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자연 구간'도 파낸다

조홍섭 2009. 02. 13
조회수 12677 추천수 0
 국토해양부 차관, 홍수 막기 위해 불가피 밝혀
 
 
도심 구간을 빼면 주요 강의 자연성이 살아있는데도 정부는 모든 구간에 제방을 쌓고 물을 채우는 방식의 ‘강 살리기’를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해 논란이 예상된다.
 

권도엽 국토해양부 제1차관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4대강 본류의 52%가 수해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도시 구간엔 안전성을 강화한 슈퍼제방을, 그밖의 구간에서는 제방을 보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변화 때문에 100년 빈도 홍수를 대비해 지은 제방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됐다”며 “본류는 한 번 터지면 피해가 큰 만큼 보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 차관은 또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의 하천은 4계절 언제나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토해양부가 강 바닥을 쳐 내고 보와 제방을 설치하겠다는 4대강 본류는 정부 조사에서 대부분 자연성이 살아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2007년 수변환경의 건강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한강은 전체 320 구간 가운데 66%인 212 구간이 자연성이 풍부하거나 인위적 교란이 적은 1등급과 2등급으로 나타났고, 낙동강은 43개 구간 가운데 부산, 울산,창원, 양산 등 도심구간을 뺀 37개 구간(86%)에 1·2 등급의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한편, 권 차관은 이날 4대강 이외에도 섬진강 등 다른 하천을 단계적으로 생태하천 조성 등 친환경적으로 개바래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홍섭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