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밑에 검은 테이프' 도심 사냥꾼 황조롱이

윤순영 2018. 05. 15
조회수 40826 추천수 1

나뭇가지 사이로 곡예비행, 날쌔게 들쥐 움켜잡아

묵은 까치집 없으면 아파트 베란다…적응엔 성공했지만


크기변환_YSY_0199.jpg » 황조롱이는 정면에서 보면 가면을 쓴 듯 보인다. 햇빛이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야구선수처럼 눈 밑에 검은 깃털이 있다.


황조롱이는 우리나라 전국에서 관찰할 수 있는 텃새다. 높은 곳에 앉아 사냥감을 찾거나 땅위를 낮게 날기도 하고 정지비행을 하다 갑자기 매우 빠른 속도로 내려와 날카로운 발톱으로 사냥하기도 한다. 주로 해안이나 강가, 산림에서 번식을 하지만 도시의 아파트와 고층건물에서의 번식이 늘고 있다. 4월 15일 도심의 야산에서 황조롱이가 사냥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크기변환_YSY_0002.jpg » 숲속에서 황조롱이가 사냥에 나섰다. 사냥감을 유심히 쳐다본다.


크기변환_YSY_0025.jpg » 사냥을 위해 자리를 뜬다.


크기변환_YSY_0026.jpg » 빠른 속도로 자리를 박차고 난다.


비번식기에는 평지로 이동해 단독으로 행동하지만 4월 초순에 흰색이나 크림색 바탕에 적갈색 또는 흑갈색의 얼룩무늬가 흩어져 있는 알을 4~6 개 낳으며, 약 27∼31일 동안 품는다. 알은 암컷이 주로  품고 새끼를 키울 땐 수컷이 사냥을 한다새끼는 부화 후 약 30일 이내에 둥지를 떠난다. 황조롱이는 넓게 펼쳐진  야산을 끼고 있는 농경지 등에서 주로 들쥐와 작은 새, 곤충 등을 사냥한다.


크기변환_YSY_0031.jpg » 황조롱이가 자리를 옮겼다. 사냥감과 거리를 좁혀간다.


크기변환_YSY_0034.jpg » 사냥이 여의치 않아 자리를 다시 옮긴다.


크기변환_YSY_0035.jpg » 황조롱이는 앉아 있던 나뭇가지를 디딤대 삼아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수컷의 머리는 청회색이고,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암컷의 몸 윗면은 적갈색이며 검은색 반점이 수컷보다 더 많이 흩어져 있고, 머리와 꼬리는 적갈색이다.

다리와 부리의 기부, 눈 테두리는 노란색으로 암수가 동일하다. 어린 새는 암컷과 유사하지만 몸 윗면의 반점과 아랫면의 줄무늬가 더 크다.


크기변환_YSY_0062.jpg » 평야에서는 정지비행을 하며 사냥하지만 숲속에서는 장애물이 많다.


크기변환_YSY_0059.jpg » 사냥을 위해서라면 번거롭게 자리를 이동하는 건 아무 것도 아니다. 그러나 평지보다 어려움이 있다.


크기변환_YSY_0040.jpg » 가까운 거리에서 사냥감을 노려보는 황조롱이.


황조롱이는 영역 본능과 귀소 본능이 매우 강한 새다. 최근 들어 급격히 늘어나는 아파트는 원래 황조롱이의 서식 공간이었다. 황조롱이가 도시로 온 것이 아니라 도시가 황조롱이의 공간을 침입했다.


그러나 아파트는 동시에 절벽 비슷한 새로운 서식지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높은 도심 빌딩의 옥상, 아파트 베란다의 화단, 화분 등이 황조롱이가 서식지 감소와 천적으로부터의 위협에서 알과 새끼를 보호하는 번식지가 되었다. 환경변화에 잘 적응한 셈이다.


황조롱이 사냥 연속 동작


크기변환_YSY_0833.jpg » 신중하게 다시 자리를 옮긴 황조롱이가 사냥 기회를 노린다.


크기변환_YSY_0834.jpg » 수차례 자리를 옮기더니 사냥이 시작되었다.


크기변환_YSY_0835.jpg » 시선은 사냥감에 고정돼 있다.


크기변환_YSY_0836.jpg » 사냥감의 행동을 미리 예측하여 한치 오차 없이 빠르게 낚아야 한다.


크기변환_YSY_0073.jpg » 나뭇가지도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크기변환_YSY_0837.jpg » 나뭇가지를 비켜가며 신기에 가까운 비행모습을 보인다.


크기변환_YSY_0839.jpg » 사냥감을 향해 내리꽂는 황조롱이.


황조롱이는 스스로 둥지를 짓지 못한다. 한번 쓴 둥지를 지속적으로 쓰며, 지정된 사냥터도 둥지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보통은 까치나 물까치가 지어둔 묵은 둥지나 흙벽, 암벽의 오목한 곳에 둥지를 튼다. 마땅한 것이 없으면 그 다음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파트 베란다 옥상에 흙을 담아 놓은 화분이다. 모양이 대체 둥지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렵게 보금자리를 마련해도 황조롱이의 역경은  계속된다.


크기변환_YSY_0843.jpg » 황조롱이는 풀숲을 노렸다.


크기변환_YSY_0842.jpg » 발에 사냥감을 움켜쥔 것 같다.


크기변환_YSY_0844.jpg » 사냥을 끝내고 날아 오르는 황조롱이.


크기변환_YSY_0846.jpg » 발가락으로 들쥐를 움켜쥐었다.


도시환경에 적응하며 살고 있지만 복잡한 빌딩 숲 사이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아야 하는데, 빠르게 날다 보면 투명한 유리창을 보지 못하고 그대로 부닥쳐 사고를 당하기도 한다. 도시에는 위험요소가 항상 도사리고 있다. 사람들 틈에서 어렵게 더부살이하며 새끼를 키우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