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귀종 사라가는 한강 습지, 주변 논 매립 막아야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7.03.03
|재두루미와 개리 등 자취 감춰, 먹이 터 구실 논 매립 영향농경지 계약습지 보상제 도입 시급, 습지보호구역 늘리는 효과한강하구는 10년 전만 해도 800여 마리의 개리와 재두루미가 겨울을 나는 주요 월동지였지만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연이 훼손됐기 때문이다. 개리만 북상 중...
-
강물은 바다와 만나야 독성을 잃는다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3.02
|강물의 음전하가 바닷물의 양전하 만나 중화, 침전 빠르고 독성 완화하굿둑 터야 수질오염 문제 근본 해결…낙동강, 금강, 영산강 시급1991년에 일어난 낙동강의 페놀 사태 이래로 우리 정부는 강을 살린다는 명분으로 50조 원을 훨씬 웃도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었다. 이 돈으로 많은 하수처리...
-
미나리아재비는 왜 반짝이는 노란 꽃을 피울까 | 환경뉴스
2017.02.24
|얇고 평평한 겉면이 거울처럼 빛 반사, 아래 녹말·공기층은 빛 산란새·나비 무늬처럼 ‘박막 간섭 효과’ 이용 광택 내…식물 중 유일6월 개울가에 흔하게 피는 미나리아재비의 노란 꽃은 마치 꽃잎에 에나멜을 발라놓은 듯 반짝이는&nb...
-
하늘의 제왕, 참수리의 사냥법 [2] | 사진
2017.02.23
|발견한 물고기에서 눈 떼지 않은 채 날카로운 발톱으로 낚아채`아뿔싸 실수' 흰꼬리수리에 뺏길라 부리나케 선회비행해 사냥자연은 아무런 꾸밈이나 기교 없이 명징하게 생명의 참모습과 현상, 더 나아가 그 생명의 본질을 알려준다. ...
-
`100억 이익 위해 수천명 사상' 참사 막으려면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2.22
|정부와 정치권만 빠져나간 가습기 살균제 참사 책임징벌적 손해배상과 집단소송제로 사전예방 이끌어야우리 사회에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의 하나는 먼저 사고 책임자를 분명히 가려내 배상과 처벌 등 응분의 책임을 지도록 만드는 것이다. 또한 사고의 이유를 ...
-
우주 식민지에 미래가 있을까 [1] | 영화로 환경 읽기
2017.02.21
|영화로 환경읽기 17. <패신저스>지구 안에서처럼 지구 밖에서 식민지 찾는 ‘병원체 문명’아무리 발달한 첨단기술도 인간관계와 자연 제공 못 해언제부턴가 공상과학영화 속 지구는 생기를 점차 잃고 죽어가는 행성으로 묘사되고 있다. 2014년에 개봉해 우리나라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영화 &l...
-
늘어난 햇살에 ‘꿈틀’, 겨울잠 깨는 애벌레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2.20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 <4> 우수 봄맞이‘우수’ 맞은 자연은 봄맞이 움직임 시작, 마지막 추위 이겨야 찬란한 봄붉은점모시나비 애벌레는 이미 껍질 벗고 2령 돌입, 옆구리 붉은점 드러나따가운 찬바람은 어느덧 ...
-
눈 사라지는 알프스, 금세기 말까지 70% 감소 전망 | 환경뉴스
2017.02.17
|스위스 알프스 12월 강설량 150년 최저 기록, 스키장 폐쇄 사태알프스 적설량 감소폭 현상유지는 70%, 온실가스 감축 땐 30%스위스 알프스에 있는 유명 스키장인 샤르메 스키 리조트는 크리스마스 휴가 대목인 지난해 12월 26일 스키장을...
-
교통사고 현장서 사라진 고라니, 그 후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7.02.16
|신고 받고 출동한 사고지점에 핏자국만 남아, 2차 사고 막으려 수색마침내 농수로 안에서 발견된 고라니는 이미 다른 사고로 발 하나 못써어느 한적한 도로에 고라니가 차에 치인 채 쓰러져 있다는 신고를 받았습니다. 다친 고라니가 계속&n...
-
붙잡히면 껍질 벗고 도망치는 도마뱀붙이 | 환경뉴스
2017.02.15
|붙잡히면 꼬리 자르기 더해 피부와 비늘까지 벗어 포식자 회피마다가스카르서 75년 만에 신종 발견, 벌목으로 멸종 위험도마뱀의 특기는 위험에 처하면 꼬리를 잘라 포식자가 꿈틀거리는 꼬리에 정신이 팔린 사이 도망치는 것이다. 그런데 꼬리 자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