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결과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13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DDT에서 비스페놀A까지...유해화학물질의 역사DDT에서 비스페놀A까지...유해화학물질의 역사

    이동수 | 2018. 06. 20

    합성화확물질 전 세계 수십만종, 당장 유용성만 믿다가는 '뒤탈'급성독성 더해 미묘한 장기 영향 포함한 만성적 건강영향 검토 필요 유해물질 사망자 연 600만명우리는 지금 유해화학물질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그로 인한 각종 피해로 신경...

  • 돈 받고 지식 파는 ’청부과학자’를 믿을 것인가돈 받고 지식 파는 ’청부과학자’를 믿을 것인가

    이동수 | 2018. 04. 20

    불확실성 이유로 유해화학물질 '사전예방' 가로막아잘 모를수록 미리 조심하는 것이 피해 막는 근본 해법로마제국의 멸망이 왕이나 귀족이 납으로 만든 수도관이나 술잔을 사용하면서 납중독으로 미치게...

  • 석유화학공단에 지진이 나도 우리는 안전할까석유화학공단에 지진이 나도 우리는 안전할까

    이수경 | 2018. 04. 06

    전국 11만여 화학시설, 사고 예방 못하면 '지뢰'주거지역과 안전거리 확보 등 재구조화 시급산업단지(산단)의 잇따른 폭발사고와 누출사고로 주민이 불안하다(그림 1). 2017년 7월 여수산단 안 롯데케미칼 제1공장의 폴리프로필렌 저장고(사일로)에서 폭...

  • 유해화학물질,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해결한다유해화학물질,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해결한다

    이수경 | 2018. 01. 05

    집안에 가전제품 쌓아두고도 반도체 산재 무관심 놀라워노동자 작업환경이 상품의 위해성을 막아 내는 방파제삼성전자와 반도체의 직업병이 사회문제가 된 지 10년 만인 2017년, 마침내 ‘삼성 직업병’이 법적으로 폭넓게 인정되기 시작했다. 그간 삼...

  • 끝나지 않는 생리대·달걀 불안…소비자가 무슨 죄끝나지 않는 생리대·달걀 불안…소비자가 무슨 죄

    이수경 | 2017. 11. 23

    불편 감수한 소비자 결단, 정부와 생산자는 손놓아‘살충제 계란’ `유해 생리대' ‘조류독감’ 등 미봉책만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의 문제 제기로 시작된 생리대 유해성 논란이 해가 저물도록 해결되지 않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처음에는...

  • 홍합·굴 통해 매년 미세플라스틱 1만1천개 먹는다홍합·굴 통해 매년 미세플라스틱 1만1천개 먹는다

    이동수 | 2017. 11. 15

    내장째 먹어 그대로 섭취, 수돗물에도 들어있어 물속 미세플라스틱은 ‘화학물질 칵테일’, 대책 시급       ■ 수돗물에서도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미국의 비영리 언론기관 오르브 미디어(Orb Media)는 미네소타대학교 공중보건대학과의 ...

  • `100억 이익 위해 수천명 사상' 참사 막으려면`100억 이익 위해 수천명 사상' 참사 막으려면

    이동수 | 2017. 02. 22

    정부와 정치권만 빠져나간 가습기 살균제 참사 책임징벌적 손해배상과 집단소송제로 사전예방 이끌어야우리 사회에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의 하나는 먼저 사고 책임자를 분명히 가려내 배상과 처벌 등 응분...

  • 대기 발암물질 위험성 가장 큰 지역 충남, 전북, 울산대기 발암물질 위험성 가장 큰 지역 충남, 전북, 울산

    장영기 | 2016. 12. 12

    니켈, 1·3-부타디엔, 에틸벤젠 등 유해성 큰 물질 배출 많아울산 여천동은 1급 발암 벤젠 환경기준 초과…측정망 확충 시급주요 8개 항목과 180여 유해물질 측정현재 우리나라에서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 관리하는 오염물질은&...

  • 내 힘으로 우리 동네 발암물질 줄이는 요령내 힘으로 우리 동네 발암물질 줄이는 요령

    김찬국 | 2016. 03. 21

    환경부 유해화학물질 정보시스템 100% 활용법최대 배출량 충북, 시민·지자체·기업 노력으로 감축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도 발암물질이 배출될까? 지난 1월 이 기획연재에 실린 글 ‘우리 동네 유해화학물질, 알아야 지킨다’에서는 화학물질...

  • 왜 우리는 가습기 살균제에 분노하지 않는가왜 우리는 가습기 살균제에 분노하지 않는가

    김찬국 | 2015. 12. 28

    확인된 피해자 530명 사망자 143명, 불매운동은 잠잠 800만 사용자 중 어떤 피해 나올지 몰라, "분노하고 행동하라"가습기 살균제 사태, 그 시작과 현재  2011년 임신부와 영유아들이 잇따라 숨지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