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수산자원'에 대해 1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낙지, 꼬막, 주꾸미, 꽃게…사라지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 2016. 07. 21
보호구역에서도 어업은 그대로 허용한 남획 결과 아닐까미국 해양보호구역 사례 주목…채취 규제 뒤 주변에 흘러넘쳐간만의 휴식, 목적 없이 이리저리 텔레지번 채널을 돌리다 익숙하고 반가운 풍경을 만났다. 전라남도 무안의 너른 갯벌에서 동네 노...
-
‘바다의 포르셰’ 참다랑어, 양식장 그물과 충돌 사고
| 2015. 09. 22
참치로 알려진 다랑어, '맛의 백화점' 인기 독차지속도광이자 멸종위기종 참다랑어는 완전양식 길 열려 ‘참치’란 이름은 동해 지역 사투리 뭐라 해도 가장 값비싼 횟감으로는 ‘다랑어’를 꼽을 수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
-
조개의 여왕 전복, 자연산-양식 구별법
| 2015. 01. 15
먹이인 미역·다시마 가격폭락이 대규모 양식 계기, 양식은 녹조 색 띠어 해녀 채취 소라는 남획으로 관리 대상 1호, 서해안 피뿔고둥과는 족보 달라 추억어린 전복 조가비 어릴 때 우리 집 비눗갑은 전복껍질이었다. 그 땐 그...
-
잡은 명태의 91%가 ‘노가리’, 저인망으로 씨 말려
| 2013. 11. 20
부경대 김수암 교수팀 노가리 어획 실태 처음 밝혀, 정부는 어획규제 철폐로 부추겨 기후변화만으로 자원 고갈 설명 못해…'산란장 원산 가면 북한만 살찌운다' 마구 잡기도 지난 2월부터 석 달 동안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1박2일 털게'는 그 털게가 아니었다
| 2013. 05. 15
생생 수산물 이야기 ① 털게 은지원 홀딱 반한 맛 털게는 왕밤송이게가 맞아 꽃게나 대게는 명함도 못 내밀 최고의 맛, 마리당 2만원 호가 ■ 연재를 시작하며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잡은 수산물은 주로 수협에 위탁판매를 하는데, 한...
-
해마다 1억 마리 죽이고 7명 죽는다
| 2013. 03. 05
불법·합법으로 해마다 잡는 상어 수 첫 집계, 번식률 웃돌아 멸종 위기 상어 지느러미 수요 급증 탓…국제 거래 규제 논의 3일 시작돼 다른 물고기와 달리 연골을 지닌 상어와 가오리류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전부터 살아온 척추동물...
-
그 많던 `국민 생선' 명태는 다 어디로 갔나
| 2013. 01. 09
어획량 1980년대 초 15만톤에서 2008년 `0'…남획에 기후변화 겹쳐 원양에서도 자원보호 이유로 조업중단 잇따라…어획량 늘어난 대구 연구 필요 ■ 서민의 밥상을 풍성하게 해주었던 명태 손발이 꽁꽁 얼 것 같은...
-
비린 첫맛, 쫀득하고 고소한 뒷맛, 그리고 중독 모드로
| 2012. 12. 20
황선도의 물고기 이야기-청어·꽁치 원래 청어로 만들지만 꽁치가 대중화 주역, 최근 청어 돌아오나 꽁치에 지방이 많아지는 초겨울 잡아 바닷바람에 얼 말린 것이 제격 과메기는 음력 동짓달 추운 겨울에 잡힌 청어를 배도 따지 않고 소...
-
'좌광 우도'? 글잣수로 가리는 광어 감별법 종결자
| 2012. 06. 07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⑥ 조피볼락과 넙치 눈 위치가 '오른쪽' 3글자면 가자미, '왼쪽' 2글자면 광어 국민 횟감 우럭은 암초 매복 터줏대감…광어 배 검은 반점은 양식 증거 ▲바위 옆에서 먹이를 노리는 조피볼락(우럭). 사진=...
-
장어 좋아해? 3000㎞ 여행을 생각해줘
| 2012. 03. 09
난 필리핀해에서 태어났어, 본능적 감각으로 금강에 왔지, 둑을 오르긴 어찌나 힘들던지… 댐과 보, 수질오염, 기후변화…실뱀장어 1㎏이 중형차 한대값, 어쩌면 영영 못볼지도 몰라 내 이름은 풍천장어야. 민물장어 또는 그냥 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