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날리기 새 취미, 겨울철새 쉴 곳 잃을라

윤순영 2018. 01. 19
조회수 18741 추천수 0

몸 무거운 큰고니 한 번 나는데 반나절 먹이 사라져

강 복판 피신한 고니를 드론으로 괴롭혀, 규제 시급


크기변환_YSY_5701.jpg » 경기도 팔당 한강 수면 위에 나타난 드론.


드론이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기를 뜻한다. 드론은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농약 살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신기술에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다. 


지난 11일 경기도 팔당에 드론 1대가 떠다니고 있었다. 이곳은 멸종위기종인 참수리흰꼬리수리, 참매, 호사비오리, 원앙, 말똥가리 등 다양한 새들의 월동지이다


처음 보는 물체에 팔당에서 월동하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큰고니들이 야단법석이다. 큰고니 300여 마리가 월동하는 지역을 순찰하듯이 드론이 접근하자 큰고니들이 당황하여 피하거나 자리를 뜬다. 드론은 이런 광경이 즐거운 듯 계속해서 쫒아 다닌다.


크기변환_YSY_7391.jpg » 매년 300여 마리의 큰고니가 팔당에서 겨울을난다.


드론의 횡포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곳에서 지속적으로 이런 일이 발생했지만 원격조종을 하기 때문에 어디서 누가 조종하는지 알 수 없어 단속이 어려웠다. 큰고니에게 위협을 가하는 드론을 추적해 보았다.


크기변환_YSY_5688.jpg » 드론이 큰고니를 귀찮게 쫓아 다닌다.


크기변환_YSY_5645.jpg » 큰고니 머리 위에 드론이 떠있다. 새들은 처음 보는 물체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크기변환_YSY_5652.jpg » 교란을 피해 강 가운데 자리 잡았던 큰고니는 다시 새로운 괴롭힘을 만나 자리를 옮겨야 한다.


크기변환_YSY_5737.jpg » 큰고니를 추적하다 갑자기 사진을 찍는 필자 앞으로 달려드는 드론, 주변에 있던 사람들 모두 구경거리가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드론이 우리를 향해 달려든다. 카메라가 드론을 촬영하는 것을 눈치챈 것 같았다. 코앞까지 다가와 희롱을 일삼아 엄청난 불쾌감이 몰려왔다. 새들도 모자라 사람까지 멋대로 촬영하다니.


크기변환_YSY_5686.jpg » 영문도 모르는 물체에 큰고니 무리는 당황스럽기만 하다.


크기변환_DSC_4769.jpg » 지속적인 추적으로 큰고니를 학대하는 드론. 큰고니 무리가 슬금슬금 자리를 피한다.


마침내 드론을 조종하는 사람을 찾았다. 40대 초반으로 보인다. 다가가도 눈치채지 못하고 휴대폰에 연결된 영상을 보며 마냥 즐거워하고 있었다. 두 사람이었다


팔당은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경계울타리를 쳐 둔 상수원 보호 구역이다. 그 안에 들어가 불법으로 드론를 조종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선 그 자리에서 나오게끔 했다.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크기변환_YSY_3785.jpg » 드론으로 인해 큰고니가 날아오른다. 고니는 몸무게가 무거워 한 번 나는데 반나절 먹은 먹이가 소모된다고 한다.


크기변환_YSY_5621.jpg » 이곳저곳에서 큰고니들이 난리다.


팔당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남양주시 물 공원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어 안내 현수막을 설치하였으나 법적인 근거를 대라는 드론 동호인들의 빗발치는 항의에 철거했다고 한다.


크기변환_YSY_5718.jpg » 드론이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동물보호법은 조류를 포함한 척추동물에게 정당한 사유 없이 불필요한 신체적 고통이나 스트레스를 주는 행위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비록 이 법이 동물 학대에 너무 느슨하게 적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법 정신에 비추어 법정보호종을 보호구역에서 못살게 구는 것도 동물 학대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사람과 차량을 피해 강 복판으로 피신했는데, 그곳까지 드론으로 찾아가 괴롭힌다면 겨울철새는 쉴 곳이 없는 셈이다.


크기변환_YSY_5724.jpg » 큰고니를 쫓아다니다 이를 추적하던 사진가들이 있는 곳으로 와 살펴보는 드론.


크기변환_20180101_150020.jpg » 큰고니를 괴롭힌 드론 조종자들.


그들의 잘못된 행위를 명확하게 밝히고 사과를 받았다. 드론이 야생동물의 영역을 침범해 위협하는 일이 종종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드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드론의 사용이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야생동물들은 이제 하늘에서도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에 의해 촬영이라는 명목으로 위협을 당하고 있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20180101_150832.jpg » 단속에 의해 회수된 드론.


드론에 의한 야생동물 피해를 막을 세부적인 규제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 2020. 05. 15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 2019. 12. 23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