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유차가 기후변화시대 되레 친환경차 | 환경뉴스
2008.11.08
|차는 고효율 이산화탄소 제조기 연비 높고 온실가스 배출량 20~30% 적어휘발유 1ℓ에 자기 무게 곱절인 2kg 발생 회사원 김아무개씨는 바람을 쏘이고 싶어서 영종도에 다녀왔다. 중형차를 타고 왕복 100㎞를 가뿐하게 달리고 바다구경까지 하니 기분이 상쾌해졌다. 이 여행 동안 잣...
-
왜 아프리카코끼리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됐을까 | 환경뉴스
2008.11.08
|남아공·케냐, 과잉으로 도살 논란 적정수 7천인데 1만7천까지…연간 6~8% 늘어 초원 ‘생산자’ 구실도 해 동물보호론자 반발 아프리카 사파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동물 다섯 가지를 일컫는 ‘빅 5’에는 사자, 코뿔소, 물소, 하마, 아프리카코끼리가 포함된다. 몇 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
재두루미 ‘휴게소 식당’, 농경지에서 개펄로 | 환경뉴스
2008.11.08
|시베리아행 앞서 고단백으로 든든히 육식성이지만 갯지렁이까지 먹는 건 처음 확인재갈매기도 북상길 들러, 한강 하구 ‘북적북적’ 늘씬한 목과 긴 다리로 기품을 자랑하는 두루미가 개펄에 나섰다. 번식을 위해 먼 시베리아로 가기 전에 영양보충이 절실한데, 농경지에 떨어진 곡식은...
-
인천 일대 개펄, 연간 정화가치 5270억원 | 환경뉴스
2008.11.08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맹준호박사팀 보고서 하수처리장 31개 합친 것과 맞먹어 생산성 재발견1980년대~1990년대까지 전체의 30~40% 개발 희생 마당 작은 연못에 붕어를 기른다고 하자. 집에서 나오는 음식쓰레기를 먹이로 줘 늘어난 붕어만 잡아먹는다면, 우리는 운영비가 전혀 들지 않는 지속...
-
배가 산으로 갈 ‘대운하 산길’ 문경, 땅밑 위태위태 | 4대강의 거짓과 진실
2008.11.08
|낙동강-한강 잇는 고가수로·터널 건설 계획 6mx100~200m 물길 1㎞당 물 무게만 60만~120만t거미줄 같은 폐광·지진 잦은 단층대로 붕괴 우려 경북 문경시는 경부운하가 완성되면 낙동강과 한강을 잇는 거점이 된다. 한반도대운하 연구회는 물줄기를 잇기 위해 조령산 터널과 함께 문경 리프트...
-
대한해협에 신호등을 만들어야 하나 | 환경뉴스
2008.11.08
|‘교통사고’로 비명횡사 잦은 고래 연 13만 척 오가는 뱃길이자 고래 주요 이동통로숨차 잠시 나왔다가 꽝, 자다가 꽝, 느림보라 꽝 고래 포획이 허용되던 1985년까지 해마다 3월이 오면 포경선들은 부산과 대마도 사이 대한해협으로 몰려들었다. 동중국해에서 겨울을 나고 동해로 이동하는 밍크...
-
경부운하 예정지 팔당댐~문경 코스 가보니 | 4대강의 거짓과 진실
2008.11.08
|주민들 벌써부터 “홍수 걱정”…폐광지대선 지반 침하 사고 걱정 건설 회사들은 경부운하에 들어설 각종 시설물을 설계하느라 바쁘다. 그러나 일반인은 물론이고 해당 지역주민조차 강이 어떻게 바뀌고 어떤 시설이 들어설지 모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경부운하가 초래할 변화를 현장에...
-
왜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라 하지 않나 | 환경뉴스
2008.11.08
|언론이 감춘 ‘태안 기름유출’ 가해자 사고 배 명칭 따 이름 짓는 게 국제적 관행인재인데도 천재처럼…삼성중 뺀 채 ‘예인선’ 제5금동호 사고(1993), 시프린스호 사고(1995), 제1유일호 사고(1995), 호남사파이어호 사고(1995), 제3오성호 사고(1997)….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
-
따~옥 따~옥 따오기, 이젠 어디서 우나 | 사진
2008.11.07
|한반도 마지막 따오기 재두루미와 함께 먹이를 찾는 따오기의 모습. 비무장지대 인근의 추수를 끝낸 논 주변 습지에서 먹이를 찾는 따오기의 모습. &...
-
‘자연공화국’의 식사시간, 쉿~! | 사진
2008.11.07
|우포늪 해마다 가을이면 우포늪은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온 철새들로 북적인다. 큰기러기 떼와 오리들이 저수지를 가득 메우고 있다. 저어새. 주걱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