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뭔가 싶어 먹어본 독버섯, 끔찍했다뭔가 싶어 먹어본 독버섯, 끔찍했다 [2]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김성호 | 2011.05.23

    미량이었는데도 구토와 경련 끊이지 않고…백혈구까지 사라져 자연의 분해자이자 유용물질 생산의 원천 가치   ▲달걀버섯   붉은 색이 무척 강하며 화려하기 그지없는 사진의 버섯은 독버섯이 가장 많이 속해 있는 광대버섯 과의 달걀버섯입니다. 하지만 달걀버섯은 유럽에서 버섯 ...

  • 새 모이통 설치하니 아파트로 자연이 찾아든다새 모이통 설치하니 아파트로 자연이 찾아든다 [4] | 사진

    윤순영 | 2011.05.22

     ▲새 모이통  4월8일 야산을 바라보고 있는 아파트2층  베란다  창틀에 가로20cm  세로20cm 크기의 프라스틱 반찬 그릇을 철사줄로 매달아 새 모이통을 걸어 놓았다. 집에서 흔히 구할 수있는 쌀, 좁쌀, 땅콩, 삶은 계란노른자, 계란껍질, 멸치를 모이로 ...

  • 환경운동의 종교화는 바람직한가환경운동의 종교화는 바람직한가 | 신창현의 분쟁닷컴

    신창현 | 2011.05.20

     우리나라의 환경운동은 이제 종교인들이 주도하고 있다. 단체의 공동대표를 맡아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하던 간접적 방식에서 직접 문제를 제기하고 각종 시위와 집회에 앞장서는 현장주도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뒤에서 지원하던 종교인들이 왜 전면에 나서게 되었을까? 체제에 도전하...

  • 꽃가루 골치 은사시나무, 새들에겐 천국꽃가루 골치 은사시나무, 새들에겐 천국 [22] | 환경뉴스

    김성호 | 2011.05.19

      강원도의 어느 깊은 산골에는 맑디맑은 계곡이 흐르는 곁으로 은사시나무 숲 하나가 단정하게 앉아 있는 곳이 있습니다. 그 숲은 30년이 넘도록 표고버섯과 더불어 소박하게 살아가시는 노부부의 손길이 빚어낸 것입니다. 표고버섯을 키우려면 먼저 강한 햇살을 가려야 했기에 ...

  • 4대강 삽질, 지천들도 다 죽어간다4대강 삽질, 지천들도 다 죽어간다 [5] | 환경뉴스

    김성만(채색) | 2011.05.18

    2009년 12월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4대강 사업. 정부는 2011년 올해 6월 준설과 댐(보)은 완공이 되고, 12월엔 모든 공정을 마무리 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업은 이곳 저곳에서 '무너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포보의 일부 시설물이 무너진 것을 비롯하여 본류...

  • 5천 마리 물고기 하루만에 알아맞힌 ‘집단지성’5천 마리 물고기 하루만에 알아맞힌 ‘집단지성’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5.17

    ▲데빈 블룸이 남미 가이아나 쿠유니 강에서 채집한 물고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토론토대학 스카보로캠퍼스   남미 가이아나의 열대림에서 채집한 5000여 마리의 이름 모를 민물고기 이름을 하루 안에 모두 알아맞히는 방법이 있을까.정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이다.캐나다 토론...

  • 2.원앙 이야기2.원앙 이야기 | 사진

    윤순영 | 2011.05.17

    ▲ 짝짓기   꾸준한 관찰을 하면서 지나진 애정 행동엔  비밀이 숨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물론 부부 연을 맺으면 짝짓기 때 짝을 잘 바꾸지 않지만 종종 어떤 부부들은 암수가 감쪽같이 바람을 피운다. 서로 지극 정성의 사랑 믿음 그 믿음 바탕으로 다른 원앙...

  • 전환마을 토트네스에서 답을 찾다전환마을 토트네스에서 답을 찾다 | 환경뉴스

    이유진 | 2011.05.16

    에너지 위기’에 대한 공동체의 대안 전환마을 토트네스에서 답을 찾다    - 토트네스 전경     2011년 상반기, 세상은 혼돈 그 자체이다. 텔레비전을 켜면 국제 뉴스가 먼저 나온다. 다국적군의 리비아 전쟁. 국민들을 향한 카디피의 학살은 광기...

  • 두물머리엔 벌써 장마? 4대강 공사 탓두물머리엔 벌써 장마? 4대강 공사 탓 | 사진

    조홍섭 | 2011.05.14

      장마가 시작되기엔 아직 멀었지만 남한강엔 시뻘건 진흙탕 물이 흐른다. 북한강의 푸른 물이 선명하게 대조를 이룬다.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이 흙탕물은 4대강 공사 구간인 이포보와 강천보 인근의 가물막이가 터진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 지난 9~11일 동안 북한강과 남한강 유역에 내린 비...

  • 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깜쪽같은 외도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깜쪽같은 외도 | 사진

    윤순영 | 2011.05.13

          ▲장릉연못  경기도 김포시엔  인조왕의 아버지인 원종의 릉이 있는데 릉 정원의 작은 연못은 마치 소박한 수채화 같은 아름다움이 담겨져 있다.작년 4월9일 원앙새가 자주 관찰된 다는 소식에 몇 일간 관찰을 해보니 암컷12수컷22 마리의 원앙이 번식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