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대학'? '4대강 대학'도 나올라

이유진 2011. 06. 28
조회수 63772 추천수 0

KDI 국제정책대학원 'G20 대학원' 교명 변경 추진

개도국, 엔지오 출신 많은데 낯뜨거운 정권 치적 쌓기

 

G20KDI.PNG

국제정책대학원의 개명에 반대하는 시위 모습. <한겨레> 김태형 기자 


며칠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갑작스런 설문 메일이 왔다. 학교 명칭을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G20 개발대학원’으로 바꾼다는 것이다. 교명 변경에 담긴 의도가 너무 적나라해 헛웃음이 났다. 딱 드는 생각이, 이러다 ‘4대강 대학’도 만들겠구나 싶었다. 아니나 다를까, 누리꾼들도 ‘88올림픽 대학’, ‘월드컵 대학’, ‘자유무역협정(FTA) 대학’ 등 패러디를 쏟아내고 있다.


학교 이름을 바꿀 수는 있지만 ‘서울 G20’ 대학은 아니다.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은 적어도 소통이 있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는 학교였다. 대학원 학생들이 주로 정부 공무원들과 기업인들이지만 엔지오(NGO) 활동가들도 진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학금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1998년 설립 초기부터 개발도상국 출신 공무원과 학생을 많이 받아들였다. 에티오피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네팔 등 출신으로, 가난하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자국으로 돌아가 꿈을 펼치는 학생들이 많았다.

 

전국에서 열리는 '4대강 축제'도 비슷한 발상


그런데 교명으로 삼고자 하는 ‘서울 G20’ 대회는 어땠나? ‘쥐’ 그림 하나도 풍자로 받아들이지 못해 작가를 구속 수사하려 했다. 도심 회의장 주변에 장갑차가 등장하고, 엔지오의 목소리는 원천봉쇄되었다. 심지어 정부는 회의에 참가하려던 필리핀 활동가들을 강제추방했다. 소통과 배려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대학원에서 공부하는 외국 학생들의 대다수가 개발도상국 출신인데, 학교명을 ‘G20’으로 바꾼다는 것도 씁쓸하다. 학교 쪽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천명한 개발의제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우수 학생들을 더 많이 유치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일은 교명 변경 이야기가 나오기 전부터 해 오던 일이다. 정부의 G20 치적 쌓기가 아니면 갑작스럽게 교명 변경이 추진될 리가 없다. ‘G20 세대’가 씨도 안 먹히니까 만만한 국책대학원 이름을 바꾸기로 마음 먹었나 보다.

 

이 정부의 치적 쌓기는 상식을 벗어나 낯뜨거운 수준이다. 올해 안동 국제탈춤축제가 ‘4대강 축제’와 같이 열린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4대강 사업 완공을 축하하기 위해 4대강 수계 지자체 5곳에 ‘4대강 축제’를 열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10년 역사를 가진 지역 고유의 축제를 국책사업 홍보 기회로 활용하려는 꼼수가 지역민들에게도 달갑지 않다. 안동대 민속학과 임재해 교수는 방송 인터뷰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적인 탈놀이를 하는 것이 탈춤축제를 살리는 길이죠”라고 일갈한다. 지역별 축제 비용은 지방비와 국비 각각 5억원씩 드는데, 추경 시기를 놓친 지자체로서는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결국 또 서민 예산이 정부 치적 홍보비로 쓰일 판이다.

 

이 정부, 1년 반밖에 안 남았다. 억지로 힘으로 학교 이름을 바꿔 역사에 남을 생각을 하지 말고, 4대강 실패를 ‘축제’로 치장하려 하지 말고, 딱 2년 뒤만 생각해서라도 남은 기간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고 움직여야 한다. 터져 나오는 공직 비리에 살인적인 물가 상승, 전세가 폭등, 4대강 파괴, 구제역과 저축은행 사태…. 요즘 국민들은 삼삼오오 모이면 도대체 이 정권이 끝나면 뒷수습을 어떻게 할 건가 걱정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이토록 많은 국민들의 냉소와 우려를 한꺼번에 받은 정권이 없다.

 

이 정권을 책임지시는 분들! 지금 ‘G20 대학’이나 ‘4대강 축제’에 신경 쓸 한가한 상황이 아님을 제발,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이유진/ 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녹색연합 녹색에너지디자인 팀장


<참고 자료>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이름이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G20 개발대학원’으로 교명이 바뀌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6월 29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위원회에서 투표를 합니다.

자, 위원회 명단을  살펴 볼까요?

 

김 세 원: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이 사 임: 채 민 국무총리실장 당연직이사
류 성 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
김 남 석: 행정안전부 제1차관
김 재 수: 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
안 현 호: 지식경제부 제1차관
최 원 영: 보건복지부 차관
문 정 호: 환경부 차관
이 채 필: 고용노동부 차관
강 석 진: CEO컨설팅그룹 회장 선임직이사
김 상 봉: 법무법인 정률 대표변호사
김 종 석: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 진 영: 강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박 길 성: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박 태 호: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서 정 화: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윤 창 번: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17명 위원중에 8명이 정부 부처 고위 관료들이십니다.

과연 결과가 어떻게 날까요?

 

(2) KDI School 교육과학부 신청
투표 결과에 따라 교육과학부에 신청을 하면,

 

(3) 교육과학부 장관 승인 (신청 후 약 2주 소요)

승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G20 대학' 교명 변경 시도를 하는 것 자체가 너무 부끄럽습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이유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이메일 : leeyujin2010@gmail.com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1시간 먹고 20분 쉬고, 깃털 관리…홍학은 야생이었다1시간 먹고 20분 쉬고, 깃털 관리…홍학은 야생이었다

    윤순영 | 2017. 09. 01

    "새만금에 나타났다" 1년 전부터 소문만 무성하다 구체적 제보로 들어와너무 멀어 낙담할 때 무슨 일인지 가까이 다가와, 환경지구 조성 서둘러야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홍학 서식지는 5000㎞ 떨어진 카자흐스탄이다. 그런데 1년 전부터 열대지...

  • 공룡의 생존전략 '청소년기 생존전략, 조류와 닮아'공룡의 생존전략 "청소년기 생존전략, 조류와 닮아"

    이근영 | 2016. 01. 22

    원병묵 교수, 수학모델로 계산'인간과 유사' 기존 이론 뒤집어청소년기에 폭풍성장하는 공룡의 생존 전략은 사람이 아닌 큰 조류와 닮았다는 사실을 국내 공학자가 밝혀냈다.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및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는 22일 “공룡은 ...

  • ‘지구온난화’가 주술이라는 어느 신문 사설‘지구온난화’가 주술이라는 어느 신문 사설

    김정수 | 2014. 03. 05

    한물간 그린피스 창립자 발언을 금과옥조 삼아 '기후변화는 없다' 주장 속내는 배출권 거래제 연기 요구, 산업계 이해관계 막무가내 대변        우리나라 산업계를 대변해온 대표적 경제신문에 3일 “극소수 국가만이 지구온난화의...

  • 철새 먹이주기 금지, AI 방제에 역효과 철새 먹이주기 금지, AI 방제에 역효과 

    주용기 | 2014. 01. 28

    먹이 찾아 이동 부추겨, 이미 볏집 감싸는 곤포사일로로 먹이 부족 상황근본적으로 공장식 가금 농장 환경개선해야…가창오리 `주범' 근거 없어    확산일로에 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가 야생조류에서 비롯된 것처럼 발표가 나오고 있다. ...

  • '북극해 식어 빙하기? 엉터리 기사의 전말'북극해 식어 빙하기? 엉터리 기사의 전말

    조홍섭 | 2013. 09. 12

    영국 일요판 타블로이드 신문 엉터리 보도, NASA 발표인 것처럼 인용 북극해 얼음 작년 기록적 축소 대비 증가일뿐 평균보다 작아, 장기추세는 그대로     “북극해에 얼음이 60%나 늘었다네요. 언제는 전부 녹는다더니….”  11일 오후 동...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