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세계적 희귀새 황새, 백령도 폐염전에 최대 규모 찾아와세계적 희귀새 황새, 백령도 폐염전에 최대 규모 찾아와 [3] | 환경뉴스

    윤순영 | 2014.01.17

    한두마리 보기도 힘든 황새가 17마리 큰 무리 이뤄 월동인적 드문 폐염전서 물고기 등 먹어…부근서 농수로 공사, 보호대책 절실  지난 4일 귀중한 제보를 담은 메일이 왔다. 이런 내용이었다.    두루미에 관한 기사 잘 봤습니다. 철원에 살아봐서 두루미에 대하여는 조금 알고 있...

  • 나무 기생 겨우살이, 알고 보니 생태살이나무 기생 겨우살이, 알고 보니 생태살이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1.15

    겨울에 모습 드러내는 기생식물 겨우살이, 생태계 핵심 자원 드러나약효 성분 알려지며 무분별 채취, 이대로 가면 2020년 안 자취 감출 우려  나무들이 잎을 떨어뜨린 겨울 숲은 썰렁하지만, 무성한 잎에 가려 보이지 않던 겨우살이는 겨울이 돼야 제 모습을 드러낸다. 지난 13일 경기도 포천 국립...

  • 두 얼굴의 괴물고기, 날쌘 제비도 덥석두 얼굴의 괴물고기, 날쌘 제비도 덥석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1.14

    남아프리카서 동영상 촬영, 포식성 줄벤자리 새로운 사냥법 확인수면 접근하는 제비 향해 물속에서 자로 잰 듯 뛰어올라…3번에 1번 성공   백로와 오리 등 많은 새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그러나 생태계 먹이 그물에서 고정관념은 쉽게 깨지는 법이어서, 물고기가 새를 먹는 예도 적지 않다. ...

  • 늑대 풀어놨더니 생태계가 살아났다늑대 풀어놨더니 생태계가 살아났다 [7] | 조홍섭

    조홍섭 | 2014.01.10

    최상위 포식자 생태계 안정 구실 밝혀져, <사이언스> 총설 논문퓨마는 하천둑 안정화, 늑대와 해달은 식물의 탄소 저장 도와   1995년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회색늑대를 복원한 뒤 예상치 못한 일들이 꼬리를 물고 일어났다. 단지 먹이인 엘크가 줄어든 것만이 아니었다. 사슴이 뜯어 먹어...

  • 10년 조사 시민의 힘, 끝나지 않은 새만금10년 조사 시민의 힘, 끝나지 않은 새만금 | 환경뉴스

    김정수 | 2014.01.08

    새만금 조사 10년 이어온 시민생태조사단, 마지막 물막이 허탈감 딛고 다시 개펄로죽어가는 생명들 기록 고통, 비바람 속에서도 고집스런 새만금 행    2003년 12월7일 일요일 아침. 시민, 학생, 환경단체 활동가 등 40여명이 만경강 하구 야미도와 비응도 사이 바다가 방조제로 막힌 뒤 하루가 ...

  • 알 낳는 뱀이 먼저? 새끼 낳는 뱀 먼저알 낳는 뱀이 먼저? 새끼 낳는 뱀 먼저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1.07

    난태생, 뱀 진화 초기부터 나타나…태생→난생 등 진화과정 복잡 추운 곳일수록 태생 많아, 부화와 신천지 개척에 유리     동물을 나누는 가장 손쉬운 방법의 하나가 알을 낳느냐 새끼를 낳느냐를 보는 것이다. 물고기, 새, 거북, 악어,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고 포유동물은 새끼를 낳는다. 그런데...

  • 한국 마지막 표범 뱀가게에 팔렸다한국 마지막 표범 뱀가게에 팔렸다 [3]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4.01.02

    1962년 경남 합천서 잡힌 '마지막' 표범 이후 합천서 새끼 표범 또 포획 대구시 한약재로 뼈와 고기 모두 팔려, 일본 동물 작가 엔도 키미오 두번째 책       한반도에 서식하던 호랑이와 표범은 구별 없이 그저 ‘범’이란 통칭으로 불렸다. 한국인의 의식에 가장 깊숙이 자리 잡은 동물...

  • 공사 앞둔 가리왕산, 600살 주목의 '마지막 겨울'공사 앞둔 가리왕산, 600살 주목의 '마지막 겨울' [9]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1.01

    평창 동계올림픽 활강경기장 건설 위한 환경영향평가 중, 이르면 내년 봄 착공 주목 묘목부터 수백년 거목까지 내륙 유일의 번식지 파괴될까     잎을 떨군 활엽수림이 솜털처럼 빽빽하게 들어선 눈 덮인 가리왕산은 평화로웠다. 이르면 내년 봄부터 평창 동계올림픽 활강 경기장 공사가 시작되면...

  • 밝아오는 2014년, 재두루미 부부의 새해 인사밝아오는 2014년, 재두루미 부부의 새해 인사 | 사진

    윤순영 | 2013.12.31

    물바람숲 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재두루미 부부가 31일 아침 경기도 김포시 홍도평야 위로 떠오르는 태양을 가슴에 품고 날아올랐다.   농경지 매립과 늘어나는 아파트 숲에서도 명맥을 유지해 온 재두루미는 과연 수천년 이어온 한강 하구의 월동지를 유지할 수 있을...

  • 2013년 지구는 안녕했나2013년 지구는 안녕했나 [1] | 사진

    조홍섭 | 2013.12.31

    기후변화, 자연재해, 스모그, 오존층 파괴… 위성서 본 지구는 여전히 아름답지만 안녕하진 않다     기후변화와 홍수, 화산폭발, 산불 등 각종 자연재해에 시달리느라 지구는 2013년에도 그리 편하지 못했던 것 같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관측 프로그램에서 각종 인공위성과 국제우주정거장...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