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뼈 녹여 먹는 좀비 벌레, 생식 방법도 특이

조홍섭 2013. 03. 14
조회수 27601 추천수 0

뼈에 뿌리박은 암컷 수컷 유생 수집해 길러 수정

고립된 고래뼈 서식지에 적응한 생식, 공생하는 세균이 산 분비해 뼈 녹여

 

Norio Miyamoto_Naturwissenschaften _zombieworm.jpg » 고래 등 척추동물의 뼈를 먹고 사는 심해 '좀비 벌레' 오세닥스 자포니쿠스. 사진=노리오 미야모토, <자연과학>

 

이빨은커녕 입도 없고 눈도 없지만 고래의 뼈를 녹여 그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는 심해 생물이 있다. ‘좀비 벌레’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생물은 2002년에야 처음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환형동물이다.
 

이 벌레는 죽은 고래를 깊은 바다에 빠뜨린 뒤 어떤 생물이 사체를 먹는지 장기간 관찰하는 연구에서 발견됐다. 현재까지 5종이 학계에 보고된 이 벌레의 생태와 발생 등이 학계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심해 생물들이 고래의 주검에서 살과 지방을 모두 발라먹어 뼈만 남았을 때 이 벌레의 만찬이 시작된다. 작은 풀처럼 뼈 위에 자리 잡은 이 벌레는 뼈에 뿌리를 내리고 반대편 끝에는 촉수를 흔들며 물속의 산소를 흡수한다. 뿌리는 뼈를 파고들어 지방 등 유용성분을 섭취하는데, 뿌리 속에는 박테리아가 살아 이들이 분비하는 산으로 뼈를 녹이고 뼈 속의 유기물을 추출해 낸다.
 

Yoshihiro FUJIWARA_JAMSTEC_marine-zombie-100802.jpg » 고래뼈에 뿌리를 내린 좀비 벌레. 사진=요시히로 후지와라, JAMSTEC

 

일본 연구자들은 최근  ‘좀비 벌레’의 하나인 오세닥스 자포니쿠스를 실험실에서 기르면서 이들의 산란과 번식과정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좀비 벌레는 고래나 바다코끼리 등 해양 척추동물의 뼈를 먹고 산다. 하지만 이들 주검은 드물게 불규칙하게 떨어져 내려올 뿐이다. 그런데도 이 벌레는 태평양의 동쪽과 서쪽, 대서양 북부 등에 널리 분포한다. 그 비결은 이들의 독특한 생식방법에 있다.
 

뼈에 고착돼 자라는 성체와 달리 알에서 깨어난 이 벌레의 유생은 바닷물을 타고 최소한 열흘 동안 떠다니면서 자리를 잡을 뼈를 찾는다. 마땅한 뼈에 뿌리를 내린 약 6주 뒤 알을 낳는 것은 암컷이다. 그런데 언뜻 보아 다 자란 좀비 벌레는 모두 암컷이어서 수컷을 찾아볼 수 없다.
 

생식 준비를 마친 암컷은 수컷 수집에 나선다. 바닷물에 떠다니는 유생을 잡아 자신의 젤라틴 튜브 속에 가둔다. 수백 마리의 수컷이 튜브 속에서 자라는데, 이들의 크기는 기껏해야 1㎜로 암컷의 20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컷이 하는 일은 암컷이 낳은 알을 수정하는 것뿐이다.
 

zombi1.jpg » a. 고래뼈를 둔 지 2주만에 자리를 잡은 좀비 벌레. b는 그 확대 모습. c는 6주 뒤 좀비 벌레가 번창한 모습. d. 이 단계에서 암컷은 알을 낳기 시작한다. e. 9주 된 암컷의 젤라틴 튜브 속에 들어있는 수많은 난쟁이 수컷들. 사진=미야모토 외, <자연과학>

 

연구책임자인 미야모토 일본 해양 지구과학 기술국 생물지구과학 연구소 박사는 보도자료에서 “암컷의 신속한 성숙과 수컷의 소형화는 먹이는 풍부하지만 고도로 고립된 고래뼈 서식지에 효과적으로 적응한 번식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투르비센샤프텐>(자연과학) 최근호에 실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the bone-eating worm Osedax japonicus
Norio Miyamoto & Tomoko Yamamoto & Yoichi Yusa & Yoshihiro Fujiwara
Naturwissenschaften (2013) 100:285.289 DOI 10.1007/s00114-013-1024-7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