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40여년 지켜온 ‘숲의 바다’…5710종 생물들 ‘넘실’ | 한국의 숲
2011.08.10
|⑥ 광릉 숲세조 때 왕릉 부속림 지정, 일제 이후 시험림으로 유지국내 최고 생물다양성, 90년 조림 역사…미래 한국의 숲 모습 소리봉 일대 천연 활엽수림.지난 20일 찾은 광릉 숲의 핵심구역인 소리봉(536.8m) 일대에는 나무의 바다가 펼쳐져 있었다. 서어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
"비켜, 내 자리야!" [1] | 사진
2011.08.10
|물총새는 물가의 갈대나 나뭇가지 또는 바위에 앉아 있다가 물속으로 총알 같이 뛰어 들어 물고기를 잡는 습성이 있습니다. 일단 뛰어 들면 실패하는 것을 본 적이 없을 정도로 물고기를 잡는 데에는 진짜 최고의 선수입니다. 먹이는 모두 물고기이지만 아직 먹이사냥이 서툰 어린 새...
-
고대 숲의 종말 이끈 것은 곰팡이였다 [14] | 환경뉴스
2011.08.08
|국제학술지 논문, "썩음병 곰팡이가 고생대 침엽수 죽음 주요 원인" 밝혀기후변화와 환경오염 스트레스 시달리는 현재의 숲도 비슷한 운명 우려 페름기 말 전세계에 번창했던 수수께끼의 생물 리두비아스포로나이트 화석의 현미경 사진. 사진=임피어리얼 칼...
-
가을 알리는 벌개미취 만개 | 사진
2011.08.08
|오늘은 입추, 천리포수목원에 벌써 벌개미취 만개우리나라 특산종, 환경적응성 높아 조경용 인기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절기상 8일은 입추, 가을의 문턱으로 접어드는 날이다.충남 태안의 천리포수목원에는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벌개미취가 만개했다.흔히 들국화로 불리는 야...
-
현장 포착, 새 잡아먹는 식충식물 [4] | 사진
2011.08.06
|영국 열대 정원서, 네펜시스에 빠진 벌레 노리던 쇠박새 먹이로 쇠박새를 잡아먹고 있는 식충식물 네펜시스. 출처= 인터넷판 동남아 정글에는 네펜테스라는 식충식물이 산다. 열대 식물원에 흔히 전시되는 이 식물은 향기로 곤충을 유인해 항아리처럼 ...
-
내게 다가온 물범, 그 행복했던 순간 [3] | 취재수첩
2011.08.05
|백령도는 따라붙는 수식어가 꽤 많은 섬입니다. 얼핏 떠오르는 것만 하더라도 서해 최북단의 섬,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 기암괴석이 장관인 서해의 해금강, 고대소설 심청전의 무대, 점박이물범 국내 최대의 서식지 등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천안함의 아픔까지 포함될 것...
-
굴업도는 '꿈의 나비' 왕은점표범나비 천국 | 환경뉴스
2011.08.04
|, 멸종위기종 왕은점표범나비 국내 최대 서식지 보고일본선 채집 못해 '꿈의 나비' 불러, 한국선 씨제이가 골프장 건설 예정 굴업도의 왕은점표범나비. 사진 제공 이상영 박사.숲이 우거져 헐벗은 땅이 없어진다고 모든 동물이 좋아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풀...
-
길이 10m, 무게 0.5t 거대 버섯 발견 [7] | 환경뉴스
2011.08.02
|중국 하이난 섬에서 발견, 국제학술지 에 발표 20살로 포자 4억5천만개 포함, 국내선 채취로 대형 버섯 보기 힘들어 세계 최대 버섯의 일부를 연구팀이 보이고 있다. 비가 잦은 올해는 산이나 들 어디서나 버섯을 쉽게 볼 수 있다. 요즘엔 주로 나뭇가지나 낙...
-
눈이 착한 산양, 비무장지대에서 만나다 | 환경뉴스
2011.07.30
|산양은 200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직립을 하고 불과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한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출현 시기를 160만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으니 산양은 그보다 훨씬 앞서 출현한 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양은 태초의 모습을 현재까지도...
-
여름 숲속의 '보석' 팔색조 둥지 틀다 | 사진
2011.07.29
|지난달 제주에서 환경부 조용철씨 촬영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세계적 희귀조 지렁이를 잔뜩 물고 왔다.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새들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새라면 아마도 팔색조를 꼽는 사람이 가장 많을 것이다.참새목 팔색조 과의 여름철새인 파색조는 천연기념물 제204호이자 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