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곤증 날려버릴 '다람쥐 스트레칭', 따라해 보실래요

김성호 2012. 03. 22
조회수 44001 추천수 2

외로운 숲속 관찰자의 벗, 다람쥐…침 세수와 몸 단장, 스트레칭으로 번식철 대비

땅속에 굴 파고 번식, 위험 느끼면 나무 구멍으로 새끼 옮겨

 

봄꽃의 빛깔과 향기를 더욱 그윽하게 하려 꽃샘추위가 오셨습니다. 한겨울의 추위에 비하면 추위라고 할 것도 없지만 이미 마음은 봄으로 발을 디뎠기에 꽤 매섭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꽃샘추위야 잠시 있다 사라질 뿐이고 보면 이제는 바야흐로 다람쥐의 계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숲에서 홀로 지내는 시간이 길다 보니 외롭거나 쓸쓸하다 느낄 때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그럭저럭 견뎌낼 수 있는 것은 어쩌면 재롱둥이 다람쥐가 동무가 되어주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 결에 다람쥐 하나가 툭 튀어나오더니 지난 해 어딘가에 묻어두었을 알밤을 잘도 찾아내 알뜰하게 껍질을 벗긴 뒤 볼이 터져라 뚝딱 먹어치우는 모습이 참으로 귀엽습니다.

 

squirrel001.JPG squirrel002.JPG squirrel003.JPG squirrel004.JPG

▲다람쥐가 지난 해 어딘가에 숨겨두었던 토실토실한 알밤을 찾아내 먹고 있습니다.

 

다람쥐가 이른 아침 눈을 뜨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세수입니다. 세수 터로는 돌 위나 한적한 부러진 가지를 정합니다. 세수는 사람이 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먼저 앞 두발을 양손 삼아 얼굴을 위 아래로 쓸어내린 다음 목과 귀 주변을 훔쳐냅니다.

 

사람의 세수와 다른 점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 대신 사용하는 것은 자신의 침입니다. 세수를 마치고는 바로 몸단장에 들어갑니다. 등과 발 그리고 꼬리의 털까지 가지런히 쓸어내리며 단장을 합니다.

squirrel005.JPG squirrel006.JPG squirrel007.JPG squirrel008.JPG

▲다람쥐가 세수를 하는 모습입니다. 물 대신 침을 사용합니다.

 

squirrel009.JPG squirrel010.JPG squirrel011.JPG squirrel012.JPG squirrel013.JPG squirrel014.JPG

▲세수가 끝나면 온몸의 털을 고르며 몸단장을 합니다.

 

봄철은 다람쥐의 번식기에 해당합니다. 다람쥐는 기본적으로 땅속에 굴을 파고 새끼를 낳아 키웁니다. 그런데 천적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등 조금이라도 위협을 느끼면 여러 차례 보금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다 영역 내 어느 땅이라도 마땅한 곳이 없으면 마침내 새끼를 물고 나무에 뚫린 수동(樹洞) 또는 빈 딱따구리 둥지로 보금자리를 옮깁니다. 그러고 보면 새끼를 끔찍이 아끼는 마음은 사람이나 다람쥐나 다를 것이 없나 봅니다.

 

squirrel015.JPG squirrel016.JPG squirrel017.JPG squirrel018.JPG

▲다람쥐는 기본적으로 땅속 굴에서 새끼를 키우지만 땅속 굴이 마땅치 않으면 새끼를 물고 딱따구리 둥지로 옮겨 키웁니다.

 

이제 봄입니다. 봄은 다 좋은데 한 가지 은근히 귀찮은 것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춘곤증입니다. 숲 속의 다람쥐는 오후의 나른함을 스트레칭으로 극복합니다. 한 번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 둘, 셋, 넷….

 

squirrel019.JPG squirrel020.JPG squirrel021.JPG squirrel022.JPG

▲나른한 봄날 오후를 맞은 다람쥐의 스트레칭 모습입니다.

 

서울시는 총 49종의 생물을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2000년에 35종을 지정하였고, 2007년에 다시 14종을 추가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2007년 추가 지정 당시 포유류는 딱 1종만이 추가되었는데 그 종이 바로 다람쥐입니다.

 

흔한 것으로 알고 있는 다람쥐가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것에 조금 의아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야생 고양이의 증가와 질병 등으로 이제는 다람쥐조차 귀해진 것이 안타깝게도 현실입니다.

 

글·사진/ 김성호 물바람숲 필진,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김성호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큰오색딱따구리 육아일기><동고비와 함께한 80일><까막딱따구리의 숲>의 저자로서 새가 둥지를 틀고 어린 새들을 키워내는 번식일정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인내로 세세히 기록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리산과 섬진강에서 만난 생명들의 20년 이야기를 담은 생태에세이 <나의 생명수업>을 펴냈다.
이메일 : genexp@cho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philnatur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숲속 요정' 팔색조의 기막힌 둥지, 새끼 크면 부피 늘어'숲속 요정' 팔색조의 기막힌 둥지, 새끼 크면 부피 늘어

    김성호 | 2015. 09. 10

    가는 나뭇가지 이용한 돔 형태, 탄력 있는 구조여서 새끼 자라도 함께 커져 부화 19일만에 새끼는 둥지 떠나…통통 뛰며 숲바닥서 지렁이 찾는 희귀새  새가 번식할 곳이라면 들어가지 않았던 숲이 없었습니다. 대나무 숲, 딱...

  • 새들의 알 품기 고행에서 배운다새들의 알 품기 고행에서 배운다

    김성호 | 2015. 08. 27

    마지막 알 낳고 나서야 품기 시작, 동시 부화 위한 전략혼자 알 품는 암컷은 사나흘에 한 번만 잠지 둥지 비워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생명들이 더불어 살아갑니다. 이미 학술적으로 이름이 부여된 종만 해도 170만 종에 이...

  • 숲 요정 팔색조 목욕, 잠복 7일만에 찰칵숲 요정 팔색조 목욕, 잠복 7일만에 찰칵

    김성호 | 2014. 07. 22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드문 새의 하나인 팔색조, 목욕 장면 처음 드러내 위장막 잠복 1주일 만에 한 쌍이 계곡 목욕탕에…1주일 또 기다렸지만 그걸로 끝      ■ 새도 여름엔 헉헉거린다   장맛비가 오락가락 하는 사이로 ...

  • 한밤중 딱따구리 안방 차지, 소쩍새 번식 비밀한밤중 딱따구리 안방 차지, 소쩍새 번식 비밀

    김성호 | 2013. 11. 07

    큰오색딱따구리가 뚫어놓은 나무 둥지 가로채 번식지로 10일간 둥지 점령, 5일간 산란…60일만에 새끼 얼굴 '빼꼼'       가을이 깊어지며 들녘과 산기슭 여기저기에 들국화가 만발입니다. 이즈음이면 떠오르는 시 중에 '국화 옆에서'...

  • 동고비 106일 집뺏기 사투, 위대한 실패동고비 106일 집뺏기 사투, 위대한 실패

    김성호 | 2013. 10. 15

    딱따구리 낮 비운 새 하루 100번 10km 오가며 진흙 단장밤 되면 집주인이 허물어…신혼 살림하고 알 낳으며 ‘종전’   동고비에 대한 글 약속을 해를 넘겨 이제야 지킵니다. 지난 해, 딱따구리의 둥지를 제 둥지로 삼으려는 동고...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