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봉하 황새 봉순이, 드디어 인공둥지봉하 황새 봉순이, 드디어 인공둥지 | 봉하마을 황새 ‘봉순이’

    도연 | 2014.08.26

    높이 20m에 지름 2m 금속 접시 모양 인공둥지 완성, 칡 덩굴 얹으니 그럴듯 새 둥지 넘어 지역 주민의 자연생태에 대한 생각과 소망이 담긴 탑 될 것       안녕 봉순아. 우선 기쁜 소식부터 전할께. 네가 외출한 사이 지난 금요일(2014년 8월 22일) 오전 10시, 드디어 너를 위한 인공둥지가 세워...

  • 나무 오르는 뱀도 경제성보다 안전나무 오르는 뱀도 경제성보다 안전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25

    나무 사는 보아뱀과 비단뱀, 에너지 소비 '경제성' 보다는 '안전' 중시 기어오르는 동작 흔치 않고 만일 경우 피해 치명적…사람, 도마뱀부치도 마찬가지     자연에는 낭비가 없다고 한다. 오랜 진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에너지를 쓰는 행동은 도태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경제성과 안전 ...

  • 불개미 감염 동충하초, 좀비 퍼뜨려 번식한다불개미 감염 동충하초, 좀비 퍼뜨려 번식한다 [3]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22

    좀비 된 개미, 둥지 들머리 나무 위에서 매달린 채 죽어 포자 떨어뜨려 개미는 둥지 청소 철저, 기생자 침입 막아…동충하초 균은 둥지 밖 감염 전략    많은 수의 동물이 몰려 사는 곳엔 어김없이 기생 동물이 끼어들기 마련이다. 개미는 사람 다음으로 많은 개체가 한 곳에 몰려 사는 동물이다...

  • 숲속 보석 큰유리새, 0.76초 정지 마술숲속 보석 큰유리새, 0.76초 정지 마술 [2] | 사진

    윤순영 | 2014.08.21

    잘 보전된 숲에만 사는 여름철새, 애벌레와 곤충, 나무열매 먹이며 새끼 길러 짧은 날개로 벌새처럼 정지비행 일품, 날면서 벌레 사냥하는 능력 뛰어나      수도권이지만 경기도 가평군, 남양주시, 양주시 등의 산악지역에는 멸종위기종인 긴꼬리딱새, 까막딱다구리, 참매, 소쩍새, 부엉이...

  • 지진으로 막힌 강, 5년만에 뚫은 물의 힘지진으로 막힌 강, 5년만에 뚫은 물의 힘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20

    대만 다안강 강진으로 강 가로질러 암반 댐 형성, 9년만에 깊이 17m 협곡 형성 가파른 산악에 해마다 태풍이 폭우 불러, 수백만년 걸리는 협곡 침식 50년에 끝     우리나라에서 가장 젊은 강인 한탄강은 철원 평야를 칼로 벤 듯이 협곡을 만들며 흐른다. 27만년 전 강원도 평강에서 분출한 용...

  • 아마존 대형 거북, 6가지 소리로 소통아마존 대형 거북, 6가지 소리로 소통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8.18

    아마존 대형 민물거북…이동, 둥지 짓기, 부화 중 새끼와도 활발히 소통 집단 번식 때 행동통일해 포식 위험 줄이고 번식지 정보 교환 기능 추정     거북은 단단한 껍질에 기대어 장수하는 동물이다. 홀로 생활하며 어딘가 과묵한 느낌을 준다. 무리를 짓는 새나 포유동물처럼 활발하게 소...

  • 꿀벌, 배로 열 흡수-별통의 찜통 차단꿀벌, 배로 열 흡수-별통의 찜통 차단 | 조홍섭

    조홍섭 | 2014.08.16

    심장과 혈관으로 체온 조절하는 포유류와 마찬가지 효과, 많은 꿀벌이 한 유기체 형성 코알라가 끌어안는 나무는 냉장고, 수백만 사람 땀샘은 소형 냉방기…진화의 선물    큰 더위 없이 올여름을 나게 되는 것 같아 다행이다. 하지만 한낮은 여전히 덥고 사무실 냉방기는 쉴새없이 돌아간다. 여름철...

  • 자연사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여행자연사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여행 | 조홍섭

    조홍섭 | 2014.08.15

    심양에서 대흥안령 산맥 끝까지 1500㎞, 만주는 '옥수수와 풍차 밭' 여행의 계절, 자연사의 신비에 눈 돌리자…백두산, 한란산, 울릉도, '방콕'    “그곳에선 베개만한 감자와 주먹만한 대추가 열렸지.”   만주에서 농업전문학교에 다니다 단신 월남한 선친은 만주의 끝없이 넓은 비옥한 땅을 이...

  • 매미 탄생 13시간, 순간순간 생명의 신비매미 탄생 13시간, 순간순간 생명의 신비 [4]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4.08.12

    껍질 나오기까지 3시간, 몸 굳기까지 10시간 인고의 4년 헛될라 세찬 비에도 아랑곳 안해   “맴맴맴 미~”  참매미는 무더운 여름을 알리는 전령이다. 요즘엔 너무 많고 한밤중이나 이른 새벽에도 울어 어렵게 든 잠을 깨운다는 눈총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어쩌랴. 참매미도 몇 주일 안에 짝을 ...

  • 비와 빛이 그린 예술, 쌍무지개비와 빛이 그린 예술, 쌍무지개 | 사진

    윤순영 | 2014.08.11

    8월9일 하루 종일 비가 내린다. 오후 6시50분쯤 창밖을 보니 햇빛이 들며 비가 내리고 있어 무지개가 뜰 것이라고 예감했다. 아니나 다를까? 쌍무지개가 떴다.     오랜만에 보는 무지개다. 얼른 카메라를 챙겨 베란다에서 촬영을 하다가 무지개 전체를 촬영하려고 위험을 무릅쓰고 밖으로 나와...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