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결과

'초식동물'에 대해 11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비거니스트 판다, 몸 속은 육식동물비거니스트 판다, 몸 속은 육식동물

    조홍섭 | 2019. 05. 08

    섭취 에너지 50%가 단백질…초 육식동물 수준온종일 대나무만 먹는 자이언트판다는 의심할 여지 없이 초식동물이다. 하지만 분류학적으로 판다는 곰과에 속한다. 곰은 육식동물을 일컫는 식육목에 포함된다. 판다는 어떻게 육식동물에서 초식동물로 진...

  • 북극토끼는 청소동물, 스라소니와 동족 사체 먹어북극토끼는 청소동물, 스라소니와 동족 사체 먹어

    조홍섭 | 2019. 01. 15

    먹이 부족한 혹한기 죽은 동물 사체 일상적으로 먹어평소 천적인 스라소니, 동족 토끼, 뇌조 깃털도 메뉴에‘다람쥐는 도토리를 먹고, 토끼는 풀을 먹고…’ 초식동물에 관한 이런 통념이 깨지고 있다. 다람쥐는 애벌레가 많아지는 봄이 오면 이 영...

  • 제 똥 먹는 토끼, 이유 있었다제 똥 먹는 토끼, 이유 있었다

    조홍섭 | 2019. 01. 09

    단단한 똥 말고 무른 똥 섭취…단백질, 비타민 등 영양분과 미생물 풍부못 먹게 하면 성장 억제, 영양실조…소가 되새김질하는 것과 같은 원리토끼에게는 자기 똥을 먹는 독특한 식습관이 있다. 오래전부터 알려진 이런 행동의 이유가 밝혀지고 있...

  • 소가 풀 뜯을 때 진딧물은? 땅으로 뛰었다 업혀 복귀소가 풀 뜯을 때 진딧물은? 땅으로 뛰었다 업혀 복귀

    조홍섭 | 2018. 12. 12

    대형 초식동물 접근하면 80%가 ‘점프’로 먹힐 위험 피해새끼는 걸음 빠른 성체 등에 업혀 숙주식물로 돌아가진딧물이 포식자를 피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상대를 피해 잎이나 줄기 건너편으로 걸어 피하거나 아예 땅바닥으로 몸을 던지는 것이다...

  • 몸무게 6천톤 지구 최대 생물, 사슴 앞에 무릎 꿇다몸무게 6천톤 지구 최대 생물, 사슴 앞에 무릎 꿇다

    조홍섭 | 2018. 10. 24

    4만7천그루 나무로 이뤄진 ‘숲 나무’ 수천년째 생존개발과 늑대 제거로 사슴 급증, 어린 나무 사라져 위기지구에서 가장 큰 동물은 육지에선 아프리카코끼리로 몸무게가 6톤(t)에 이른다. 그러나 바다까지 넓히면 대왕고래의 170톤(t)과 비교가 안 ...

  • 사자에 쫓긴 얼룩말…미꾸라지처럼 뛰어야 산다사자에 쫓긴 얼룩말…미꾸라지처럼 뛰어야 산다

    조홍섭 | 2018. 01. 25

    포식자 속도, 가속, 감속 능력 압도적피식자는 저속 급격한 방향전환 유리숨을 곳 없이 끝없이 펼쳐진 아프리카 사바나 초원에서 초식동물이 사자나 치타로부터 살아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작정 속도경쟁만 한다면 느린 쪽은 모두 잡아먹히고 ...

  • 익사 초식동물이 세렝게티 강 살찌워익사 초식동물이 세렝게티 강 살찌워

    조홍섭 | 2017. 06. 20

    케냐 마라 강에 해마다 6200마리 누 익사, 대왕고래 10마리가 빠져 죽는 셈물고기, 독수리, 악어 말고도 강 유역 생태계 광범한 영향…지구 마지막 ‘익사 생태계’아프리카 케냐의 세렝게티 평원은 야생동물의 천국이다. 이곳을 다룬 자연 다큐멘터...

  • 식물 55% 꿀에 카페인 타 꿀벌 ‘착취’식물 55% 꿀에 카페인 타 꿀벌 ‘착취’

    조홍섭 | 2015. 10. 20

    원래 초식동물 쓴맛으로 물리치기 위해 잎에 있던 성분, 식물 55%가 꽃꿀에"꿀벌에 약물 주입하는 셈", 꿀벌은 카페인 의존으로 꿀 생산 15% 줄어   영국에서 노동자 계급에 홍차를 보급한 배경에는 노동자들이 오후에 피로를 풀고 더 열...

  • 시속 15m로 이동, 게으른 판다를 위한 변명시속 15m로 이동, 게으른 판다를 위한 변명

    조홍섭 | 2015. 07. 14

    하루 14시간 대나무 먹지만 섬유질 분해 세균 없어 17%만 섭취 생존 비결은 극도로 적은 에너지 소비, 나무늘보와 비슷한 대사율     자이언트판다는 인기 있는 전시동물이자 생물다양성 보전의 상징이다. 귀여운 외모와 함께 느린 동...

  • 초식동물 사라지면 아카시아도 가시 버린다초식동물 사라지면 아카시아도 가시 버린다

    조홍섭 | 2014. 10. 22

    임팔라의 포식자 회피행동이 먹이 식물에 영향 끼쳐 맹수 없는 열린 초원에는 임팔라 꺼리는 가시 아카시아 번창     초식동물은 느긋하다. 일시적인 꽃이나 열매를 찾아 헤매거나 죽기 살기로 달아나는 먹이를 잡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