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로 북적이는 5월, 휴일엔 하루쯤 직접 보호를

이준석 2017. 05. 10
조회수 14315 추천수 0

주말과 휴일엔 출동 직원 없어 발만 동동, 시민 협조 절실

까치 등 ‘유해 조수’도 구조 대상, 야생동물이면 차별 안 해


a2-1.jpg » 서산에서 시민이 직접 데려온 어린 참새. 참새 또한 까치나 비둘기처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인지 구조 대상인지를 묻는 분이 있습니다. 저희는 유해조수 여부를 묻지 않고 가축 아닌 모든 동물을 구조합니다.


주말과 공휴일엔 신고전화가 많이 옵니다. 안타깝지만 대부분 출동할 수가 없습니다. 마음이야 굴뚝같지만 직원이 많지 않은 주말과 공휴일엔 현재 계류 중인 동물들을 돌보기에도 벅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늘 이런 부탁을 드리게 됩니다. 저희가 출동할 때까지 하루, 길게는 이틀 정도 보호해 주실 순 없을까요? 가능하다면 구조센터까지 동물을 데려와 주실 순 없을까요? 저희가 생각하기에도 쉽지 않은 부탁이지만 많은 분들이 흔쾌히 보호하거나 감사하게도 직접 데려와 주기도 한답니다.


a1.jpg » 구조 당시의 어린 까치(왼쪽)와 현재 모습. 시민이 천안에서 직접 데려온 새입니다. 무럭무럭 건강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종종 신고할 때 '까치나 비둘기도 구조하나요?'라고 질문하는데요.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선 가축을 제외하곤 그 어떤 동물도 차별 없이 구조하고 치료한답니다.


a3.jpg » 신고자의 보호 덕에 무사히 야생으로 돌아간 소쩍새. 건물에 충돌했을 때 안전한 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면 금세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이 아무렇지도 않게 날아가기도 합니다.


어린 생명이 태어나는 계절은 슬프게도 가장 많은 동물이 구조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여름이 가까워질수록 점점 더 많은 동물이 구조될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손을 조금 더 빌려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친 야생동물을 치료해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구조센터만이 아닌 여러분의 관심과 협조가 큰 몫을 차지합니다. 다친 동물을 돕고자 신고해 주시는 분들의 바람을 항상 들어드리진 못해 죄송하면서도 동물을 도우려는 따뜻한 마음과 적극적인 협조에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a4.jpg » 구조된 어린 올빼미, 멧비둘기.


a5.jpg » 왼쪽 위부터 구조된 어린 솔부엉이, 까치, 황로, 다람쥐.


a6-1.jpg » 적극적인 협조와 빠른 신고 덕에 어릴 때 구조돼 무사히 야생으로 돌아간 삵.


a6-2.jpg » 구조된 흰뺨검둥오리의 어린 새끼와 자연으로 돌아간 모습.


구조된다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던 우리 주변의 야생동물이 어찌할 수 없는 이유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런 동물을 향한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 덕에 매년 많은 동물이 야생으로 돌아갑니다. 여름이 다가오고 구조센터는 정신없이 바쁜 나날들을 보내겠지만 항상 여러분과 함께한다는 걸 기억하겠습니다. 가녀린 생명을 위한 여러분의 작지만 큰 행동이 헛되지 않게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준석/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연구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이준석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연구원
이메일 : gujume@naver.com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다친 동물들을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매일의 사투다친 동물들을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매일의 사투

    이준석 | 2018. 08. 01

    야생동물 구조센터 24시먹이 조르는 어린 새, 포유류 배변 유도와 분유 주기재활훈련, 투약, 강제 급식…쉴 새 없이 울리는 신고 전화청소도 필수, 자원활동가 도움 절실…최선 다해도 또 죽음졸린 눈을 비비며 도착한 구조센터에 발을 딛는 순간부...

  • 밀어닥치는 어린 죽음, 동물구조센터의 ‘잔인한 봄’밀어닥치는 어린 죽음, 동물구조센터의 ‘잔인한 봄’

    이준석 | 2018. 04. 26

    소쩍새, 수리부엉이, 삵, 고라니…여름 전쟁터 앞둔 폭풍 전야충돌, 둥지 파괴, 납치 등 어린 생명의 고통과 죽음 몰려들어꽃샘추위가 지나고 벚나무는 꽃잎을 떨어뜨려 푸릇한 요즘 새들은 저마다 둥지를 짓느라 분주하고, 여름 철새는 하나둘 돌아...

  • 몸에 좋고 맛도 좋다? 겨울잠 깬 뱀들의 수난시대몸에 좋고 맛도 좋다? 겨울잠 깬 뱀들의 수난시대

    김봉균 | 2018. 03. 14

    좁은 덫에서 서로 짓눌려 죽고, 독사 섞여 풀기도 힘들어잘못된 보신 문화 여전…인공증식 핑계로 단속도 힘들어가을에서 겨울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뱀을 구조해 달라는 신고가 들어오면 센터 직원들은 바짝 긴장합니다. 뱀을 다루는...

  • 고라니 먹은 독수리는 왜 납중독에 걸렸나고라니 먹은 독수리는 왜 납중독에 걸렸나

    김봉균 | 2018. 01. 31

    농약, 납 총탄 등 사체 먹은 맹금류 피해 잇따라고라니 사체 먹이로 주기 전에 엑스선 촬영해야매년 겨울철이면 최상위 포식자에 속하는 독수리나 흰꼬리수리 같은 대형 맹금류가 구조되어 들어옵니다. 녀석들은 덩치도 크고 하늘에서 바람을 타고 ...

  • 버려진 밭 그물, 새들에겐 ‘죽음의 덫’버려진 밭 그물, 새들에겐 ‘죽음의 덫’

    김봉균 | 2018. 01. 02

    새매, 물까치 등 걸려 서서히 죽어가제구실 못해도 방치, 주인·당국 무관심야생동물이 살아가는 길을 방해하는 것은 무수히 많다. 갑자기 눈앞을 가로막는 회색빛 건물과 유리창이 즐비하고, 눈부신 빛과 굉음을 내뿜으며 내달리는 자동차와 도로 역...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