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애 강한 큰고니, 다양한 언어로 소통

윤순영 2017. 02. 10
조회수 27291 추천수 0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팔당 큰고니

집합, 경고, 위협, 비상, 사랑의 소리…

평화로운 동물이지만 가끔 영역싸움

서로 날개와 목 추어올리며 힘자랑

몸무게는 8~12㎏으로 꽤 무거워

수면 박차고수십m 달려야 겨우 이륙


1.jpg » 팔당 여울 주위를 여유롭게 날고 있는 큰고니 한 쌍.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다.


2.jpg » 무리에서 빠져나온 큰고니 한 마리가 여울의 바위 곁을 헤엄치고 있다.

해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새 가운데 큰고니는 가장 크고 기품 있다. 게다가 대도시 근처인 경기도 팔당에서도 화사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큰고니는 평소 넓은 호수나 강가 얕은 물에서 긴 목을 이용해 자맥질하여 물속 식물을 뜯어 먹는다. 그러나 날씨가 추워져 호수나 강이 얼면 여울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팔당이 그런 곳이다.

3.jpg » 큰고니가 날고 있는 뒤편으로 아파트가 보인다.

4.jpg » 꽁꽁 얼어붙은 팔당. 여울이 있는 곳에서 물안개가 피어오르고 저 멀리 흐릿하게 팔당대교와 하남 시가지가 보인다.

5.jpg » 물안개가 서서히 걷히자 큰고니가 모습을 나타낸다.

6.jpg » 여울에서 자맥질하는 큰고니.

지난달 말께 매서운 한파가 몰려오자 여울 때문에 물이 얼지 않는 팔당으로 큰고니 400여마리가 속속 몰려들었다. 가까운 거리에서 큰고니를 관찰할 좋은 기회다. 팔당을 찾는 큰고니는 주로 경안천과 양수리 두물머리 주변에서 생활하고 환경 변화에 따라 자리를 바꾸지만 주 서식지이자 잠자리는 팔당이다.

7.jpg » 얼지 않은 여울을 따라 이동하는 큰고니 가족.

8.jpg » 앞에선 큰고니를 따라 질서 정연하게 이동하는 큰고니 무리.

9.jpg » 한시도 경계를 게을리 하지 않고 주변을 살피고 있다.

큰고니는 가족 사이에 강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부분 가족 단위로 무리를 이룬다. 이렇게 해야 위협 요인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큰고니는 특히 집합, 경고, 위협, 위험, 비상, 사랑을 표현하는 다양한 소리언어와 몸짓언어를 구사한다. 그 덕분에 질서정연한 행동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10.jpg » 영역에 들어선 다른 큰고니를 내쫒으려 몸짓과 소리로 경고를 보내는 큰고니 가족. 어린 큰고니도 합세할 기세다.
 
11.jpg » 상대가 딴청을 부리며 모른척 하자 맹렬히 공격하는 어미를 물끄러미 쳐다만 보는 어린 큰고니.

12.jpg » 다른 큰고니를 영역에서 몰아내고 자축하는 큰고니 가족. 

큰고니는 평화로운 동물이지만 가끔 영역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때 양쪽은 서로 마주 보고 날개를 들어 올린 채 목을 추어올리며 힘을 과시한다. 

이렇게 해서 결판이 나지 않으면 커다란 몸집으로 물보라를 일으키며 상대에게 무섭게 돌진한다. 당장에라도 죽일 듯이 달려들지만 대부분은 한쪽이 기세에 눌려 맥없이 끝난다.

13.jpg » 어미 뒤를 바짝 붙어 따르는 어린 큰고니.
 
14.jpg » 서서히 자리를 피해 멀어져가는 큰고니 가족.

새끼가 있는 큰고니는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무리와 떨어져 있다. 회색빛의 어린 큰고니는 어미 곁을 한시도 떠나지 않고 졸졸 따라다닌다. 덩치는 어미만큼 크지만 경험이 부족한 어린 새끼는 처음 접하는 낯선 환경과 겨울나기가 힘겹다.

15.jpg » 어미 뒤를 급하게 따라가는 어린 큰고니.
 
16.jpg » 어린큰고니의 깃털은 회색을 띤다.

17.jpg » 큰고니는 날 때 항상 무리를 이룬다.
 
특히 어미는 새끼 고니가 날아오르느라 불필요한 힘을 소비하지 않도록 안전한 자리를 차지하는 등 세심한 배려를 기울인다.

18.jpg » 무거운 몸무게 때문에 수상스키를 타듯 수면에 내려앉는 큰고니.

19.jpg » 큰고니 부부가 도약의 첫발을 내 딛는다.

20.jpg » 수면에 물 흔적을 남기며 질주하는 큰고니.

21.jpg » 큰고니의 비상에는 생각보다 많은 힘이 소비된다.

큰고니의 몸무게는 8~12㎏으로 꽤 무겁다. 이런 몸을 띄우려면 수면을 박차고 수십m를 힘겹게 달려야 한다. 육중한 비행기가 이륙하는 모습과 비슷하다. 

그래서 다급한 위협 요인이 없는 한 잘 날아오르려 하지 않는다. 사람으로부터 먼 곳에 자리 잡는 이유이기도 하다. 큰고니가 날지 않아도 되도록 거리를 유지하며 교란을 줄이는 것도 탐조의 예의다.

22.jpg » 짬을 내 사랑을 확인하는 큰고니 부부.

23.jpg » 저녁이 되자 잠자리로 향해 가는 큰고니.

글·사진 윤순영/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