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오늘의 멸종위기종] 남부 안데스를 상징하는 사슴 우에물[오늘의 멸종위기종] 남부 안데스를 상징하는 사슴 우에물 | 사진

    조홍섭 | 2010.08.05

    유엔이 정한 ‘2010 생물 다양성의 해’를 맞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날마다 세계적으로 위기에 놓인 생물을 골라 ‘오늘의 멸종위기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곰팡이에서 대형 포유류까지, 놀라운 생물다양성의 세계를 매일 찾아간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http://www.iucn.org/ )&...

  • 50년만에 찾은 바비아나 블란다50년만에 찾은 바비아나 블란다 | 사진

    조홍섭 | 2010.08.04

        남아프리카의 극히 일부 지역에 살아남은 붓꽃과의 식물로 커다란 분홍빛 꽃과 청자색 꽃밥이 대조를 이룬다. 바비아나 블란다는 자생지인 저습지가 도시와 농지 개발로 사라지면서 50년 넘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6년 다행히 이 식물의 작은 무리가 외래종 아카시아 숲...

  • 보호 손길조차 없는 두머그 도마뱀보호 손길조차 없는 두머그 도마뱀 | 사진

    조홍섭 | 2010.08.03

       두머그 도마뱀은 중간 크기의 도마뱀으로 북 아프리카의 좁은 해안을 따라 모로코 북동부에서 알제리아 북서부에  걸쳐 분포한다. 가까운 스페인의 차파리나스 섬에도 서식한다. 이 도마뱀의 서식지는 좁고 조각나 있으며 개체수도 매우 작다. 가장 큰 위협요인은 해안개발로 인한 서식지...

  • 물 절약 달인 큰캥거루쥐물 절약 달인 큰캥거루쥐 | 사진

    조홍섭 | 2010.08.02

        미국 캘리포니아 고유종인 큰캥거루쥐는 캥거루처럼 기다란 뒷다리를 지닌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땅속 깊은 곳에 구멍을 파고 사는데, 건조지대에 놀랍게 적응했다. 이 쥐는 사람보다 다섯 배나 뛰어난 콩팥기능을 지녀 수분을 최대한 회수하고 난 농축된 오줌만을 배설한다. 또 ...

  • 한국 남해는 세계적 해양생물 ‘핫 스폿’한국 남해는 세계적 해양생물 ‘핫 스폿’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0.07.30

    해초, 오징어, 연체동물 다양성이 세계 최고 동남아 열대우림 등 지구상의 특정한 지역에는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산다. 지구표면의 2.3%를 차지할 뿐이지만 식물 종의 50% 이상, 척추동물 종의 42%가 이곳에 분포한다. 세계 34곳에 있는 이곳을 ‘핫 스폿’(핵심 구역)이라 부른다. 생물다양성이 고도...

  • [오늘의 멸종위기종] 유포비아 타나엔시스[오늘의 멸종위기종] 유포비아 타나엔시스 | 사진

    조홍섭 | 2010.07.30

    유엔이 정한 ‘2010 생물 다양성의 해’를 맞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날마다 세계적으로 위기에 놓인 생물을 골라 ‘오늘의 멸종위기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곰팡이에서 대형 포유류까지, 놀라운 생물다양성의 세계를 매일 찾아간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http://www.iucn.org/ )&...

  • 강변 레저 위해 ‘팔당’ 버릴 건가강변 레저 위해 ‘팔당’ 버릴 건가 [1] | 조홍섭

    조홍섭 | 2010.07.30

    고등학교 1학년이던 1972년 여름 방학 때 친구와 남한강에 낚시를 갔다. 경기도 남양주시 양수리(두물머리) 근처였던 것 같다. 팔당댐이 완공을 앞두고 수위가 일정하지 않았지만 맑은 물속에서 자라와 납자루 등을 신나게 건져올린 기억이 난다. 철없던 때여서, 문전옥답을 버리고 떠난 수몰민의 처지는 ...

  • [오늘의 멸종위기종] 톤킨 들창코 원숭이[오늘의 멸종위기종] 톤킨 들창코 원숭이 | 사진

    조홍섭 | 2010.07.29

    유엔이 정한 ‘2010 생물 다양성의 해’를 맞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날마다 세계적으로 위기에 놓인 생물을 골라 ‘오늘의 멸종위기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곰팡이에서 대형 포유류까지, 놀라운 생물다양성의 세계를 매일 찾아간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http://www.iucn.org/ )&...

  • “한반도 땅 암호 풀어 지질유산 보존·활용을”“한반도 땅 암호 풀어 지질유산 보존·활용을” | 한반도는 살아있다

    조홍섭 | 2010.07.28

    좌담-연재를 마치며2억6천만 년 전 시원부터 ‘유전자’ 찾아 1년여 탐사내가 사는 곳에 그런 것이?…창조-진화 열띤 공방도  지난해 5월16일 <한겨레> 창간기념호부터 시작한 기획연재 ‘살아있는 한반도’가 지난 14일로 1년 2개월 만에 끝났다. 대한지질학회와 함께 한반도가 현재의 모습을 이루...

  • [오늘의 멸종위기종] 펨바 실잠자리[오늘의 멸종위기종] 펨바 실잠자리 | 사진

    조홍섭 | 2010.07.28

    유엔이 정한 ‘2010 생물 다양성의 해’를 맞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날마다 세계적으로 위기에 놓인 생물을 골라 ‘오늘의 멸종위기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곰팡이에서 대형 포유류까지, 놀라운 생물다양성의 세계를 매일 찾아간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http://www.iucn.org/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