공화국, 이제 물길을 열고 갯벌을 되살려야
| 2018. 05. 11
충남 홍성호·보령호 '시화호'보다 수질 나빠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권한 넘겨야 해결책2,487.2㎢, 현재 우리나라 갯벌의 면적이다. 30년 전보다 716.4㎢가 줄어들었다. 대개 갯벌이 땅으로 변하는 과정은 비슷하다. 방조제를 쌓고 내부를 농지와 담수호...
-
1시간 먹고 20분 쉬고, 깃털 관리…홍학은 야생이었다
| 2017. 09. 01
"새만금에 나타났다" 1년 전부터 소문만 무성하다 구체적 제보로 들어와너무 멀어 낙담할 때 무슨 일인지 가까이 다가와, 환경지구 조성 서둘러야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홍학 서식지는 5000㎞ 떨어진 카자흐스탄이다. 그런데 1년 전부터 열대지...
-
새만금에 홍학 출현, 카자흐스탄서 5천㎞ 날아왔나?
| 2017. 08. 28
원래 아열대 서식…서울동물원 등서 “도망 개체 없다”중국 베이징 등서도 종종 출현, 어린 개체 길 잃었을 가능성열대나 아열대 지방의 염습지에서나 볼 수 있는 홍학이 서해안 새만금 간척지에 나타났다. 사육지에서 탈출한 개체가 아니라면, 홍...
-
강물은 바다와 만나야 독성을 잃는다
| 2017. 03. 02
강물의 음전하가 바닷물의 양전하 만나 중화, 침전 빠르고 독성 완화하굿둑 터야 수질오염 문제 근본 해결…낙동강, 금강, 영산강 시급1991년에 일어난 낙동강의 페놀 사태 이래로 우리 정부는 강을 살린다는 명분으로 50조 원을 훨씬 웃도는...
-
세계적 멸종위기 저어새 쫓아내는 ‘친환경’ 산단 건설
| 2016. 11. 22
세계에 2700마리 남은 긴급한 멸종위기종, 남동공단 인공섬엔 보툴리즘 발생해 떼죽음 우려매립 후 남은 새만금 서식지 4년 새 80% 사라져, 수라 갯벌 등 보전 절실하지만 당국 모르쇠새의 부리는 참 다양합니다. 전 세계...
-
4대강 오염이 부른 낙동강하굿둑 개방 움직임
| 2016. 09. 29
4대강 사업의 나비효과, 수질악화가 낙동강하굿둑 개방 논의 불러생태계뿐 아니라 경제적인 관점 필요…관리권한 지자체 이전도 검토해야하굿둑으로 틀어 막혔던 강이 열리고 있다. 부산·경남권을 관...
-
한국 새와 습지의 눈물, 한국인보다 더 잘 안다
| 2015. 12. 09
인터뷰 ‘새와 생명의 터’ 나일 무어스 대표 18년 발품, 새만금 갯벌만 200번 넘게 발길 ‘가슴이 미어진다’"4살 때 수술로 청각 기능 되찾고 처음 들은 기러기 소리 못 잊어" 새만금과 관련된 그의 이야기 끝에는 ‘하트 브레이킹’이라...
-
비너스의 속살이 이랬을까, 새만금 백합의 추억
| 2015. 11. 24
천혜의 갯벌 사라진 새만금, 개발도 관광객도 시들하고 수질오염만 가속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최적의 조개 서식지…“바다 터야 갯벌 산다” 조개의 여왕이란 별명을 지니고 있는 백합은 내게 안타까운 기억이 있는 조개다. 백합(Meretrix lusoria)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