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황선도'에 대해 34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
| 2017. 04. 28
멍게는 조개보다 척추동물에 가까워…바지락 해감은 놀라서 삼킨 것 도루묵 이름 유래에 식자 오만, 어민은 오래전부터 '은어' '도루묵' 불러 우리가 사랑한 비린내 -해양생물학자가 우리 바다에서 길어 올린 풍미 가득한 인문...
-
산란기 수백마리 떼지어 방정, 말짱 도루묵될라
| 2016. 01. 11
이름 유래 수수께끼, 임금 무관하게 어민이 쓰던 이름인 듯복원과 조업부진, 갯녹음 겹쳐 해변에 알더미 떠밀려와 썩어 어떤 일을 죽을힘을 다해 했다가 한순간의 실수 따위로 허사가 되었을 때, “에이~ 말짱 도루묵 됐네…”...
-
한 폭 산수화 같은 조개, 밟히면 '바지락 바지락'
| 2015. 12. 24
바지락은 잡힐 때 놀라 펄 흡입, 가리비는 하루 500m까지 '깡충' 쫄깃하고 시원하며 감칠맛 나는 조개, 조리법과 먹는철 제각각 시원한 칼국수 국물 맛 책임지는 바지락 바지락은 한국, 사할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
“간간하고 쫄깃하고 배릿한” 남도 조개 삼형제
| 2015. 12. 01
꼬막과 새꼬막은 껍데기 골의 수로 구분, 피조개는 붉은 피로찬바람 불면서 맛 들어, 소금기 남도록 살짝 삶는 것이 요령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대표적 대하소설로 꼽히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에는 “간간하고 쫄깃쫄깃하고 알큰...
-
비너스의 속살이 이랬을까, 새만금 백합의 추억
| 2015. 11. 24
천혜의 갯벌 사라진 새만금, 개발도 관광객도 시들하고 수질오염만 가속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최적의 조개 서식지…“바다 터야 갯벌 산다” 조개의 여왕이란 별명을 지니고 있는 백합은 내게 안타까운 기억이 있는 조개다. 백합(Meretrix lusoria)은...
-
카사노바가 매일 저녁 생굴 60개씩 먹은 이유
| 2015. 11. 20
정자 생산 늘리는 아연 등 미네랄 풍부…'사랑의 묘약' '바다 우유' 등 별명굴, 갓굴, 토굴 등 다양한 종 서식…어리굴젓, 굴구이, 굴밥, 굴미역국 등 별미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완전식품, 그리고 사랑의 묘약이라고 말하는 굴은 겨울이 제철이...
-
해삼·멍게·개불의 계절 “우리도 해산물 주류”
| 2015. 11. 09
곁들이 안주감 무시 말아야, 몸에 좋고 맛과 풍미 일품해삼과 멍게는 대량생산 체제 돌입, 당당히 수산물 '주류'로 ■ 해삼 소주 한잔하러 횟집에 가면 회가 나오기 전에 먼저 나오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일명 ‘츠케다시’라고 한다. ...
-
두만강서 몽둥이로 연어 50만마리씩 잡았다
| 2015. 10. 23
황선도 박사의 연어 이야기 ③ 세계적 식품 연어조선 때 함경도 토산품으로 유명, 그물 들면 작살과 몽둥이로 잡아오메가3 지방산 많아 건강식으로 인기, 원주민에게 삶의 뿌리 우리나라 연안에서 연어 어획량은 저조하며 다른 대상...
-
세계 9종 연어 중 최고 맛은 새빨간 홍연어
| 2015. 10. 15
황선도 박사의 연어 이야기 ② 세계의 연어들태평양 7종 서식, 우리나라엔 연어와 시마연어 회유최대어인 왕연어는 길이 150㎝ 무게 61㎏까지 자라 연어는 분류학상으로 연어목, 연어과, 연어속에 속하는 냉수성 어류로 태평양에는 홍연어...
-
수천킬로 고향 하천 돌아와, 먹지도 않고 사랑 몰두
| 2015. 10. 12
황선도 박사의 연어 이야기 ① 알래스카서 돌아온 방랑자 자기장 감지해 회귀한 뒤 냄새로 고향 하천 찾아가, 귀향 날짜까지 정확해바다서 비축한 체력으로 산란에 매진, 입벌리고 파르르 떨면서 절정 맞은 뒤 죽어 젊은 시절 잘나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