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 1000번 독물 발사, 폭탄먼지벌레의 ‘기관총 분사’

조홍섭 2015. 05. 06
조회수 54474 추천수 0

위협받으면 화학물질과 효소를 결합해 폭발시켜, 밸브가 연속폭발 자동 조절

엑스선 화상 이용 산 먼지벌레 분사 촬영 성공, "가장 놀랍고 아름다운 방어 수단"

 

bomb1_arndt1HR.jpg » 핀셋으로 다리를 쥐자 위협을 느낀 폭탄먼지벌레가 독물질과 증기를 단속적으로 분사하고 있다. 사진=Charles Hedgcock

 

어릴 때 잘못 만졌다가 무언가 터지는 소리와 함께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딱정벌레를 본 기억이 난다. 독물질 분사를 마친 딱정벌레의 꽁무니에선 기관총 총구에서처럼 연기가 피어올랐다.
 
한 번 겪으면 다시는 잊지 못할 기억을 남기는 이 딱정벌레를 누구나 방귀벌레라고 불렀다. 영어권에서는 ‘폭격수 딱정벌레’라고 부른다. 공식 명칭은 폭탄먼지벌레다.
 
이 벌레는 사람은 물론이고 새나 개구리 등 다른 포식자들을 물리치는 효과적인 화학무기를 장착해 호기심의 대상이지만, 과학적으로도 흥미로운 탐구 대상이다. 조그만 뱃속에서 기관총처럼 빠르게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를 향상시키는 새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Brachinus_spPCCA20060328-2821B.jpg » 북미산 폭탄먼지벌에의 모습. 사진= Patrick Coin, 위키미디어 코먼스
 
폭탄먼지벌레가 위협을 느끼면 꽁무니의 분비샘에서 화학물질과 효소를 분비한다. 반응실에서 두 물질이 만나 강력한 폭발을 일으킨다. 먼지벌레는 이렇게 생긴 100도 가까운 뜨거운 수증기와 퀴논 계열의 화학물질을 배끝의 노즐을 통해 상대를 겨냥해 단속적으로 내뿜는다.
 
그런데 이 벌레가 화학물질을 어떻게 정확한 비율로 결합해 규칙적으로 뿜어내는지는 대충만 짐작할 뿐 정확한 얼개는 수수께끼였다. 에릭 안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재료공학과 박사과정생 등 연구진은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싱크로트론 엑스선 화상 기법으로 살아 있는 폭탄먼지벌레의 독물 발사 과정을 정밀하게 조사해 그 비밀을 밝혔다.


폭탄먼지벌레의 유독물 분사 MIT 동영상



초당 2000개 화면을 찍을 수 있는 초고속 촬영으로 알아낸 먼지벌레 반응실에서의 폭발 과정은 이랬다. 먼지벌레가 분비샘에서 반응실에 보낸 화학물질과 효소가 만나 폭발을 일으키면 큐티클로 만들어진 반응실이 팽창하면서 화학물질 투입구를 밸브가 막는다. 증기가 빠져나가 압력이 떨어지면 다시 밸브가 열려 폭발물질이 들어와 폭발반응이 되풀이된다.

 

이런 폭발은 초당 300~1000회까지 일어나는데, 역겨운 화학물질과 증기가 초속 10m의 속도로 수㎝ 거리로 퍼져나간다. 연구자들은 이를 ‘생물학적 펄스 제트’라고 불렀다.

 

bomb4.jpg » 폭탄먼지벌에의 독물 연속 분출 얼개. (A) 평상시 (B) 분출 시작. 반응성 용액이 밸브를 거쳐 반응실로 들어간다. (C) 폭발로 막이 팽창해 밸브가 닫힌다. (D) 폭발이 끝나고 팽창했던 막이 수축해 밸브가 열린다. 이를 통해 새로운 반응물질이 들어온다. (E) 분사 중단. 분사구가 막히고 증기는 반응실 안에 남는다. 그림+아른트 외 <사이언스>
 
기관총을 쏘는 것 같은 이런 분사를 이제까지는 근육의 수축으로 일으킨다고 짐작했으나 이번 연구에서 유연한 막의 팽창과 수축을 통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했다. 폭탄먼지벌레는 반응실의 구조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것만으로 새로운 근육을 진화시킬 필요 없이 뛰어난 방어장치를 진화시킨 것이다.

 

bomb2.jpg » 반응실을 둘로 나누는 밸브(가운데 보라색)의 전자현미경 사진. 색깔은 입힌 것임. 사진=아른트 외 <사이언스>
 
연구자들은 먼지벌레가 독물질을 이처럼 펄스 형태로 방출하는 이유를 “짧고 빠른 펄스를 내보내야만 먼지벌레의 작은 몸을 폭발 열로부터 지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에 참여한 웬디 무어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는 “(폭탄먼지벌레는) 이제까지 기록된 것 중 진정 가장 놀랍고 아름다운 방어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라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우리나라에는 폭탄먼지벌레과에 큰목가는먼지벌레와 꼬마목가는먼지벌레가 있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Eric M. Arndt et. al., Mechanistic origins of bombardier beetle (Brachinini) explosion-induced defensive spray pulsation, Science 1 May 2015: Vol. 348 no. 6234 pp. 563-567. DOI: 10.1126/science.1261166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