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년 전 모로코는 지구 역사상 가장 위험한 곳"
초대형 육식공룡 득실, 강물 속 거대 물고기 포식
»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고대하천 켐켐강은 다양한 거대 포식자로 이뤄진 독특한 생태계였다. 등이 돛처럼 펼쳐진 육식공룡 스피노사우루스는 이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출토되는 거대 톱상어 온코프리스티스를 사냥하는 상상도. 데비디 보나도나 제공.
북아프리카 모로코에는 중생대 말 세계에서 가장 크고 겁나는 육식공룡과 익룡, 고대 악어, 상어 등 포식자들이 한 곳에 득실대던 흔적이 고스란히 퇴적층에 남아있다. 9500만년 전 고 나일 강, 고 니제르 강과 함께 아프리카의 3대 강인 켐켐 강이 흘렀던 유역의 옛 생태계를 짐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니자르 이브라힘 미국 디트로이트 머시 대 박사 등 국제연구진은 과학저널 ‘주 키스’가 최근 발간한 모노그래프를 통해 지난 100년 동안 이뤄진 이 지역의 고생물과 지질 연구를 종합했다. 연구자들은 현지 탐사와 함께 세계 각국에 퍼져있는 이 지역 화석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층에 대한 공식적인 이름을 부여하는 한편 옛 생태계의 양상을 복원했다.
» 켐켐 층군의 위치도(붉은 부분). 1억년 전 나일 강에 견줄 거대한 강이 흐르던 곳이다. 이브라힘 외 (2020) ‘주키스’ 제공.
약 1억년 전 중생대 백악기는 공룡의 전성기로, 한반도의 경상도와 남해안 일대에도 공룡과 익룡의 화석이 다양하게 산출되는 시기이다. 그런데 당시 ‘켐켐 층군’이라 이름 붙인 모로코의 퇴적지에서는 대형 포식자가 유달리 많은 독특한 생태계였다.
두 발로 걷는 육식공룡인 수각류가 다양하게 출토됐다.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하거나 더 큰 수각류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몸길이 12m에 20㎝에 이르는 칼날 같은 송곳니를 지녔다.
» 거대 육식공룡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초식공룡 사체를 먹으려다 접근하는 악어의 조상인 엘로수쿠스를 노려보는 상상도. 데비디 보나도나 제공.
등을 돛처럼 펼치는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육식공룡인 스피노사우루스와 8m 길이의 랩터인 델타드로메우스가 강변 습지를 어슬렁거렸다. 이 밖에도 하늘을 나는 파충류인 여러 종의 프테로사우루스(익룡)와 악어의 조상인 대형 파충류도 당시의 대표적 포식자였다.
연구자들은 “현대의 육상 생태계에서 이곳처럼 대형 포식자가 대부분인 곳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논문에 적었다. 주 연구자인 이브라힘 박사는 “이곳은 아마도 지구 역사상 가장 위험한 곳이었을 것이다. 만일 인간 시간 여행자가 있더라도 그리 오래 머물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영국 포츠머스대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 켐켐 강에는 경골어류, 폐어, 거대 실러캔스 등 물고기가 많았다. 스피노사우루스와 익룡은 모두 물고기를 사냥했다. 데비디 보나도나 제공.
이처럼 거대한 육식공룡들이 몰려있을 수 있던 이유를 연구자들은 이 고대 강에 거대한 물고기가 가득했기 때문으로 보았다. 연구자들은 당시 켐켐 강에 살았던 물고기로는 현생 ‘화석 물고기’ 실러캔스보다 4∼5배나 큰 고대 실러캔스와 거대 폐어, 담수 상어 온코프리스티스 등이 있다고 밝혔다. 온코프리스티스는 길이 10m에 이르는 거대 톱상어로 2.5m 길이의 톱니가 삐죽 튀어나와 있다.
» 사하라 북쪽에 있는 모로코 켐켐 층군의 퇴적층 모습. 이브라힘 외 (2020) ‘주키스’ 제공.
켐켐 층군에서는 이런 대형 동물 말고도 다양한 식물, 곤충, 물고기, 거북, 파충류의 화석이 발견됐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더욱 많은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이 이 지역에서 발견될 전망”이라며 “아프리카의 공룡시대를 들여다보는 창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용 저널: ZooKeys, DOI: 10.3897/zookeys.928.47517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