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갈매기 공격이 긴수염고래 떼죽음 부른다갈매기 공격이 긴수염고래 떼죽음 부른다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13

    멸종위기 남방긴수염고래 지난해 116마리 폐사 등 기록적 사망 갈매기가 고래 등 쪼아 피부와 지방 파먹어…사망 관련 여부 연구 중     여기저기 혹이 튀어나온 커다란 머리와 눈 위로 활처럼 길게 휘어진 입…, 긴수염고래는 아주 독특하게 생겼다. 게다가 이 고래를 비극적으로 만든 여러...

  • 까마귀와 물고기도 몸짓 언어로 가리켜까마귀와 물고기도 몸짓 언어로 가리켜 | 조홍섭

    조홍섭 | 2013.05.10

    손가락 가리키기는 의도적 소통행동…사람은 돌 전 시작 침팬지, 개, 까마귀 이어 물고기도 이런 방식 소통 확인     외나무다리에서 고깃덩이를 물고 가던 욕심쟁이 개가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다른 개인 줄 알고 짖다가 고기를 놓쳤다는 이솝 우화가 있다. 이야기의 주제가 개 아닌 욕심...

  • 지상 최고의 킬러 등 호주의 거대동물은 누가 다 죽였나지상 최고의 킬러 등 호주의 거대동물은 누가 다 죽였나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09

    기후변화설과 인간영향설 팽팽…빙하기 건조화와 원주민 산불, 누가 치명타? 남극 빙하 시추조사 결과 기후변화설 뒷받침, 반대쪽은 화석기록 '불확실' 주장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는 캥거루처럼 다른 대륙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유대류 동물이 산다. 주머니를 가진 포유동물을 가리키는 유대...

  • 모래폭풍 뚫고 집으로모래폭풍 뚫고 집으로 | 사진

    조홍섭 | 2013.05.08

    젠투평귄, 사냥 마치고 해변 집으로 돌아오는 모습 촬영 포클랜드 주 서식지, 바다에서 가장 빠른 펭귄       펭귄 하면 눈보라 치는 얼음판 위를 행진하는 모습이 떠오를지 몰라도 꼭 그런 건 아니다. 사진의 젠투펭귄의 주 서식지는 남아메리카의 포클랜드 제도로 이곳에는 얼음은 없고...

  • 꽃 꿀에 닿는 순간 박쥐의 혀는 변신한다꽃 꿀에 닿는 순간 박쥐의 혀는 변신한다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07

    박쥐 긴 혀 덮은 돌기에 혈액 흘러 일어서, 꿀 묻히는 양 늘어 유연한 혀의 신축과 팽창 응용한 생체로봇에 응용 가능성     벌새나 꿀빨이 박쥐처럼 꽃의 꿀을 빠는 동물은 정지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쓴다. 따라서 한 번에 가능하면 많은 꿀을 빨...

  • 아프리카 원숭이도 3~6달 겨울잠 잔다아프리카 원숭이도 3~6달 겨울잠 잔다 [7]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03

    먹이 없고 온도 낮은 건기 6~7달 동안 땅밑 또는 나무구멍서 잠자 몇분에 한 번 숨쉬고 차가운 몸…인간 동면, 장기 우주여행 적용 기대     마다가스카르 동부 고지대의 열대림에서 연구자들은 조심스럽게 바닥의 낙엽과 나무뿌리 등을 걷어냈다. 한 뼘쯤 깊이에서 조그마한 털 뭉치가 나왔...

  • 포식자 떼죽음, 신생대 동굴 미스터리 풀렸다포식자 떼죽음, 신생대 동굴 미스터리 풀렸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02

    검치호랑이 등 육식동물 화석만 발견된 스페인 동굴 분석 결과 먹이 찾아 왔다 못 빠져나와 죽은 것으로 추정, 연쇄 죽음의 '덫' 기능       1991년 스페인 마드리드 교외에 위치한 점토 모양의 광물인 해포석을 캐던 광산에서 다수의 동물 화석이 발견됐다. 2008년까지 이곳...

  • 개는 알고 늑대는 모르는 것, “지금 나랑 놀자는 거야?”개는 알고 늑대는 모르는 것, “지금 나랑 놀자는 거야?”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4.30

    개는 모순적이고 애매한 사람 행동에 유연하게 대처, 늑대는 적응 어려움 개는 놀자고 하는 행동과 실제 행동을 구별할 줄 알아     개는 늑대의 아종이어서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 둘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아주 가깝지만 생긴 모습과 행동은 크게 다르다. 개가 가축이 되는 과정에서 사람과 ...

  • 내 맘속 버팀목 소나무, 눈도 입도 즐거웠다내 맘속 버팀목 소나무, 눈도 입도 즐거웠다 | 사진

    윤순영 | 2013.04.29

    너무 친해 존재감 못 느끼는 든든한 나무 배고팠던 시절, 속껍질과 꽃으로 허기 채우기도       소나무는 친근한 나무이다. 너무나 가까워 마치 없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다. 나무를 소개하는 책에도 너무 흔하다고 생각해서인지 소나무를 다루지 않기도 한다. 없는 듯 든든한 소나무에 더욱 ...

  • 저어새 집단이주 미스터리, 부엉이 피해 도시로 이사왔나저어새 집단이주 미스터리, 부엉이 피해 도시로 이사왔나 | 환경뉴스

    남종영 | 2013.04.28

    지구상 1848마리 희귀새…4년 전 남동유수지에 둥지, 120마리 탄생유도 수리부엉이, 각시섬 곰쥐 피해…새 둥지선 재갈매기와 갯벌 매립 위협     저어새가 인천의 도심 한가운데 찾아온 것은 2009년 봄의 어느 날이었다. 부리(bill)가 스푼처럼 생겨서 영어 이름은 스푼빌(Black-faced Spoonbill)인데...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