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제왕, 참수리의 사냥법

윤순영 2017. 02. 23
조회수 29572 추천수 0

발견한 물고기에서 눈 떼지 않은 채 날카로운 발톱으로 낚아채

`아뿔싸 실수' 흰꼬리수리에 뺏길라 부리나케 선회비행해 사냥


c1.jpg » 두툼한 노란색 부리와 날카로운 눈매의 참수리는 국제보호종이며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된 드문 겨울철새이다.


자연은 아무런 꾸밈이나 기교 없이 명징하게 생명의 참모습과 현상, 더 나아가 그 생명의 본질을 알려준다. 자연은 우리들의 얼크러진 삶의 실타래를 정연하게 만드는 무한한 힘을 지니고 있다. 또한 때 묻고 탁해진 우리들의 마음과 눈을 순수란 빛으로 다시 채워준다. 


자연생태를 사진으로 담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연이 베풀어주지 않으면 인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다림은 고통이나 결과는 아름답다. 겨울 한강 팔당 일대에서 참수리의 물고기 사냥 모습을 담으면서 떠오른 생각이다.


■ 먹이를 발견하고 사냥에 나선 참수리


c2.jpg » 누치를 발견하고 방향을 바꾸는 참수리.

 

c3.jpg » 방향을 바꾸며 사냥감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c4.jpg » 방향을 튼 참수리.


c5.jpg » 쏜살같은 비행이 시작되었다.


c6.jpg » 사냥감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다.


c7.jpg » 수면 위로 곤두박질치는 참수리.


c8.jpg » 수면 가까이 내려가는 참수리.


c9.jpg » 물 위에 떠오른 누치는 참수리가 달려드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c10.jpg » 참수리는 발에 힘을 빼고 사냥감을 낚아챌 준비를 한다.


c11.jpg » 발을 슬며시 뒤로 젖힌다.


c12.jpg » 참수리의 발가락이 앞으로 모였다.


c13.jpg » 면도날같이 날카로운 발톱이 사냥감 누치를 향해 찰나에 펼쳐진다.


c14.jpg » 사냥이 끝나는 순간이다.


c15.jpg » ‘아뿔싸. 놓쳤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더니 참수리의 체면이 구겨졌다.


c16.jpg » 사냥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날던 참수리가 엄청난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앞을 향해 나간다.


■ 사냥감을 놓친 참수리의 재도전


c17.jpg » “앗, 놓쳤네.”


c18.jpg » 놓친 사냥감을 바라보는 참수리.


c19.jpg » 사냥감을 향해 숨 가쁘게 되돌아서는 참수리.


c20.jpg » 참수리의 다급함이 역력하다.


c21.jpg » 주위에서 사냥감을 노리는 흰꼬리수리들에게 사냥감을 빼앗길까 봐 불안하다.


c22.jpg » 눈초리에 살기를 띤다.


c23.jpg » 누치를 매섭게 노려본다.


c24.jpg » 참수리의 날카로운 발톱에 맞아 널브러져 있는 누치.


c25.jpg » 누치를 향해 돌진하는 참수리.


c26.jpg » “이번엔 꼭 잡아야지.”


c27.jpg » 먹이 앞에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 부채 모양으로 꼬리를 펼친다.


c28.jpg » 순식간에 누치가 다시 걸려들었다.


c29.jpg » 마치 폭죽이 터지듯 물보라를 일으키고 있다.


c30.jpg » 이번엔 성공이다.


c31.jpg » 참수리 왼쪽 발에 묵직한 누치가 매달려 있다.


c32.jpg » 한 발로도 거뜬하다.


c33.jpg » 참수리가 사냥한 자리엔 선명한 파문이 남는다.


c34.jpg » 여유 있게 사냥감을 가지고 가는 참수리.


자연이란 그 자체가 스스로 그러하듯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다. 자연에 깊이 다가갈수록 우리는 생명의 본고향으로 인도되며 깨닫고 발견하게 될 것이다. 


글·사진 윤순영/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