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판 폐기물 목에 걸고 러시아로 떠난 팔당 큰고니

윤순영 2016. 03. 03
조회수 43295 추천수 0

지난달 말 입체간판용 고무 폐기물 목에 건 모습 팔당서 관찰

입 벌리고 비행, 목 부어 호흡 지장 받는 듯…낚시대 걸린 흰비오리도

 

크기변환_DSC_5695.JPG » 플라스틱 쓰레기를 목에 건 채 날고있는 큰고니. 목이 조여 숨이 가쁜지 입을 벌린 채 팔당호 부근을 날고 있다. 사진=김응성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남양주시 지회장

 

목에 이상한 물체를 걸고 있는 큰고니가 발견됐다는 제보를 받았다. 김응성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남양주시 지회장이 팔당에서 2월25일 촬영한 큰고니였다.

 

크기변환_DSC_5693.JPG » 쓰레기는 사람의 손으로 제거해 주기 전에는 뺄 수 없게 목에 꼭 끼어 있다. 목 아래가 부어 있는 모습이 보인다.사진=김응성  

 

큰고니의 목에 걸린 8자 모양의 물질을 자세히 살펴보니 간판을 만들 때 쓰이는 이른바 '고무 스카시' 같았다. 입체 간판을 만들 때 쓰는 글자 모양의 고무를 가리킨다.

 

크기변환_YSY_1472.jpg » 이 큰고니가 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보면 대부분 입을 열고 있어 목에 졸린 폐기물로 인한 호흡에 지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사진=김응성

 

이 간판 폐기물은 물에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큰고니가 먹이를 먹다가 목에 끼인 채로 점점 깊숙이 끼워진 것으로 보인다. 천연기념물인 희귀 철새가 무분별하게 버려진 쓰레기 더미에서 먹이를 찾다가 이런 일을 당했을 것이다.

 

크기변환_YSY_7398.jpg » 팔당에서 월동하는 큰고니 무리. 사진=윤순영

    

크기변환__DSC5791.jpg » 얼어붙은 경안천에서 자리다툼을 하는 큰고니. 사진=윤순영

 

팔당에는 해마다 150여 마리의 큰고니가 찾아와 겨울을 나며 지류인 경안천을 오가며 먹이를 찾고 휴식을 취한다. 이번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뒤집어 쓴 큰고니는 이미 번식지를 향해 북상해 팔당을 떠났다.

 

크기변환_DSC_5691.JPG » 힘겹게 고향길을 향하는 큰고니. 사진=김응성

 

크기변환_DSC_5690.JPG » 사진=김응성

 

큰고니는 2월말이면 월동지를 떠나 3000㎞나 떨어진 머나먼 번식지로 돌아간다. 플라스틱 목걸이를 한 팔당의 큰고니는 아마 러시아 어딘가로 향해 이동중일 것이다. 쉽게 벗어날 수 없는 멍에를 목에 걸고….

 

팔당호 하류에서 팔당대교 사이의 수변공간에는 쓰레기가 여기저기 걸려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지난해 12월21일 이곳에서 흰비오리 한마리가 버려진 낚시대에 걸려 옴쭉달쭉 못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다.

 

크기변환_YSY_5930.jpg

 

크기변환_YSY_5936.jpg

 

크기변환_YSY_5942.jpg » 흰비오리는 물속으로 잠수해 물고기를 잡아먹는 겨울 철새다. 그런데 이 새는 잠수하다 버려져 땅에 박혀 있는 낚시대의 낚시줄에 다리가 걸린 것 같았다. 물속으로 들어가지도 물위에 떠오르지도 못하고 엉거주춤 물위를 맴돌고 있었다. 이 흰비오리는 체온 상실과 굶주림으로 죽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진=윤순영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