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2018. 07. 26
조회수 372616 추천수 1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
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common_merganser_audubon.jpg » 미국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에서 지난달 촬영된 비오리 새끼의 기다란 행렬. 어미의 등에 올라간 것부터 한 프레임에 미처 담지 못한 새끼까지 50마리가 넘는다. 이후 그 수는 더 불어났다. 브렌트 시제크 제공.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

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그저 ‘몇 마리’가 아니었다. 어미 비오리 뒤에는 50마리 이상의 새끼 오리가 긴 줄을 이루어 헤엄치고 있었다. “멋진 사진”이라는 댓글과 함께 “엄마가 너무 힘들겠다”는 반응이 달렸다.

이야기는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지난 17일 그는 인스타그램에 그 비오리 가족의 최근 사진을 올렸다. 새끼는 더 불어나 적어도 76마리나 됐다. 그는 “이제는 유명해진 비오리를 다시 찾았는데 입양한 새끼가 적어도 76마리였다. 이 사진이 전달하는 이야기가 좋다”라고 적었다.

비오리2.jpg » 17일 적어도 76마리로 불어난 비오리. 위험 분산을 위한 남의 알과 함께 어미를 잃은 이웃의 새끼를 입양한 것으로 보인다. 브렌트 시제크 제공.

비오리 어미는 어떻게 이렇게 많은 새끼를 가지게 됐을까. 비오리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나무구멍에 둥지를 틀고 8∼12개의 알을 낳는다. 많아야 17개 정도의 알을 낳을 뿐이다. 

미국의 조류보호단체 오듀본협회의 켄 카우프만 필드 에디터는 이 단체의 온라인 뉴스에서 “비오리가 종종 다른 오리의 둥지에 알을 낳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말했다. 둥지가 라쿤 등 포식자의 습격을 받아 새끼를 모조리 잃는 사태에 대한 일종의 ‘보험’으로 어미 비오리는 다른 비오리 둥지에 몇 개씩 자기 알을 낳아 놓곤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많은 알을 부화시킨 데다 어미를 잃은 다른 비오리의 새끼들까지 떠안다 보니 이렇게 식구가 불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Bengt Nyman_Mergus_merganser,_female_and_male,_Vaxholm,_Sweden.jpg » 비오리 부부. 벵트 니만,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조류 사진가인 윤순영 한국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비오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동강에서만 번식하지만 이렇게 많은 새끼를 데리고 있는 것은 못 봤다”며 “흰뺨검둥오리나 원앙이 많은 새끼를 키우는 대표적인 새이지만 기껏해야 15마리 정도”라고 말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살아있는 보석’ 동박새, 광릉숲에 자리 잡았나‘살아있는 보석’ 동박새, 광릉숲에 자리 잡았나

    윤순영 | 2018. 07. 13

    붓 모양 돌기로 동백꽃 즐겨 빠는 남부지방 텃새포천 국립수목원서 애벌레 사냥…둥지는 안 틀어동박새란 이름을 들으면 동백꽃이 생각난다. 동백꽃의 곁에는 언제나 동박새가 있다. 동박새는 동백나무가 많은 우리나라 남해안과 섬 등지에서 서식하는...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