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기로 우는 2mm 물벌레, ‘기차화통’ 소리

조홍섭 2011. 07. 01
조회수 126729 추천수 0
몸집 대비 고래·코끼리 누르고 가장 큰 소리
짝짓기 할 때 다른 수컷 압도 위해 더 크게

 
loud.jpg 
몸집에 견줘 가장 시끄러운 동물로 밝혀진 물벌레 과의 물속곤충. 

연못에 사는 작은 물벌레가 몸집에 견줘 모든 동물 가운데 가장 큰 소리를 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롬 수에르 프랑스 자연사박물관 박사 등 프랑스와 영국 과학자들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유럽산 물벌레 과의 물속 벌레 수컷이 평균 78.9데시벨, 최고 99.2데시벨의 소음을 내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연구진은 길이 2㎜인 이 물벌레가 내는 소리를 1m 밖에서 수중마이크를 이용해 측정했는데, 이는 화물열차가 지나가는 옆이나 관현악 연주를 맨 앞줄에서 듣는 수준이었다.
 
이들이 내는 소리의 99%는 물속에 흡수되지만, 워낙 커 연못가를 지나가는 사람의 귀에도 들린다.
 
연구에 참여한 제임스 윈드밀 글라스고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 박사는  <비비시> 인터넷 판과의 인터뷰에서 “몸집에 견준 소리의 크기는 이 물벌레가 지구상에서 가장 시끄럽다”고 말했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소리를 내는 동물은 대왕고래로 188데시벨에 이르며, 코끼리는 117데시벨의 소리를 낸다.
 
실험에 사용한 곤충은 유럽 전역에 분포하는 물벌레 과 꼬마물벌레의 일종으로, 몸이 납작하고 기다란 뒷다리를 노처럼 저어 헤엄쳐 보트를 연상시킨다. 한국 등 세계적으로 300여 종이 분포하며, 여름 밤 등불에 날라든다.
 
생식기를 배와 비벼 소음 내

tiny-water-boatman.jpg
모래알보다 약간 큰 물벌레의 크기.

이 논문은 이처럼 작은 곤충이 엄청난 소리를 내게 된 이유를 "과장된 성 선택’ 때문으로 분석했다.
 
수컷은 짝짓기 때 더 큰 소리를 내 다른 수컷의 소리를 압도하는 개체일수록 자손을 더 많이 남기게 된다. 그러나 너무 큰 소리는 천적의 관심을 불러 오히려 명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암컷을 부르는 소리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다.
 
이 논문은 천적이 없는 특별한 상황이 이 물벌레가 ‘정상을 벗어난 선택’을 하게 됐을 것으로 보았다.
 
이 물벌레는 생식기를 배에 비벼 소리는 내는데, 놀랍게도 소리를 내는 기관은 폭이 머리카락 굵기 정도로 매우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boatman.jpg

윈드밀 박사는 “이렇게 작은 부위에서 어떻게 그토록 큰 소리를 내는지는 미스터리”라며 “앞으로 초음파 시스템 연구에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곤충의 발성기관은 날개, 다리, 배, 머리, 가슴 등 다양하며 생식기를 이용하는 나방도 보고돼 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