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잡는 포도대장, 강낭콩 잎의 비밀
강낭콩 잎 미세 갈고리가 빈대 발 붙잡아 꼼짝 못해
동유럽 전통 지식이 옳았다…미 연구자, 콩잎 흉내 인공물질 개발 나서
불가리아, 세르비아 등 유럽 남동부 지역의 주부들은 빈대에 물리지 않기 위해 밤중에 빈대가 들끓는 방 침대 옆에 강낭콩 잎을 펼쳐놓는다. 그리고는 이튿날 아침 빈대가 붙어있는 콩잎을 태워버린다.
이런 전통 지혜는 별 관심을 모으지 못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온 살충제 디디티가 훨씬 편리하고 강력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디디티와 함께 사라졌던 빈대는 최근 세계적으로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호텔은 물론 학교, 극장, 병원 등에서도 빈대가 나온다.
미국 과학자들은 빈대를 퇴치하기 위해 발칸반도의 오랜 지혜를 동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강낭콩 잎 위에 빈대를 놓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 콩잎 위에서 꼼짝 못하는 빈대(위). 주사 현미경 사진으로 본 빈대 다리와 콩잎의 분비모 모습.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콩과 빈대는 진화적으로 아무런 관련도 없는데도, 콩잎은 빈대를 붙잡는 놀라운 능력을 보였다. 콩잎에는 ‘분비모’란 작은 갈고리가 다닥다닥 붙어있다.
콩잎을 디딘 빈대의 발을 이 갈고리가 휘감거나 관통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빈대는 콩잎에서 몇 발짝 가지도 못하고 옴쭉달싹하지 못하는 상태가 됐다.
» 빈대가 콩잎에 걸려 있는 모습.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 종종 콩잎의 갈고리(초록색)는 빈대 다리를 관통하기도 한다.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 관통한 부위 확대 모습.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 빈대 발이 갈고리에 걸린 모습. 일시적으로 붙잡는 효과만을 낸다.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콩잎의 효과는 좋지만 금세 말라버리고 바닥에만 깔 수 있는 불편함도 있다. 콩잎을 흉내 낸 물질을 만들면 어떨까.
연구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 콩잎 구조를 고스란히 본뜬 물질을 만들어 실험을 했다. 예상한 대로 빈대는 플라스틱 콩잎에 걸려들었지만 곧 빠져나왔다. 콩잎 갈고리의 겉모습 말고 내부의 무언가 핵심적 역학을 더 연구해야 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 콩잎의 전자현미경 사진(왼쪽)과 이를 플라스틱으로 고스란힌 본뜬 모습. 사진=메간 신들러 외,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연구논문의 주 저자인 캐서린 로우던 미국 어바인 대 곤충학자는 “콩잎이 빈대를 잡는 능력은 놀랍다. 현대 과학 기법으로 현미경 수준에서 이를 흉내 낸 물질을 만들면 살충제를 쓰지 않고도 빈대에 물리지 않을 수 있다. 자연은 따라하기 힘들지만 그 혜택은 어마어마하다.”라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빈대는 야행성이고 조금만 틈이 있으면 전화기나 시계 틈바구니 등 어디에나 숨을 수 있으며, 피를 빨지 않고도 1년을 버티는 등 매우 강인한 생명력을 지녔다. 게다가 천장과 벽을 타고 이동하고, 중고가구를 이용해 장거리로 퍼지며, 번식력도 빨라 최근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온라인판 11일치에 실렸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Entrapment of bed bugs by leaf trichomes inspires microfabrication of biomimetic surfaces
Megan W. Szyndler, Kenneth F. Haynes, Michael F. Potter, Robert M. Corn and Catherine Loudon
J. R. Soc. Interface 6 June 2013 vol. 10 no. 83 20130174
doi: 10.1098/?rsif.2013.0174
http://rsif.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10/83/20130174.full.pdf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