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포식자 사마귀, 거미줄 탈출도 수준급

조홍섭 2019. 07. 05
조회수 34469 추천수 1

거미줄 걸린 26마리 중 21마리 탈출…강력한 입으로 거미줄 끊어

 

m1.jpg » 거미줄에 걸린 왕사마귀를 포획하기 위해 긴호랑거미가 꽁무니에서 끈적한 거미줄을 던지고 있다. 수기라 신지 외 (2019) ‘생태학’ 제공. 

곤충계 최고 포식자인 사마귀의 먹이는 곤충뿐 아니라 도마뱀, 개구리, 쥐, 새, 거북, 물고기 등 포유류와 양서·파충류, 어류까지 아우른다(▶관련 기사: 곤충계 최고 포식자 사마귀, 물고기도 잡아먹는다). 그렇다면 사마귀가 거미줄에 걸린 상태로 같은 절지동물 포식자인 거미와 만난다면 어떻게 될까.

 

곤충학자 장 앙리 파브르도 이런 호기심에 사로잡혀 1905년 긴호랑거미의 거미줄에 사마귀를 던져넣고 잡아먹히는 모습을 관찰하고 “야외에선 이런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털어놓은 적이 있다.

 

일본 연구자들은 파브르의 호기심을 실험실에서 검증해 보았다. 수기라 신지 일본 고베대 박사 등은 크기가 다른 4종의 사마귀 26마리를 각각 1마리씩 거미줄에 걸리도록 한 뒤 어떻게 되는지 관찰했다.

 

m2.jpg » 크기가 10㎝ 이상인 왕사마귀는 척추동물인 새나 개구리, 쥐, 작은 뱀까지 잡아먹는 포식자다. I. 루크 비아투르,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과학저널 ‘생태학’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왜 야외에선 사마귀가 거미줄에 걸린 모습을 보기 힘든지 알 수 있었다”며 “거미가 줄에 걸린 먹이를 감싸기 위해 던지는 거미줄이 극히 강하기는 하지만 일부 사마귀는 입으로 그 거미줄을 끊고 탈출한다”고 밝혔다.

 

사마귀와 거미는 애초 싸움 상대가 되지 않았다. 거미줄에 엄청난 크기의 먹이가 걸려들었지만 굶주린 거미 26마리 가운데 사마귀를 공격하고 나선 것은 7마리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거미줄을 크게 흔드는 식으로 걸린 사마귀를 털어내는 데 급급했다.

 

공격을 받은 사마귀는 덩치가 작은 종류였다. 크기가 5㎝가 안 되는 좀사마귀는 거미줄에 걸린 2마리 모두 공격을 받았고 모두 잡아먹혔다. 반면, 길이가 8㎝가 넘는 왕사마귀는 13마리 가운데 한 마리가 공격을 받았지만 탈출에 성공했다.

 

거미줄에 걸린 왕사마귀가 긴호랑거미 공격을 물리치고 탈출하는 모습(수기라 신지 외 제공)

 

 

거미줄에 걸려 당황한 왕사마귀한테 긴호랑거미가 잽싸게 다가와 배에서 짜낸 끈적한 거미줄을 사마귀의 몸 뒷부분에 내던졌다. 절반쯤 거미줄로 마비시키고 자신감을 얻은 거미는 이번엔 사마귀의 강력한 앞발이 도사린 앞부분에 거미줄을 던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거미가 눈앞에 나타나자 왕사마귀의 반격이 시작됐다. 한순간 날카로운 가시가 돋은 앞발이 거미를 스쳤다.


화들짝 놀란 거미는 멀찍이 달아나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 왕사마귀는 다른 동물의 딱딱한 껍질을 으깨던 단단한 입으로 몸에 걸친 거미줄을 하나씩 잘라내고는 유유히 탈출했다.


좀사마귀가 거미의 먹이가 되는 모습(수기라 신지 외 제공)



거미의 밥이 된 작은 사마귀도 순순히 잡아먹힌 것은 아니다. 앞발로 공격을 가하고 조여든 거미줄을 입으로 잘라냈지만 역부족이었다.


p3.jpg » 거미는 좀사마귀의 뒷부분을 거미줄로 묶기 시작한다. 수기라 신지 외 (2019) ‘생태학’ 제공.

p44.jpg » 거미가 사마귀의 앞부분에까지 거미줄을 던진다. 사마귀는 입으로 거미줄을 끊어내며 안간힘을 쓴다. 수기라 신지 외 (2019) ‘생태학’ 제공.

p6.jpg » 그러나 역부족으로 사마귀는 거미의 먹이가 됐다. 크기가 생사를 가른다. 수기라 신지 외 (2019) ‘생태학’ 제공.

실험에서 공격받은 7마리의 사마귀 가운데 좀사마귀와 이보다 조금 더 큰 넓은배사마귀 각 2마리만 거미의 먹이가 됐다. 거미줄에 걸린 사마귀 2마리와 왕사마귀 1마리는 거미줄을 끊고 탈출했다.


전체적으로 거미줄에 던져넣은 사마귀 26마리 가운데 21마리가 피해 없이 탈출한 셈이다. 그 가운데 15마리는 15분 안에 거미줄에서 벗어났다.


연구자들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사마귀와 거미가 한 곳에 살고 사마귀가 종종 날아다니는데도 거미줄에 걸린 사마귀를 보기 힘들다”고 밝혔다. 사마귀 말고 말벌 등 강력한 입을 가진 곤충도 거미줄에서 탈출한다고 연구자들은 덧붙였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Shinji Sugiura et al, Can praying mantises escape from spider webs? Ecology, 24 June 2019, doi: 10.1002/ecy.2799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