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악산이 뚫리면, 국립공원은 모두 무너진다 [5]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5.07.27
|설악산은 5중 보호구역, 이곳 허용하고 다른 국립공원 케이블카 못 막아 대청봉 연계 등반 뻔한데 양양군은 다른 코스 등반객 하산 이용도 추진 지난 6월24일부터 한 달 넘게 세종시 환경부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나는 지리산에 산다. 지리산자락에 살고 있는 내가 설악산 케...
-
겨우 6km 떨어진 곳 또 케이블카라니 [3]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5.01.29
|얼음골케이블카 상부정류장 옆 6㎞ 지점, 환경성 경제성 때문에 반려 뒤 3번째 시도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돌풍 심한 곳…머리 맞대고 다른 방법 찾아볼 수 없나 도대체 자연공원은 무엇인가? 이미 케이블카를 건설한 경남 밀양에 이어 건설 과정에 있는 경남 사천, 집요하게 추진 중인 강원 양...
-
등산객 교통수단 전락한 케이블카, 사자평 훼손 가속 [2]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4.11.06
|등산객들 케이블카 타고 상부 승강장과 전망대 오른 뒤 등산로로 옮겨 가 등산객 폭주로 사자평 등 생태계 파괴 벌어져…7일 도립공원위서 양성화 심의 내일(11월7일) ‘경상남도 도립공원위원회’가 가지산 도립공원의 얼음골 케이블카와 관련한 계획을 변경하는 안건을 심의한다는 연락을 받고 ...
-
지리산 선교사 별장 얽히고 설킨 논란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4.06.26
|반달가슴곰 서식하는 국립공원 핵심 지역, 등록문화재 지정하면 지리산 훼손 불 보듯 내셔널트러스트는 문화유산상 줘, 생태적 가치와 지역사회 아픈 기억 고려해야 2004년쯤으로 기억된다. 한 대학 교수에게서 전화가 왔다. 지리산국립공원에 건물을 몇 채 가진 분들이 있는데 캠프나 모...
-
우주인을 꿈꿨던 뱀사골 토박이의 삶과 한 [1]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3.01.03
|야생벌 쳐 결혼하고, 부족하지만 행복했던 50년 산속 생활 이도저도 못하게 하는 국립공원 규제…주민도 자연도 사는 방안 없나 춥고 눈 많은 겨울날, 지리산 북쪽에 있는 남원 산내 부운마을에 가기로 마음먹었다. 지난 가을 ‘지리산 국립공원 보전 관리계획 중간 보고회‘에 갔을 때 부운마을에서 ...
-
지리산의 찬란한 봄, 그래서 더 미안하다 [1]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2.05.17
|법도 기준도 상식도 뛰어넘은 지자체의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욕구 환경부는 6월 시범사업지 선정 예정 지난 3월 26일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에서 ‘지리산 케이블카 백지화 공동행동’(이하 지리산 공동 행동) 발족식을 열었다. 반야봉이 푸른빛을 띠고, 노고단으로 오르는 길엔 눈이 쌓여있던 날이었다. ...
-
동백나무 숲에 '풍덩', 명품섬 내도 탐방기 [3]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2.01.10
| 빛이 신비로운 섬, 내도 ‘내도 가는 배표, 여기서 사나요?’ ‘탐방하러 오셨습니까?’ 평범한 질문에 되돌아온 답이 나를 놀라게 했다. ‘탐방’이라니, 10년 넘게 국립공원을 다녔지만 매표원에게선 처음 들어보는 말이었다. 내도행 배표 매표원이자 내도호 선장인 김명...
-
자연이 낸 국립공원 생채기, 어찌할 것인가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11.17
|설악산국립공원을 상처투성이로 만든 국지성 집중호우 2006년 7월 중순, 설악산국립공원 일대에 국지성 집중호우가 내렸다. 한계령을 넘어가는 44번 국도가 유실되었다고 했고 곳곳에 산사태가 났으며 설악산으로 가는 등산로는 길인지, 계곡인지 구분하기 어렵다고 했다. ...
-
지리산케이블카 예정지 현장 보고-지리산을 그대로 놔 두라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11.10
|2010년 10월 1일 이명박 대통령이 환경부가 주도한 자연공원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안을 확정하여 공포하자 지리산국립공원에 접한 4개 지자체는 몹시 분주해졌다. 산청을 시작으로 구례, 남원은 곳곳에 현수막을 붙이며 케이블카는 주민들의 숙원사업이며 국가균...
-
이제는 반야봉을 닮아가는 '지리산 호랑이' 함태식 [3]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10.17
|* '눈매가 반야봉을 닮아가는 지리산 호랑이, 함태식'은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소식지 '초록숨소리' 2011년 봄호에 실린 글입니다. 눈매가 반야봉을 닮아가는 지리산 호랑이, 함태식 지리산을 이야기할 때 떠오르는 사람들이 많다. 고운 최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