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제왕, 참수리의 사냥법
발견한 물고기에서 눈 떼지 않은 채 날카로운 발톱으로 낚아채
`아뿔싸 실수' 흰꼬리수리에 뺏길라 부리나케 선회비행해 사냥
» 두툼한 노란색 부리와 날카로운 눈매의 참수리는 국제보호종이며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된 드문 겨울철새이다.
자연은 아무런 꾸밈이나 기교 없이 명징하게 생명의 참모습과 현상, 더 나아가 그 생명의 본질을 알려준다. 자연은 우리들의 얼크러진 삶의 실타래를 정연하게 만드는 무한한 힘을 지니고 있다. 또한 때 묻고 탁해진 우리들의 마음과 눈을 순수란 빛으로 다시 채워준다.
자연생태를 사진으로 담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연이 베풀어주지 않으면 인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다림은 고통이나 결과는 아름답다. 겨울 한강 팔당 일대에서 참수리의 물고기 사냥 모습을 담으면서 떠오른 생각이다.
■ 먹이를 발견하고 사냥에 나선 참수리
» 누치를 발견하고 방향을 바꾸는 참수리.
» 방향을 바꾸며 사냥감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 방향을 튼 참수리.
» 쏜살같은 비행이 시작되었다.
» 사냥감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다.
» 수면 위로 곤두박질치는 참수리.
» 수면 가까이 내려가는 참수리.
» 물 위에 떠오른 누치는 참수리가 달려드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 참수리는 발에 힘을 빼고 사냥감을 낚아챌 준비를 한다.
» 발을 슬며시 뒤로 젖힌다.
» 참수리의 발가락이 앞으로 모였다.
» 면도날같이 날카로운 발톱이 사냥감 누치를 향해 찰나에 펼쳐진다.
» 사냥이 끝나는 순간이다.
» ‘아뿔싸. 놓쳤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더니 참수리의 체면이 구겨졌다.
» 사냥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날던 참수리가 엄청난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앞을 향해 나간다.
■ 사냥감을 놓친 참수리의 재도전
» “앗, 놓쳤네.”
» 놓친 사냥감을 바라보는 참수리.
» 사냥감을 향해 숨 가쁘게 되돌아서는 참수리.
» 참수리의 다급함이 역력하다.
» 주위에서 사냥감을 노리는 흰꼬리수리들에게 사냥감을 빼앗길까 봐 불안하다.
» 눈초리에 살기를 띤다.
» 누치를 매섭게 노려본다.
» 참수리의 날카로운 발톱에 맞아 널브러져 있는 누치.
» 누치를 향해 돌진하는 참수리.
» “이번엔 꼭 잡아야지.”
» 먹이 앞에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 부채 모양으로 꼬리를 펼친다.
» 순식간에 누치가 다시 걸려들었다.
» 마치 폭죽이 터지듯 물보라를 일으키고 있다.
» 이번엔 성공이다.
» 참수리 왼쪽 발에 묵직한 누치가 매달려 있다.
» 한 발로도 거뜬하다.
» 참수리가 사냥한 자리엔 선명한 파문이 남는다.
» 여유 있게 사냥감을 가지고 가는 참수리.
자연이란 그 자체가 스스로 그러하듯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다. 자연에 깊이 다가갈수록 우리는 생명의 본고향으로 인도되며 깨닫고 발견하게 될 것이다.
글·사진 윤순영/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