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입으로 새끼 낳는 개구리 복원하자고?입으로 새끼 낳는 개구리 복원하자고? [1] | 조홍섭

    조홍섭 | 2013.03.22

    알 꿀꺽, 위액 분비 6주일 멈추고 위장서 새끼 개구리로 자라…호주서 발견 11년만에 멸종 핵이식 복제로 부활 프로젝트 진행 중… 다른 보존예산 흡수, 윤리적 문제 등 논란     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양서류학자 마이크 타일러는 1974년 개구리가 입으로 새끼 개구리를 낳는 희한한 모습을 관찰하...

  • 꽃샘 추위 뚫고 애호랑나비 올해 첫 출현꽃샘 추위 뚫고 애호랑나비 올해 첫 출현 | 사진

    조홍섭 | 2013.03.22

    작년보다 12일 일러, 2월 평균온도 1.6도 상승 영향인 듯 국립수목원, 기후변화로 인한 곤충의 우화시기 변화 예측 위해 측정     봄을 알리는 전령인 애호랑나비가 경남 남해에서 지난 20일 처음으로 관찰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2일 이른 것으로 2월 평균기온이 전년보다 대폭 높아졌기 때문으로...

  • 황소개구리, 가시와 독침도 무력화 드러나황소개구리, 가시와 독침도 무력화 드러나 [3]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3.21

    말벌, 큰가시고기, 독성 영원 등 개의치 않고 먹어 캐나다서 5만여 마리 위장 내용물 조사 결과…곤충 가장 많지만 들쥐, 거북, 새, 뱀도 '꿀꺽'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황소개구리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로 악명 높은 외래종이다. 하지만 북미에서도 자...

  • 대형 무당거미, 박쥐 사냥한다대형 무당거미, 박쥐 사냥한다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3.20

    남극 뺀 모든 대륙서 52건 사례 분석…지름 1.5m 초강력 겹그물 못 빠져나와 타란튤라 등은 직접 사냥…생태계 영향은 제한적, 모처럼의 횡재     나는 능력은 진화의 역사에서 탁월한 선택이다. 1만 종을 헤아리는 새는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종이 다양하다. 박쥐도 1200여 종이나 되는데, 포유...

  • '꽃섬' 풍도는 쉬고 싶다'꽃섬' 풍도는 쉬고 싶다 | 조홍섭

    조홍섭 | 2013.03.19

    하루 야생화 탐방객 300명, 알려진 지 7~8년 만에 휴식년제 검토 풍도바람꽃과 개복수초 개화 꽃천지…제부도서 한 시간 뱃길     3월이면 중부지방에서 꽃을 보기엔 이른 시기이다. 하지만 야생화를 즐기는 이라면 인터넷을 뒤져 야생화의 개화 소식을 갈무리하면서 엉덩이가 들썩거리기 마련이다. &...

  • 늑대는 왜 개가 되기로 했나늑대는 왜 개가 되기로 했나 [4] | 조홍섭

    조홍섭 | 2013.03.14

    늑대 새끼 길들인 것이란 통념 깬 '청소부 가설' 유력해져 야생여우 길들여 애완동물 만든 러시아의 장기 실험…개 기원 설명 못해     옛소련의 유전학자 드미트리 벨랴예프는 1959년 매우 독특한 실험에 착수했다. 야생동물이 가축이 된 것은 온순함을 기준으로 선택을 계속한 결과라는 가설을 입...

  • 고래뼈 녹여 먹는 좀비 벌레, 생식 방법도 특이고래뼈 녹여 먹는 좀비 벌레, 생식 방법도 특이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3.14

    뼈에 뿌리박은 암컷 수컷 유생 수집해 길러 수정 고립된 고래뼈 서식지에 적응한 생식, 공생하는 세균이 산 분비해 뼈 녹여     이빨은커녕 입도 없고 눈도 없지만 고래의 뼈를 녹여 그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는 심해 생물이 있다. ‘좀비 벌레’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생물은 2002년에야 처음 ...

  • 달려나가다 뒤돌아봤다. “고마워요”달려나가다 뒤돌아봤다. “고마워요” [2] | 동영상

    | 2013.03.13

    지난 두달 동안 구조 야생동물 16마리 방생 동영상 모음 농약 중독 일찍 발견되면 회복 쉬워, 총상은 방생 전무     올 1월과 2월은 작년 같은 기간에 견줘 2배 가까운 동물이 구조되어 하루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갔습니다. 2013년 3월 11일 현재까지 구조·접수된 야생동물은 총 375마...

  • 국토부, 은근슬쩍 8개 댐 늘린다국토부, 은근슬쩍 8개 댐 늘린다 [2]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03.12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않고 장기 건설계획에 포함해 확정법 정면 위반…환경부 “황당”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말 확정한 댐 건설 장기계획에 포함된 14개 댐 가운데 8개 댐이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환경영향평가법을 정면으로 위반한 ...

  • 나무는 쓸모 없어야 오래 산다?나무는 쓸모 없어야 오래 산다? [2] | 홍경낙 박사의 이야기가 있는 나무

    홍경낙 | 2013.03.11

    홍경낙 박사의 이야기가 있는 나무 ⑤원주 성황림 중부 온대림 대표…더불어 살아서 쓸모있는 활엽수림 보호 위해 주민 삶과 단절, 이제 쓸모없는 숲 되려나     기원전 6·7세기에 번성했던 중국 제나라에는 솜씨가 빼어난 목수 석(石)이 살았다. 여행 중에 큰 나무 하나를 보았다. 그 나무 그늘에...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