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으로 자연 다스리는 전통지혜

조홍섭 2011. 01. 14
조회수 14983 추천수 0
문전옥답-강변- 수구막, 생태순환의 전통사회
MB의 눈에는 원가 싼 새로운 개발 대상일 뿐
 
 

img_01.jpg

집 근처의 기름진 논을 일컫는 ‘문전옥답’(門前沃畓)은 생태학적 의미를 지닌 말이다. 전통마을은 산을 등지고 완만한 비탈이 평야와 만나는 지점에 자리잡았다. 지형적으로 산에서 씻겨온 유기물질이 머무는 곳이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마을이 들어서기 전에 이미 옥토인 곳”이라고 설명한다. 사람이 살고부터는 초가지붕과 두엄더미의 영양분이 흘러들어 논은 더욱 비옥해지고 손길이 쉬 닿으니 좋은 논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자연이 공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최대한 이용하는 체계
 
석유문명 이전의 전통사회는 어쩔 수 없이 생태적 순환사회였다. 자연이 공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최대한 이용하는 체계였다. 석유고갈 시대를 앞두고 전통사회가 어떻게 화석에너지 없이 지탱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은 결코 한가한 일이 아니다. 게다가 4대강 사업으로 홍역을 겪고 있는 하천정비의 교훈을 얻을 수도 있다.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변은 사람이 살 곳이 못 된다고 했다. 홍수의 위력에 맞설 기술도 없었거니와 인구밀도가 높지 않아 굳이 그럴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 최대의 도시 한양만 해도 17세기 중반부터 200여 년 동안 인구는 약 20만 명을 유지했다. 요즘 독일의 프라이부르크 등 이름난 생태도시의 인구는 대개 이 정도이다.

 
그러나 마을이 있는 곳에선 홍수를 막아야 했다. 그 수단은 숲이었다. 문전옥답을 감싸고 흐르는 하천변을 기다란 숲으로 둘러쌌다. 하천을 통해 땅의 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다는 풍수사상이 근거였지만 여기에도 생태적 지혜가 담겨 있다. 하천변 숲은 강으로 들어가는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홍수를 방비해 준다. 나아가 하천변에 녹지를 만들면 물고기와 야생동물이 늘어나고 지하수가 풍부해진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알았을 것이다.
 

“강을 이렇게 버려둔 나라는 세계에 없다”?
 
전국 곳곳에 이런 수구막이 숲이 있었다. 숲으로 물을 막는 오랜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1938년 조선총독부가 현장답사를 통해 확인한 그때까지 남아있던 강변과 해안의 수변 보안림은 200개가 넘었다.

청계천 하류 동대문 일대에도 그런 버드나무숲이 있었다. 통일신라 때 최치원이 경남 함양에 만든 상림이나, 조선 인조 26년(1638년) 전남 담양읍을 가로지르는 담양천에 조성한 관방제림은 천연기념물로 보존되고 있는 대표적인 강변 식생대이다.

이런 전통적인 강의 모습은 1960년대까지만 해도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은 강을 수로로 바꾸어놓았다. 홍수를 막고 토지를 확보하기 위해 하천을 직강화하고 둑을 쌓아 강의 품을 좁히는 하천정비가 이뤄졌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 눈떠 하천변 개발을 억제하고 수변 생태벨트를 조성하려는 계획이 세워지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세계적 흐름과 함께하던 새로운 하천정비의 패러다임은 4대강 사업과 함께 한순간에 1980년대로 복귀하고 말았다.
 “강을 이렇게 버려둔 나라는 세계에 없다”는 이명박 대통령이나, 강변의 금모래밭을 ‘누런 지방층’으로 보는 국토해양부에게 국유지인 하천변은 원가가 싼 새로운 개발 대상일 뿐이다.
 

img_02.jpg

 
개발도 하고 수질도 개선한 전례는 눈씻고 찾아도 없다
 
무소불위의 친수구역특별법으로 하천변 개발을 강행한 뒤 4대강은 어떤 모습으로 바뀔까. 몬순 기후인 한반도에 연중 비가 오는 해양기후에 적합한 유럽식 강을 만들어 놓는다고 관광·레저산업이 발달하고 고급주택가가 들어설까. 또 지금까지 정부가 악착같이 강변 개발을 억제한 이유인 상수원 확보는 어떻게 될까. 주로 지하수를 마시는 선진국과 달리 대수층이 빈약한 우리는 식수의 90% 이상을 하천수에 의존한다.

무엇보다 이 모든 개발 청사진이 4대강 사업 뒤 수질이 좋아진다는 전제 위에 서 있는 게 문제다. 개발도 하고 수질도 개선한 전례는 없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새만금에서 정부의 장담과 달리 수질이 나빠져 해수 유통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상류의 맑은 물 대책은 소홀한데 덜컥 하류에 둑부터 막은 탓이다. 4대강과 다를 게 없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