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친교배 목뼈 기형 매머드 멸종 새 가설 [2] | 환경뉴스
| 2014.03.28
매머드 목갈비뼈 기형 코끼리보다 10배 많아, 근친교배와 태아 역경 원인 기후변화로 서식지 축소 고립된 것이 배경…인간 사냥, 천체충돌 등 가설 다양 가장 최근에 멸종한 선사시대 동물의 하나인 매머드가 무엇 때문에 최후를 맞았는지는 논란 많은 주제이다. 멸종 시기인 약 1만년 전은 ...
-
'두루미 곡간' 1만5천㎡ 논 내놓은 농부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4.03.27
|철원 권재환씨 부부 논 1만6000여㎡ 두루미 위해 쾌척, 한탄강변 먹이터 낱알 하나까지 거둬가는 세태, 이대로면 철원은 월동지 아닌 중간기착지 전락 겨우내 소리와 몸짓의 향연을 펼치던 두루미는 번식지로 떠나고 그들이 머물던 자리에는 아지랑이가 봄을 재촉한다. 해마다 철원평야...
-
고라니만 1만 마리, 담비가 먹어치워 [3] | 환경뉴스
2014.03.25
|담비 전문가 최태영 박사 인터뷰5년째 장기연구 생태 비밀 속속 드러나…활동영역 반달곰 필적. 연간 고라니 3~4마리 잡아먹어 범과 늑대 사라진 생태계 건강 지키는 최상위 포식자, 숲속 씨앗 뿌리는 농부 구실도 이 땅에 사는 야생동물 가운데 생태가 제대로 밝혀진 것은 드물다. 발자...
-
후각 중추 없어도 냄새 맡는 잠자리 [1] | 환경뉴스
2014.03.24
|탁월한 시력으로 3억년 전부터 포식자 군림, 후각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후각 신경계통 없어도 풍동 실험에서 냄새만으로 먹이 찾아내 잠자리는 미군이 차세대 무인비행기의 모델로 연구하고 있을 정도로 최고의 사냥꾼이자 비행술의 대가이다. 사냥 성공률은 95%에 이르며 4개의 독립된 근육으...
-
'지옥에서 온 닭’, 소형차 크기 신종 공룡 발견 | 사진
2014.03.20
|미국 다코타서 볏과 부리 달린 새 모양 공룡 화석 발굴 소행성 충돌 직전까지 공룡 번창 주장 뒷받침 이제까지 주로 중국과 몽골 등 아시아에서 발견되던 오비랍토르 종류의 새로운 공룡이 미국에서 발견됐다. 매튜 라마나 미국 카네기 자연사박물관 고생물학자 등 미국 연구진은 온라인 ...
-
소고기 1㎏ 생산에 물 1만 5000ℓ 든다 [3] | 환경뉴스
2014.03.19
|3월22일 '세계 물의 날' 앞두고 생각해 보는 '가상수와 물발자국' 물부족 고통은 약자 몫, 생태계 다른 생물엔 생존 위협도 고기ㆍ가공식품 덜 먹고 소비 줄여야, 지구촌 가난한 이웃과 생명에 대한 배려 커피 한 잔에 ‘사용되는’ 물은 얼마나 될까? 식도로 넘어가는, 눈에 보이는 200㎖ 남짓...
-
겨울 난 가창오리 왜 북으로 가지 않나 | 환경뉴스
2014.03.18
|'90% 떠났다' 정부 발표와 달리, 고창·서천 등에 17만 마리 '남행' 곤포사일로와 먹이 주기 금지로 영양부족 우려…번식 성공률 낮아질 가능성 가창오리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예년이면 2월 중순부터 삽교호에 가창오리가 몰려들어 한 달쯤 머물면서 주변 농경지에서 낙곡으로 몸을 불린 ...
-
송전선 자외선 섬광, 야생동물들도 꺼린다 [5] | 환경뉴스
2014.03.17
|사람 눈 안 보이지만 고압송전선 주변 방전 불꽃 쉴 새 없이 '번쩍' 도로처럼 서식지 조각내 생태계 파괴 울려, 북극 순록은 특히 민감 우리는 다른 동물들도 우리가 보는 것과 비슷하게 볼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적어도 자외선을 보는 능력에 관한 한 이는 커다란 착각이...
-
보호자이자 살인자, 이웃집 베짜기개미 [4] | 환경뉴스
2014.03.14
|깡충거미, 치명적 천적 가죽거미가 기피하는 베짜기개미 근처에 둥지 열대숲 개미와 말벌은 인기 '경호 동물'…서식지 선택의 복잡성 보여줘 ‘녹색혁명’의 산실인 필리핀 로스바뇨스에 있는 국제벼연구소(IRRI) 주변 열대림에는 다양한 거미와 개미가 서식한다. 뉴질랜드 곤충학자들은 여...
-
한강 강준치와 끄리, 낙동강 점령 | 환경뉴스
2014.03.12
|외래종 못잖은 토종 이입종의 위협, 낙동강 유입 40여년 만에 최강자 군림 생태계 교란 우려, 일부선 블루길·배스처럼 생태계교란생물 지정 검토 요구 어릴 때 강 마을에 살았거나 낚시를 즐기는 이라면 토종 민물고기인 강준치와 끄리를 알 것이다. 큰 강이나 호수에서 다른 물고기를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