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똑똑한' 곤충, 쌍살벌은 추론 능력 있다 | 환경뉴스
2019.05.14
|경험하지 않고 아는 능력, 무척추동물 첫 발견ㄱ이 ㄴ보다 크고 ㄴ이 ㄷ보다 크면, 직접 대보지 않아도 ㄱ이 ㄷ보다 크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이처럼 아는 관계로부터 모르는 관계를 추론하는 것을 ‘이행 추론’이라 한다. 한때 사람의 전유물로 알려진 이 능력을 일부 영장류와 새, 물고기도 지...
-
사자 잡는 쥐, 아프리카 호저…외톨이 수컷 주로 당해 | 환경뉴스
2019.05.13
|30㎝ 가시 찔려 평생 고통, 식인 사자 되기도아프리카포큐파인은 몸무게가 열 배는 무거운 최상위 포식자 사자도 쓰러뜨리는 당찬 동물이다. 쥐목 호저과에 속하는 이 동물은 몸무게 13∼27㎏으로 제법 크지만, 초식성 쥐의 일종이다. 그러나 몸 옆구리와 뒤에 밤송이처럼 돋은 강모 깃은 치명적 무기이다...
-
비거니스트 판다, 몸 속은 육식동물 | 환경뉴스
2019.05.08
|섭취 에너지 50%가 단백질…초 육식동물 수준온종일 대나무만 먹는 자이언트판다는 의심할 여지 없이 초식동물이다. 하지만 분류학적으로 판다는 곰과에 속한다. 곰은 육식동물을 일컫는 식육목에 포함된다. 판다는 어떻게 육식동물에서 초식동물로 진화했을까.대나무가 먹이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판다는 대...
-
아마존 투명 날개 나비의 비밀 | 환경뉴스
2019.05.07
|애초 독성 강한 나비에서 진화…경계색과 은폐 동시 노려아마존의 컴컴한 열대우림 숲 바닥에는 느릿느릿 여유롭게 나는 아름다운 나비가 있다. 날씬한 배와 긴 더듬이의 이 나비에서 두드러진 모습은 날개의 일부 또는 상당 부분이 투명하다는 것이다.왕나비 아과에 속하는 이토미이니(Ithomiini) 족 나비...
-
북극 순록이 기후변화 이기는 법, 다시마 먹기 | 환경뉴스
2019.05.03
|겨울비 땅에 얼어붙으면 스발바르순록 먹이 찾아 해안으로스발바르순록은 지구 최북단에 서식하는 순록이다. 기후변화의 타격을 가장 심하게 받는 이 동물은 생존을 위해 기발한 대응책을 마련했다.이례적으로 더운 겨울, 바다가 얼어붙지 않아 작은 섬에 고립된 순록은 눈 위에 내린 비가 얼어붙자 이끼마...
-
남극 2번째 큰 황제펭귄 번식지 붕괴 | 환경뉴스
2019.05.02
|2만여쌍 번식지 3년째 새끼 못 태어나…폭풍으로 해빙 일찍 녹은 탓 남극의 겨울이 시작되는 4월 황제펭귄은 강풍에 떠밀려 빙붕 주변에 형성되는 정착빙에 모여 번식한다. 혹한 속에서 새끼가 태어나면 12월까지 새끼가 헤엄칠 수 있을 때까지 길러 바다로 데려간다.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번식...
-
암컷이 오래 사는 이유, 싸우지 않아서 [2] | 환경뉴스
2019.04.29
|대만 바다거북 알 먹는 뱀 현장연구 결과…싸움 멈췄더니 수명 연장동물 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오래 산다. 포유류를 비롯해 새, 물고기, 곤충 등에서 두루 나타나는 이런 현상을 두고 많은 이론이 나와 논란을 벌인다.예를 들어, ‘어머니 저주 가설’은 암컷을 통해서만 유전되는 세포 내 소기관...
-
외래종이 골칫거리 외래종 퇴치, 호주 딩고 재평가 | 환경뉴스
2019.04.26
|5천년 전 들여온 들개가 토종 킬러 들고양이 박멸수천만년 동안 다른 대륙과 격리된 오스트레일리아는 독특한 생태계를 갖췄지만, 사람이 들여온 외래종이 종종 폭발적으로 늘어나 토종 생물을 위협한다. 유럽인보다 훨씬 앞서 3500∼5000년 전 원주민이 데려온 개가 야생화한 딩고는 최초의 외래종 가운데...
-
포식자 발견 물고기, “피해라” 동료에 화학 신호 보내 | 환경뉴스
2019.04.24
|아는 동료일수록 강력…신호 받으면 똘똘 뭉쳐 포식자 회피피라미나 송사리처럼 작은 물고기는 발소리라도 들리면 혼비백산 달아나 한 곳에 몰려 꼼짝 안 한다. 만만한 먹잇감이어서 늘 포식자를 경계해야 살아남는다.물 밖의 소리가 아닌 물속에서 포식자가 나타나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마찬가지로 내빼...
-
‘화석 물고기’ 실러캔스는 왜 ‘콩알’만 한 뇌를 지녔나 | 환경뉴스
2019.04.23
|둘로 나뉜 두개골의 1% 차지…거대한 척삭과 전기 감지 기관 대조1938년 남아프리카 앞바다에서 발견된 실러캔스는 살집이 있는 8개의 지느러미가 달린 거대하고 괴상하게 생긴 물고기였다. 과학자들은 곧 이 물고기가 4억년 전 화석으로만 발견되던 6600만년 전 멸종한 어류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