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재두루미 안식처에 김포 도로 꼼수 추진재두루미 안식처에 김포 도로 꼼수 추진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4.09.15

    김포시, 김포 사우동~고촌 1.2㎞ 4차로 건설 추진…수도권 재두루미 마지막 도래지 환경부 10년 동안 3차례 반대 의견, 김포시는 도로 규모 줄여 환경영향 없이 '편법' 추진   김포시 홍도평은 먼 옛날부터 기러기의 땅이었다. 김포 팔경 중의 하나가 홍도낙안(紅島落雁)이다. 곧 ‘홍...

  • 냄새 못 맡는 상어, 시큼해지는 바다냄새 못 맡는 상어, 시큼해지는 바다 | 조홍섭

    조홍섭 | 2014.09.12

    묵묵히 탄소 흡수 바다와 토양이 심상찮다, 바다 흡수능력 70%로부담은 미래로 미루기…23일 기후정상회의에서 박근혜가 할 말은?     상어는 ‘헤엄치는 코’라고 불릴 정도로 후각이 예민하다. 백만배로 희석한 핏방울을, 그것도 아주 멀리서 감지한다. 어둡거나 탁한 바다에서 사냥하는 일이 많...

  • 공존의 미학, 뜰안의 풍경공존의 미학, 뜰안의 풍경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4.09.11

    늦여름 뜰 안 화단에는 정겨운 꽃이 핀다…백일홍, 코스모스, 과꽃, 맨드라미 귀화종이지만 들어온 지 100년이 넘어 우리 정서와 미감에 꼭 맞는다        문득 어린 시절 뜰 안 꽃밭이 생각났다. 할머니는 꽃도 좋아했지만 꽃밭 가꾸기를 즐겨 하셨다.   그때 마음속에 심어준 꽃 하...

  • ‘악마 구멍’ 속 물고기, 기후변화와 생존투쟁‘악마 구멍’ 속 물고기, 기후변화와 생존투쟁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9.07

    미국 네바다 데스밸리에 있는 수심 152m, 수온 33도 '악마의 구멍'에 서식 최근 감소 일로, 92마리 남아…기후변화로 사망률 증가해 멸종 위기     미국 네바다주의 모하비 사막이 펼쳐진 데스밸리 국립공원 동쪽에는 매우 특이한 웅덩이가 있다. 표면은 가로 2m 세로 5m의 길쭉한 형태로, ...

  • 반달곰 수난 100년 지리산 복원 10년반달곰 수난 100년 지리산 복원 10년 [1] | 조홍섭

    조홍섭 | 2014.09.04

    '인권'보다 '곰권', 김영삼 단식 가린 반달곰 보도…보호 시기 놓쳐 지리산에 31마리, 가임기 도달 더 들어날 듯…등산객과 충돌 등 과제     한반도의 야생 반달가슴곰이 사진이나 흔적이 아닌 실물로 마지막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83년이었다. 설악산 마등령에서 밀렵꾼의 총을 맞고 신음하던 ...

  • 멸종위기 물범, 왜 백령도로 올까멸종위기 물범, 왜 백령도로 올까 |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태건 | 2014.09.02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⑥ 점박이물범 인천AG 마스코트 동물, 백령도가 고향인 대표적 해양포유류 해양오염과 서식지 파괴, 그물에 걸리기 등이 위협, 500여마리 남아   얼음을 타고 내려오는 물범의 모습, 보신 적이 있나요? 우리나라 바다에 물범이 살고 있다는 이야기도 처음인 분도 있을 것...

  • 앙징맞은 숲속 요정, 흰눈썹황금새를 만나다앙징맞은 숲속 요정, 흰눈썹황금새를 만나다 | 사진

    윤순영 | 2014.09.01

    도사를 떠올리는 커다란 흰 눈썹, 몸 아래 뒤덮은 탐스런 황금빛 잘 보전된 숲속에서 만나는 황홀한 여름 철새, 보호와 관심 필요     5월부터 6월 하순 청아한 새소리가 푸르른 숲속에서 들려온다. 몸 길이 13㎝의 숲속의 작은 요정 흰눈썹황금새다. 참새보다 작은 앙증맞은 새이다. &nb...

  • 이사 뒤 하루만에 세균이 고스란히이사 뒤 하루만에 세균이 고스란히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29

    우리 몸뿐 아니라 우리 집도 하나의 생태계, 독특한 세균의 아우라…'세균 지문' 주목 호텔방 3시간, 새 집은 24시간이면 세균 군집이 점령…몸에서 시간당 1500만 마리 세균 떨궈      낡은 살림살이를 모두 정리하고 깨끗하게 청소한 새집으로 이사하면 기분마저 상쾌하다. 하지만 원하든 ...

  • 고아 흰뺨검둥오리 8마리의 설레고 겁나던 첫 비행고아 흰뺨검둥오리 8마리의 설레고 겁나던 첫 비행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봉균 | 2014.08.28

    어미 잃고 헤매던 새끼 흰뺨검둥오리 8마리 마침내 자연으로 제각기 다른 사연에 고아, 방행하니 한 식구처럼 붙어다녀    가을이 다가오면 야생동물구조센터가 분주해집니다. 농부가 가을걷이를 하듯, 여름 내내 우리와 지냈던 어린 동물들을 자연으로 돌려보내야 하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흰뺨검둥오리 ...

  • -50도 동토 내몽골, 한반도 숲의 원형-50도 동토 내몽골, 한반도 숲의 원형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27

    동북아 북방계 식물 자생지 답사 ① 내몽골 건허   설악산 대청봉 자생 눈잣나무 숲이 영구동토에 펼쳐져, 극지 식물 월귤도 지천으로 깔려 2만년 전 빙하기 한반도 숲의 원형, 기후변화 영향 가장 먼저 받아 세계적 관심 모여     한라산 꼭대기 암벽에는 키 5㎝에 탐스런 연노랑...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