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삽질로 붕괴, 제2 제3의 왜관철교 더 있다

김성만(채색) 2011. 07. 05
조회수 52003 추천수 0

영풍교 교각 보호공 뜯겨 나가고 우곡교는 일부만 설치

유속 빨라져 급속 침식 우려…낙단교·박석진교도 불안

 

3.jpg

경북 예천 영풍교. 교각 아래 보호공 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지난 6월 25일 새벽 무너졌던 낙동강 구 왜관철교는 교각보호공을 시공하지 않은 부분이 유실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교각보호공을 했다면 유실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척이나 강했던 태풍 루사나 매미 때는 교각 보호공 없이도 무너지지 않았던 왜관철교입니다만 4대강 사업 후 불과 200mm의 비에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이 교각이 준설라인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고 둔치 위에 있어서 보호공 설치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습니다. 심지어 김정훈 부산지방국토관리청 하천국장은 <SBS> 뉴스 인터뷰에서 보강공사를 하면 국민들 세금이 많이 드니 꼭 해야 하는 부분만 한다고 말했습니다. 4대강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제대로 된 분석조차 하지 않은 모양입니다.


교각 아래가 침식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세굴은 흔히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막기 위한 기술도 다양하게 나와 있는 상태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강물이 어떤 식으로 교각 주위를 세굴시키는지 나와 있습니다. 물은 교각을 지나치면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주변을 파냅니다. 그림에는 모래를 예로 들어놓았는데, 물은 커다란 돌도 옮길 수 있습니다.


수량과 경사, 물길의 변화는 유속을 크게 좌우합니다. 4대강 사업은 수량이 늘어나게 했고, 강바닥을 기존보다 3~6m 낮추고 매끈하게 만들었습니다. 그에 따라 유속은 사업 전보다 훨씬 빨라졌고 (2~3배) 그 만큼 더 세굴도 많이 일으키게 됩니다. 더 크고 튼튼한 보호공이 필요한 것입니다.

 

 2.png

자료 출처: 대도물산 http://www.ddms.co.kr/


그런데 '세금을 아끼기' 위한 조처였는지 왜관철교 외 다른 교량에서도 교각보호공 공사를 하지 않은 곳이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교량은 교각보호공 공사를 마친 상태로 비교적 안전해 보입니다만 제가 직접 관찰한 본류 교량 8곳 중 2곳이 특히 위험해 보였습니다. 


영풍교는 보호공 아랫부분이 벌써 뜯겨나간 듯 보였으며, 우곡교는 분명 수면과 맞닿은 교각임에도 보호공이 일부만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답사를 하며 '설마'하며 지나는 길에 보이는 교량은 찍어두었습니다. 낙동강 본류구간 전체 교량이  62개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8개는 일부입니다. 나머지 교량에도 '세금을 아끼기 위해' 보호공을 설치하지 않은 곳이 있을 수 있습니다.

 

4.jpg   
경북 예천군 풍양면에 있는 영풍교입니다. 이 교량 아래와 위쪽 본류구간에는 하상유지공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른 구간에 비해 경사가 가팔라 침식 우려로 설치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유속이 굉장히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이미 교각보호공 공사가 끝나 있었습니다만, 5월에 이곳에 갔을 때 우안 4번째 교각의 하부 보호공 부분이 떨어져 나가있었습니다. 시공과정에서 아랫부분이 누락된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이렇든 저렇든 이것은 부실시공입니다. 4번째 교각은 다른 교각에 비해 더 큰 세굴위험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제2의 '왜관철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5.jpg

경북 상주시 중동면의 중동교입니다. 물이 흘러가는 부분이든 둔치부분이든 모두 보호공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도넛처럼 생긴 세굴방지공도 설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저 둥그런 물체는 기둥 주변에 설치하여 추가적인 세굴을 막습니다. 이곳은 비교적 안전해 보입니다.

 

6.jpg

경북 의성군 단밀면의 낙단교입니다. 낙단댐(보) 바로 아래에 있는 교량으로 유속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곳 중 하나입니다. 댐에 물을 가득담아 두었을 때는 흐르는 유량이 적어 영향이 없을 것입니다만, 비가 많이 올 때는 수문을 개방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물이 흘러옵니다. 크게 위험한 지역인 만큼 더 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7.jpg

경북 구미시 진미동에 있는 구미대교입니다. 시내에 있는 교량이어서 무너진다면 대단히 큰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지역은 준설량이 많고 직선화 된 부분이라 다른 지역보다 유속이 더 빠를 것이라 예상됩니다. 다행스럽게도 굉장히 깊은 곳까지 콘크리트 보호공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튼튼해 보이지만 만의 하나를 생각한다면 이마저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8.jpg

이번에 붕괴된 왜관철교 하류 쪽에 있는 제2왜관교 입니다. 모든 기둥에 대하여 보호공을 설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왜관철교도 이처럼 공사를 해두었다면 어제와 같은 사고는 없었을 것입니다.

 

9.jpg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의 박석진교입니다. 이 교량은 자체가 불안해 보입니다. 다른 교량에 비해 기둥이 굉장히 가늘고, 교각보호공도 그렇게 굵지 않습니다. 물론 상판도 2차선으로 넓은 도로는 아닙니다. 중심도 맞추지 못하고 삐뚤삐뚤 시공한 모습이 왠지 불안합니다.

  

10.jpg
11.jpg

12.jpg


대구시 달성군 구지면의 우곡교입니다. 첫번째는 좌안 하류쪽에서, 두번째는 좌안 상류쪽에서 찍었습니다. 세번째 사진은 두번째 사진 일부를 크게 확대한 것입니다.


다른 교량들과 다르다는 것이 한눈에 보이지 않습니까? 제일 아래의 사진을 보면 교각보호공 일부가 없다는 걸 눈치채실 것입니다. 기둥 주변에 둘러져야 하는 콘크리트 부분이 하나도 없습니다. 가장 아랫부분에 발파석으로 된 세굴방지 매트만 있습니다.


물살의 영향을 덜 받는 곳이라면 일부 시설만 설치하여 세굴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진에 보이는대로 물길이 난 곳에 있습니다. 즉 다른 기둥들과 마찬가지로 빠른 강물의 영향을 받습니다. 최소한 다른 기둥들과 마찬가지로 시공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풍교와 더불어 제2의 '왜관철교'가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교량입니다.

 

13.jpg

경남 창원 동읍에 있는 본포교입니다. 이곳은 보호공의 높이가 좌안과 우안이 다릅니다. '세금을 아끼기 위한' 조처였을까요?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쉽게 이해는 되지 않네요. 교각 위쪽보다는 아래쪽이 더 취약하기 때문에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총 62개의 교량 중 불과 8개만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중 교각보호공 공사가 제대로 되어 있지않은 영풍교와 우곡교는 굉장히 위험해 보입니다. 제2의 '왜관철교'가 될 소지가 다분합니다. 


또한 댐(보) 바로 아래에 위치한 낙단교(낙단댐 아래)와 박석진교(달성댐 아래) 역시 매우 위험합니다. 이런 교량들이 당장은 아니더라도 조금씩 세굴을 거친 뒤 붕괴될 수도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사를 중단하고 퍼 냈던 모래들을 다시 제자리에 되돌려 놓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최소한의 안전조처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에 하나 이 중 하나가 무너질 때 그 위로 지나는 차량이나 사람이 있다면 대형 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는 것입니다.


소를 잃기 전에 외양간을 손을 봐야합니다.


김성만/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녹색연합 활동가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김성만(채색) 생태활동가
녹색연합 자연생태국, 4대강 현장팀에서 활동했었다. 파괴를 막는 방법은 살리는 일을 하는 것이라 믿고 2012년 3월부터 '생태적인 삶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여행을 떠난다. 중국 상하이에서 포르투갈의 리스본까지 자전거로 여행하고 <달려라 자전거>를 냈고, 녹색연합에서 진행한 <서울성곽 걷기여행>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메일 : sungxxx@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likebud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