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흔한 코뿔소’ 2천년 사이 싹 사라진 이유

조홍섭 2020. 01. 06
조회수 23312 추천수 1
한나라 문명이 5대 대형포유류 절멸 불러…기후 변동 영향은 미미

r1.jpg » 중국 한나라 때 제조된 코뿔소 모양의 청동 술병. 당시 코뿔소는 중국에 널리 분포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중국에는 비교적 최근까지 코끼리, 코뿔소, 호랑이, 곰 등 대형포유류가 널리 분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지난 2000년 사이 이들이 사라진 것은 기후변화 등 자연적 이유가 아니라 농경지 확대 등 문화적 이유 때문으로 나타났다.

슈칭 텅 중국 난징대 박사후연구원 등 중국과 덴마크 연구자들은 지난 2000년 동안 이들 5가지 포유류와 기상에 관한 기록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과학저널 ‘미 국립학술원 회보(PNAS)’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밝혔다.

연구자들은 아시아코끼리에 관한 지역 행정당국의 기록을 기원전 6000년부터 1938년까지 410 지역에서 709건 찾아냈다. 또 코뿔소의 기록은 기원전 702년부터 1962년까지 614 지역에서 1277건 확인했다. 남중국호랑이에 관한 기록은 1976년까지 이어졌다.

r2.jpg » 서기 2년부터 1953년까지 지역 행정당국의 공문서 기록을 토대로 작성한 중국의 코끼리 등 대형포유류 5종 분포도. 오른쪽은 평균기온 변천도이다. 슈칭 텅 외 (2019) PNAS 제공.

교신저자인 예스-크리스천 스베닝 덴마크 오르후스대 교수는 “중국에는 2000년 이상의 문서 기록이 잘 보존돼 있어 넓은 지리적 범위에 걸쳐 자연과 문화가 어떻게 장기간 상호작용했는지 재구축할 드문 기회를 제공한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이 연구에서 중국 대형포유류의 운명은 한나라 문화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슈칭 텅 박사는 “현재는 인구가 밀집한 중국 북부 평원이나 양츠강 중·하류 평야 지대에도 고대에는 대형포유류를 포함한 생물 다양성이 풍부했다”며 “비교적 최근 이런 풍부한 거대동물이 사라지게 된 것은 중국 북부에서 기원한 한 문화에 의해 집약적 농업이 남쪽으로 확장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농업을 중시한 한나라 시대에 대형 초식동물은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끼리는 상아와 고기를 얻기 위해서도 사냥했지만, 농작물 피해를 막는다는 명목으로 많이 죽였다. 

이 때문에 서기 930년까지 중국 중·동·남부에 걸쳐 널리 분포하던 코끼리는 급격히 줄어 20세기 중반에는 자취를 감췄다. 현재는 미얀마와 인접한 중국 남서부 윈난 성에 소수의 야생 코끼리가 서식한다.

Shuqing Teng.jpg » 아시아코끼리의 연도별 중국 분포 변화(왼쪽). 농업 확대에 밀려 서식지가 차츰 남쪽으로 후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위는 코끼리, 코뿔소, 호랑이, 곰을 표기한 갑골문자(기원전 1100년)의 출토지점(붉은 원), 아래는 지난 2000년 동안 중국의 평균 온도 변화. 슈칭 텅 제공.

코뿔소도 중국 중부와 남동부에 1880년까지 널리 분포하다 1962년을 끝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중국에 살던 코뿔소는 세계의 코뿔소 5종 가운데 아시아에 분포하는 자바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 인도코뿔소 등 3종으로 추정했다.

호랑이와 곰은 중국 전역에서 발견되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에 걸쳐 급격히 줄었다. 호랑이의 아종인 남중국호랑이는 1880년까지 널리 분포하다 서식지가 줄면서 급격히 줄었는데, 1950년 마오쩌둥이 벌인 ‘해로운 동물 제거’ 캠페인의 희생양이 되면서 절멸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때 4000마리 이상의 호랑이가 잡혔다. 

뒤늦게 중국 당국은 1977년 호랑이 사냥을 금지했지만 1987년 조사에서 30∼40마리의 서식 흔적을 발견한 뒤 2001년 조사에서는 흔적조차 없어 야생에서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r3.jpg » 미국 신시내티동물원의 남중국호랑이. 야생에서는 멸종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한나라 등장 이후 인류의 영향이 커지는 동안 기후도 한랭화와 온난화를 겪었지만, 연평균 기온은 1∼1.5도여서 대형포유류의 서식에 끼친 영향은 미미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연구자들은 “넓은 영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이유는 기후변화이고 인간 영향은 산업혁명 이후에나 두드러진다는 것이 그동안의 통념이었다”며 “이번 연구로 고대의 ‘문화 진화’가 기후변화를 압도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Shuqing N. Teng et al, Long-term effects of cultural filtering on megafauna species distributions across China, PNAS (2019), DOI: 10.1073/pnas.1909896116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