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 국립산림박물관 새 이름 오류 투성이

권순호 2014. 06. 13
조회수 78037 추천수 0

광릉숲 위치한 국립산림박물관 새 박제 설명에 오류 즐비, 학생들 배우는 곳인데 무신경

흰꼬리수리를 검독수리, 진박새를 박새로…국립수목원, "새 전문가 없어, 오류 고치겠다" 해명

 

순호-1.jpg » 국립산림박물관 1층 홀에 전시된 새 박제들과 필자.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위치한 광릉 숲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천연기념물 제197호인 크낙새의 마지막 서식지이기도 한 오랜 숲이다.
 
광릉 숲에는 이곳의 역사, 생태, 산림에 관한 자료를 전시하는 국립산림박물관이 있다. 1층 홀에는 광릉 숲에서 볼 수 있는 주요 동물을 박제로 전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시된 박제 동물의 설명 중에서 잘못 표기된 것들을 발견하였다.
 
학생을 포함해 많은 이들이 찾는 전시물에 잘못된 설명이 붙어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책이나 인터넷으로도 배우지만, 현장에서 직접 배우는 것이 더 잘 기억한다. 이런 곳에서 잘못된 정보를 배운다면 보지 않은 것만 못한 것 아닐까.
 
순호-2.jpg » 검독수리로 표기돼 있지만 흰꼬리수리로 보인다.  
 
우선 검독수리라고 소개된 박제이다. 밤색에 흰색 깃털이 섞여 있는 것을 보니, 검독수리가 아닌 흰꼬리수리의 어린 새일 가능성이 커 보였다.
 
검독수리는 적갈색 깃털이 많고, 햇빛에 비치면 깃털이 황갈색이나 금빛으로 보인다 하여 일명 ‘금수리’라고도 불린다. 검독수리의 어린 새는 어린 흰꼬리수리처럼 흰 깃털이 많기는 하지만, 적갈색과 황갈색을 띠는 깃털이 많이 보인다.
         

순호-3.jpg » 검독수리(천연기념물 제243호) 어린 새. 적갈색과 황갈색 깃털이 많다.                          
                                                     
순호-4.jpg » 흰꼬리수리(천연기념물 제243호) 어린 새. 밤색 깃털에 흰색 깃털이 섞여 있다.  
  
다음은 매라고 소개된 박제이다. 박제 상태가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깃털 색이 옅은 밤색을 띠고 있다. 또한 배 쪽은 흰색 바탕에 밤색 줄무늬가 나 있다.

 

순호-5.jpg » 매라고 소개되어 있는 박제. 참매로 보인다.

 

이 새는 날개가 길고 폭이 좁은 매와 모습이 많이 다르다. 매과 새의 날개에 비해 날개가 짧고, 폭이 넓은 수리과 새의 날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아마도 이 새는 대한민국 공군의 상징인 보라매라고도 불리는 참매의 어린 새일 것이다.

 

Stefan Berndtsson.jpg » 매. 상대적으로 날개가 길고 폭이 좁다. 사진=Stefan Berndtsson, 위키미디어 코먼스

 

Ferran Pestaña_640px-Accipiter_gentilis_Viladecans.jpg » 참매. 상대적으로 날개가 짧고 폭이 넓다. 사진=Ferran Pestaña, 위키미디어 코먼스
  
Acc_Sonnenallee.jpg » 어린 참매.배의 밤색 줄무늬와 몸의 밤색 깃털이 박제와 비슷하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다음은 진박새라고 소개된 박제이다. 등 깃털 색이 연두색을 띠고, 배에는 검은색 넥타이 무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새는 진박새가 아닌 박새인 것 같다. 진박새는 등이 회색이고, 머리에 작은 깃을 자주 세운다.
 
순호-6.jpg » 진박새로 표기돼 있는 박제. 박새인 것 같다.

 

많은 이들이 박새류가 워낙 비슷하게 생겨 헷갈려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박새류는 박새, 쇠박새, 북방쇠박새, 진박새, 곤줄박이 등이 있다. 
 

Aviceda_714px-Coal_tit_UK09.jpg » 진박새. 머리깃을 세우고 다니며 등이 회색이며 가슴에 넥타이 무늬가 없다. 사진=Aviceda, 위키미디어 코먼스
 
순호-7.jpg » 박새. 등이 녹색이고, 넥타이 무늬가 있다. 넥타이 무늬의 굵기로 암수를 비교한다. 굵으면 수컷, 얇으면 암컷.  
 
다음은 원앙이라고 소개된 박제의 오류이다. 이 자리의 박제는 대부분 맞다. 귀여운 새끼도 원앙 새끼이고, 화려한 수컷도 원앙이다. 하지만 원앙 암컷이라고 한 박제가 사실은 원앙이 아니다.
 

순호-8.jpg » 원앙 수컷 옆에 다정하게 암컷이라고 배치해 놓은 박제는 실은 쇠오리 수컷이다.  

 

빨강과 초록의 태극 무늬가 선명한 얼굴, 노란색 깃털이 보이는 꼬리는 우리나라의 흔한 겨울철새이자 드문 텃새인 쇠오리, 그것도 수컷으로 보인다.
 
순호-9.jpg » 쇠오리 수컷.

 

쇠오리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작은 오리로, 주로 사방이 트이고 얕고 잔잔하게 흐르는 하천에서 이끼나 조개, 물고기, 곤충을 잡아먹으며 산다. 갈대 같은 풀숲에 둥지를 틀어 알을 낳는다.
 
순호-10.jpg » 원앙 암컷.  

 

원앙은 물이 잔잔한 곳에서도 살지만 주로 숲의 물살이 센 계곡에서 이끼, 조개, 물고기, 곤충, 도토리 등을 먹으며 산다. 또한 숲의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어 알을 부화시킨다.
 
국립산림박물관은 소중한 자연유산인 광릉 숲의 생태를 소개하는 곳이다. 이런 곳에 오류가 이렇게 많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이곳이 설립된 지 오래된 곳인데도 잘못된 설명이 붙어있는 것은 국립수목원의 무관심과 관리 소홀을 보여주는 것 같아 안타깝다.
 
글·사진/ 권순호 이우 중학교 2학년 newsnow1@naver.com

 

국립수목원의 해명

 

국립산림박물관을 관리하는 국립수목원은 권순호 군의 이런 지적에 대해 “수목원에 조류를 전공하는 연구자가 없어 일부 오류를 파악하지 못했다. 잘못된 것으로 밝혀진 설명을 고치겠다”고 <물바람숲>에 밝혀 왔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