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캥거루 꼬리는 다리, 네 다리 맞먹는 힘 [2] | 환경뉴스
2014.07.07
|꼬리로 체중 지탱은 물론 몸 들어올리고 추진력도 내, 네 다리 합친 크기 "꼬리를 다리로 사용하는 법 발견한 첫 동물", 조상은 꼬리로 나무 감아 포식자에게 쫓기는 캥거루는 커다란 뒷다리를 이용해 우아하고도 강력한 뜀뛰기 실력을 보인다. 이때 굵고 기다란 꼬리는 공중에 뻗어 몸의 균...
-
바다 귀향한 제돌이 이젠 자유재롱 부려 | 환경뉴스
2014.07.04
|무리와 함께 요트 옆 파도타기, 김녕항 오전 10~11시, 오후 4~5시 자주 나와 요트 겁내지 않고 몸 뒤집기 재롱도, 동물복지 고려한 고래 관광 새 가능성 보여 서울대공원에서 돌고래쇼를 하던 제돌이가 고향인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지 1년이 다 되어 간다. 지난해 7월18일, 제돌이는 춘삼이와 함께 제주...
-
자연의 가치 연 40조 달러, 그보다 더한 가치 | 조홍섭
2014.07.03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 연간 40조달러, 세계 총생산 절반 규모 국내서도 자연 가치 시장화 논의 활발, 실천에서 자연은 여전히 공짜 취급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새삼 꿀벌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기 시작한다. 벌통 하나에 든 꿀벌이 하는 일을 사람이 대신 한다...
-
'물속 뻐꾸기' 감돌고기는 꺽지의 새벽을 노린다 | 환경뉴스
2014.07.02
|돌고기 무리의 번식전략 '탁란', 물속 관찰 동물행동 연구로 밝혀져 감돌고기, 산란터 지키는 꺽지를 대리모 삼아 목숨 걸고 둥지곁에 알 낳아 ■ 꺽지 산란 귀신같이 알아내는 감돌고기 바닥에 바위와 돌이 깔린 맑은 하천에 사는 돌고기란 민물고기가 있다. 우리나라 하천에 흔...
-
침팬지 '풀 귀고리' 패션 유행처럼 흉내 | 환경뉴스
2014.06.30
|야생상태 잠비아 침팬지 1년 관찰, 뚜렷한 이유 없이 모방 확산 창안자 사망 뒤에서 계속…"문화적 잠재력 보여줘" 아프리카 잠비아에는 야생 침팬지 고아원이 있다. 이 보호시설은 면적이 20~80㏊인 숲으로 야생과 비슷한 상태에서 침팬지 94마리가 산다. 매일 점심때 부족한 먹이를 공...
-
지구 410~660㎞ 밑, 바다 3배의 물 있다 | 환경뉴스
2014.06.27
|지하 410~660㎞ 맨틀 암석에 수분 1% 함유 밝혀져 바다 탄생이 혜성 충돌 아닌 지구 자체 기원설 뒷받침 지구는 푸른 물의 행성이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3분의 2를 덮고 있다. 그런데 땅속 깊숙한 곳에 지표의 대양보다 큰 ‘지하 바다’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그 ...
-
지리산 선교사 별장 얽히고 설킨 논란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4.06.26
|반달가슴곰 서식하는 국립공원 핵심 지역, 등록문화재 지정하면 지리산 훼손 불 보듯 내셔널트러스트는 문화유산상 줘, 생태적 가치와 지역사회 아픈 기억 고려해야 2004년쯤으로 기억된다. 한 대학 교수에게서 전화가 왔다. 지리산국립공원에 건물을 몇 채 가진 분들이 있는데 캠프나 모...
-
앞다리로 유혹, 거미 물고기 낚시 | 환경뉴스
2014.06.23
|물표면에 발 올려 닿는 물고기 낚아채, 신경독 주입해 조직 녹여 흡입 남극 뺀 모든 대륙에 서식, 어쩌다 먹는 별식 아닌 주요 영양원 가능성 개울가나 연못, 습지 등 물가에도 거미가 많이 산다. 이들은 주로 곤충을 먹고산다. 이제까지 누구나 그렇게 알았다. 그러나 뜻밖에 많은 종류의...
-
브라질 환경 월드컵? '탄소 발자국' 최대 | 조홍섭
2014.06.20
|인천~상파울루 왕복 여행 때 방출 탄소량은 텔레비전 10만대 1시간 시청 때와 같아 '환경 월드컵' 표방 `탄소 발자국'은 사상 최대…마스코트 아르마딜로 보전에도 냉담 브라질은 축구만 잘하는 나라가 아니다. 온실가스 줄이기에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룰라 전 대통...
-
백두산 자생종 분포, 서울숲의 미스터리 | 환경뉴스
2014.06.18
|서울숲 바이오블리츠 2014 행사 참가기일반인과 전문가 500명이 하루 동안 서울숲 뒤져, 예상보다 다양한 생물 외래종과 도입종이 많았지만 북방계·남방계 식물도 나와, 제비도 번식 “귀를 기울여 보세요. 무슨 소리가 나지요?” 지난 14일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박사가 서울숲 습지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