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공청소기 물고기? 가공할 흡입력으로 먹이 사냥 | 동영상
2011.09.05
|자마이카 등 카리브해 서식 바닷물고기 '보닛 마우스' 먹이 포획 장면 처음 촬영저서생물 먹는 물고기에 가깝지만 환경에 적응하며 먹이 흡입 능력 키워자마이카, 바하마 등 서부 대서양의 열대 바다에 사는 보닛 마우스란 물고기는 세계에서 가장 입을 길게 돌출시키는 물고기로 알려...
-
핵 버리고 태양 선택한 미국 새크라멘토를 가다 | 환경뉴스
2011.09.05
|새크라멘토, 핵을 버리고 태양을 선택하다란초 세코 핵발전소 폐쇄의 숨은 주역 이경원 기자 여기는 가동 15년만인 1989년 조기 폐쇄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란초 세코 핵발전소. 새크라멘토 시내에서 3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들판에 두 개의 냉각탑이 황...
-
판다가 지구를 구한다, 배설물로 [9] | 환경뉴스
2011.09.02
|대나무 먹는 판다 장내세균, 거친 섬유소 95%를 당분으로 전환시켜미국 화학회 연차대회에서 미시시피 주립대 연구진 논문 발표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동물공원에 있는 자이언트 판다 타이샨이 대나무를 먹고 있다. 판다 먹이의 99%는 대나무이다.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유력한 차세대 재생에너지가 바이오매스...
-
황어처럼, 섬진강을 거슬러 걸었다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09.01
|그들이 생각났다. 섬진강에서 백운산을 바라보며 간문천을 따라 걸으며 연어 생각이 났다. 강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 내면화된 삶의 방식을 따라 물살을 거꾸로 오르는 연어가 보고 싶었다. 연어보다 유명하진 않지만 봄마다 남해바다를 떠나 섬진강으로 올라오는 황어도 생각...
-
사라지는 생태계의 '소 우주' 둠벙을 가다 [1] | 사진
2011.08.31
|과거의 추억과 환경적 가치를 머금고 있는 ‘둠벙을 찾다’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능리 오룡동 마을 내 둠벙 좌 우로 물골이 있어 오메가 형태를 연상케한다 농수로가 놓이기 전 둠벙은 농경사회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것이었다. 지금도 여전히 경기도 김포시 ...
-
학을 닮은 옛 돌담 길 | 사진
2011.08.30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학동 돌담길 ▲시원스레 뻗은 돌담길 지난 8월4일 통영으로 가던 길목에 국가등록문화재 제258호 옛 돌담길 학동(면적 2424㎡)마을이 눈에 들어왔다.논틀길을 따라 들어서자 할머니 세분이 느티나무 아래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계셨다. 인사를 드리고&nbs...
-
사람이 흉내 못 낼 갈대밭 동물들의 기막힌 건축술 [3] | 환경뉴스
2011.08.29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갈대숲입니다. 갈대숲은 먹이사슬 관계에서 주로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는 여리고 약한 피식자(被食者) 생명체들이 제 몸도 숨겨가며 새끼를 돌볼 둥지를 틀기에 참으로 좋은 곳입니다. 우선 갈대는 서로 몸을 맞대...
-
아마존 강 밑에 '지하 아마존 강' 흐른다 [12] | 환경뉴스
2011.08.28
|지하 4㎞에서 아마존 강보다 수백 배 폭으로 느리게 흘러 브라질 과학자들 국제 학술대회서 발표, 지상의 강과는 성격 달라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아마존 강 하구의 모습. 눈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거대한 강이 대서양에 합류하고 있다. 남한 면적의 7배에 이르는 유역을...
-
나는 내년에 녹색당에 투표한다 | 취재수첩
2011.08.26
|녹색연합이 스무살이 되었다. 올해로 창립 20주년. 녹색연합에서 활동한지 어느덧 13년차가 되었다. 지난 20년간의 자료들을 뒤적이면서 이런 질문을 해본다. "발품을 판 것만큼, 땀 흘린 만큼, 환경이 나아지긴 한 거야?" 지금 벌어지는 상황들을 보면 환경운동을 하는 사람으로서의 자...
-
자연이 낳은 '천년숲'… 인간의 보살핌은 약일까 독일까 | 한국의 숲
2011.08.24
|⑧ 제주 비자림고려 때부터 비자 채취한 천연림탐방객 급증과 비자나무 위주 관리로 자연성 위협숲을 잘 보전하려면 그대로 내버려 두어야 하는가, 아니면 사람이 적극 관리해야 하는가. 또 어쩔 수 없이 손을 댄다면 어디까지가 불가피한 간섭일까. 제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